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0:55:41

북으로

北へ。
파일:attachment/KITAHE.jpg
[clearfix]
1. 개요2. 상세3. 등장인물
3.1. 북으로 ~White Illumination~3.2. 북으로 ~Diamond Dust~
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북으로 ~Diamond Dust Drops~
4.1.1. 주제가4.1.2. 회차 목록
4.2. 코믹스

1. 개요

본격 홋카이도에 가는 게임. 개발은 레드 엔터테인먼트, 판매는 허드슨이 했다.

2. 상세

'북으로'라는 게임의 타이틀은 일본 최북단인 홋카이도(北海道)에 가자는 뜻이다[1]. 디렉터는 사쿠라 대전으로 유명한 히로이 오지이다. 원화가는 오오야리 아시토, 일명 Nocchi로 더 잘 알려진 그의 메이저 데뷔작으로, 많은 사람들의 뇌리속에 "Nocchi"라는 이름을 각인시켰던 것이 바로 이 게임이다. 오오야리는 그 이후에도 많은 미소녀 게임에 관여했지만 정작 "북으로"만큼의 히트작은 단 한 작품도 나오지 않았다.

게임의 기본 구조는 여름에 홋카이도로 여행을 떠나게 된 주인공이 여자애를 만나서 친해지고 다시 동경으로 돌아왔다가 6개월 후에 다시 겨울 홋카이도에서 재회하여 서로 사랑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낯선 여행지에서 여자애를 만나고 친해지는" 미소녀 게임은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북으로>가 여타 미소녀 게임과 가장 차별화된 점은 게임의 배경이 그냥 '낯선 동네'정도가 아닌 겁나 "리얼"한 홋카이도라는 점이다. 등장인물을 제외한 모든 배경은 실사이거나, 혹은 실사를 변형한 컷이다. "사진을 이용해서 만든 게임이라고? 만들기 쉽겠네"라고 생각되겠지만, 이 게임은 플레이를 시작하면 홋카이도에서 어지간히 발품을 팔았다는 것이 느껴진다. <북으로>는 웬만한 여행 덕후가 아니고서는 만들 수 있는 게임이 아니다. 어떤 장르이건 간에 제대로 만들기 시작하면 끝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캐릭터를 공략하고 나면 정말 홋카이도에 일주일쯤 다녀온 듯한 기분이 든다. 이런 기분에 빠지게 할 수 있는 게임이 흔히 굴러다니는 건 아니다.
첫 작품인 White Illumination은 드림캐스트 전용으로 1999년에 발매되었으며 같은 해에 후일담을 다루는 속편격의 Photo Memories가 발매되었다. 플랫폼을 잘못 택했던 탓인지 판매면에서 그리 재미를 보지는 못한 모양이지만[2] 그래도 속편까지 나온 걸 보면 시리즈로서 나름 팬층을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고교 2학년인 주인공이 홋카이도로 놀러가는데, 히로인을 여름에 공략해서 겨울에 고백한다는 게 기본적인 시스템이다. 기간은 여름 방학 14일, 겨울 14일. 원화집도 따로 나온 적이 있으며, 소설로도 발간되었다.

후속작인 Diamond Dust는 2003년 10월에 발매되었으며 드림캐스트가 시망인 고로 PS2로 발매 되었다. 전작과 캐릭터가 겹치지는 않지만 게임하는 도중마다 몇몇의 동향만 좀 알려진다.

여름 공략, 겨울 고백은 바뀌지 않았지만,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산책을 한다든지 차안에서 흘러가는 배경을 보게 되었고 시간소비되며, 예산을 다 쓰면 게임 오버.

니코니코 동화메탈기어 솔리드 3 수퍼 플레이어 의식의 사람이 과거 White Illumination의 오프닝을 올렸던 것이 흑역사 취급을 받고있지만, 정작 자신은 영상에 플레이영상을 삽입한다거나 스킵할 때 한 순간 노래를 들려주기도 한다.(오프닝 가사 중 '스킵'이라는 부분이 나오는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 어쌔신 크리드 복장을 입고 오직 나이프만 써서(크라잉 울프는 제외) MGS4를 노킬로 클리어하는 '어쌔신 솔리드' 실황 영상에서는 북으로의 오프닝을 오프닝으로 틀어버리기도 했다. 아무래도 팬인 것 같다.[3]


특유의 중독성으로 게임 본편보다 유명한 오프닝.


Diamond Dust 발매시 2003년 도쿄게임쇼에 출연 성우들이 했던 퍼포먼스. 그 안무의 격렬함으로 인해 일본덕후들에게는 "북으로 부트캠프"로 유명하다. 참고로 오른쪽 두번째의 빨강 슬립레스 셔츠에 청바지의 안경 아가씨가 노토 마미코, 왼쪽 두번째의 하양 슬랩레스 셔츠에 체크무늬 치마에 트윈테일의 아가씨가 와타나베 아케노, 그리고 왼쪽 세번째의 노랑 슬랩레스 셔츠에 다홍치마에 하프 트윈테일의 아가씨가 이시하라 에리코이다.

메인 히로인인 '아카네기 아츠코'역을 맡은 이시하라 에리코는 이작품에서의 좋은 연기로 주목을 받게 되었고 A급 성우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그러나...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이때 주연 캐스팅 경쟁에서 그녀가 제낀 두명의 성우가 2020년대 업계의 베테랑 성우가 되어있는 노토 마미코와타나베 아케노다. 뭐, 이렇게 해놓고 멸망 크리를 탄건 에리코의 자업자득이었지만...


첫 작품인 White Illumination으로 도쿄게임쇼에 나온 1999년의 경우 오프닝을 직접 불렀던 Four Seasons의 멤버들이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는데 이때엔 2003년 영상에 나오는 게임판 숏버전이 아닌 풀코러스로 소화해냈고 관람객덕후팬들의 열렬한 성원에 힘입어 앵콜공연이 있었다고 한다. 저 퍼포먼스 한번 하기도 벅찰 텐데 두 번씩이나?! 앵콜판 영상은 니코동에서 찾다보면 나온다.

제목은 (북쪽에 있는) 홋카이도로 여행을 가서 잘 먹고 잘 놀자는 의미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제목의 미묘한 뉘앙스 때문에 북한으로 월북하는 것이 연상되어 우스갯소리 감이 되었다. 개중엔 아예 김씨 일가 찬양하는 북한 그림에다 게임 제목만 박아서 묘한 물건을 만든 것도 있다(...). 일본에서도 이렇게 생각했는지 비슷한 개그를 쓴 동인지가 나오기도 했다.

3. 등장인물

3.1. 북으로 ~White Illumination~

메인 캐릭터
서브 캐릭터

3.2. 북으로 ~Diamond Dust~

히로인
주인공의 친구들

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북으로 ~Diamond Dust Drops~

북으로 ~Diamond Dust Drops~ (2004)
北へ。~Diamond Dust Drops~
파일:북으로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히로이 오지
캐릭터 원안 NOCCHI
감독 보브 시라하타(ボブ白旗)
시리즈 구성 야마구치 료타(山口亮太)
캐릭터 디자인 치바 미치노리
미술 감독 코야마 토시히사(小山俊久)
와타나베 신(渡辺 紳)
색채 설정 마츠모토 신지(松本真司)
촬영 감독 콘도 신요(近藤慎与)
편집 마츠무라 마사히로(松村正宏)
음향 감독 코바야시 카츠요시(小林克良)
음악 고키타 타케히코(五木田岳彦)
프로듀서 시미즈 슌(清水 俊)
후지타 사토시(藤田 敏)
오구리 타케토모(小栗丈知)
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
하마다 케이지(濱田啓路)AT-X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딘
제작 Project DDD
방영 기간 2004. 01. 14. ~ 2004. 03.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홋카이도 / (수) 02: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전12화 + 미방영 1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이걸 원작으로 애니메이션인 《북으로. ~Diamond Dust Drops~(속칭 北へ。DDD)》도 방영되었다. 주인공이 다른 인물. 총 13화[5]로 감독은 보브 시라하타, 제작사는 스튜디오 딘. 캐릭터 디자이너는 치바 미치노리.[6]

4.1.1. 주제가

4.1.1.1. OP
OP
ホップステップジャンプ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이브 스피리츠
(이시하라 에리코, 와타나베 아케노, 타카하시 히로코, 노토 마미코, 아마세 마유)
작사 히로이 오지
작곡 이케 타케시(池 毅)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카토 토시유키
연출
작화감독 치바 미치노리
원화 오오츠카 켄, 타케다 이츠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1.1.2. ED
ED
会いたい〜Love Theme from 北へ。〜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LLEY:A
작사 히로이 오지
작곡 고키타 타케히코(五木田岳彦)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보브 시라하타(ボブ白旗)
연출
작화감독 치바 미치노리
원화 오카 마리코(岡 真里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1.2.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373a3c,#dddddd> TVA
제1화 〜函館〜茜木温子 前篇
~하코다테시~ 아카네기 아츠코 전편
야마구치 료타
(山口亮太)
보브 시라하타
(ボブ白旗)
치바 미치노리
칸난 마사아키
(河南正昭)
2004.01.14.
제2화 〜函館〜茜木温子 後篇
~하코다테~ 아카네기 아츠코 후편
니시무라 준지 야나세 유지 시미즈 히로아키
(清水博明)
2004.01.21.
제3화 〜北見〜白石果鈴 前篇
~기타미~ 시라이시 카린 전편
오카다 마리 하야시 유키[7]
(林 有紀)
사쿠라이 마사아키
(桜井正明)
2004.01.28.
제4화 〜北見〜白石果鈴 後篇
~기타미~ 시라이시 카린 후편
시모히라 리츠
(下平 律)
세키자키 타카아키
(関崎高明)
2004.02.04.
제5화 〜札幌〜朝比奈京子 前篇
~삿포로~ 아사히나 쿄코 전편
하나다 줏키 니시무라 준지 御神崎海 카도 토모아키
(かどともあき)
2004.02.11.
제6화 〜札幌〜朝比奈京子 後篇
~삿포로~ 아사히나 쿄코 후편
야마모토 히데요 야나세 유지 시미즈 히로아키 2004.02.18.
제7화 〜旭川〜北野スオミ
~아사히카와~ 키타노 나오미
오카다 마리 카와세 토시후미 하야시 유키 토쿠다 유메노스케
(徳田夢之介)
2004.02.25.
제8화 〜札幌〜催馬楽笙子 前篇
~삿포로~ 사이바라 쇼코 전편
사와다 카오루
(澤田 薫)
스즈키 요시나리
(鈴木芳成)
오카모토 히데키 세키자키 타카아키 2004.03.03.
제9화 〜札幌〜催馬楽笙子 後篇
~삿포로~ 사이바라 쇼코 후편
시모히라 리츠 카도 토모아키 2004.03.10.
제10화 〜帯広〜原田明理 前篇
~오비히로~ 하라다 아카리 전편
사토 타쿠야 무로야 야스시
(室谷 靖)
마츠모토 토모유키
(松本朋之)
2004.03.17.
제11화 〜帯広〜原田明理 後篇
~오비히로~ 하라다 아카리 후편
코데라 카츠유키
(こでらかつゆき)
카시마 노리오 마츠시타 키요시
(松下清志)
2004.03.24.
제12화 ダイヤモンド・ダスト・ドロップス
다이아몬드 더스트 드롭스
야마구치 료타 보브 시라하타 나카지마 히로아키
(中島弘明)
무로야 야스시
오오쿠보 오사무
(大久保 修)
2004.03.31.
<rowcolor=#373a3c,#dddddd> 미방영
제13화 〜芬蘭〜旭川〜北野スオミ
~핀란드~아사히카와~ 키타노 나오미
사와다 카오루 시모히라 리츠 고다 하야토
(剛田隼人)
하타 토모지
(畑 智司)
2004.10.27.

4.2. 코믹스

애니메이션과 같은 시기 미디어 믹스물로 코믹판도 나왔으나 퀄리티가 별로인고로 소리없이 묻혔다. 후에 Diamond Dust+Kiss is Beginnig라는 제목의 속편이 나왔는데 이쪽은 전작의 "엔딩과 에필로그의 사이를 나타낸다"고 해놓고 엔딩이 바뀌기도 하고 난이도도 증가했다.


[1] 허드슨이 홋카이도 삿포로에 있던 회사였다.[2] 정확한 누적 집계를 찾을 수 없지만, 첫주에 2만장을 팔았고, 1999년 드림캐스트 게임 판매 11위가 죠죠의 기묘한 모험인데 43000장이다. 이로 미루어 대략 총누계 3만정도에 15위권 정도가 아니었나, 하고 예상해볼 수 있다.[3] 의외의 부분이지만, MGS는 무전을 통해 어디로 가라고 할 때 북쪽으로 가란 말이 자주 나온다.[4] 위의 캐릭터 마후유와 같은 성우인 걸 보고 눈치챈 사람들도 있을 터인데, 위의 마후유와 동일인물이다. 토마는 사실 성 정체성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을 여성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래서 여장을 하면서 호스티스 활동을 하고 있던 것.[5] 13화는 DVD 특전으로 한정판 박스에만 수록되어 있다. 다만 북미판에는 일반판에도 단순히 13화인 것처럼 수록되어 있다.[6] 성우진도 호화스러우며, 더욱 놀라운 점은 본 애니 오리지날 캐릭터들의 성우 일부가 북으로 이후 치바 미치노리가 캐릭터 디자인 및 일러스트를 담당한 애니인 건담 더블오건담 AGE, 그리고 철혈의 오펀스의 등장인물들과 겹치게 된다는 점이다. 겹치는 배역이 생긴 성우는 각각 카세 야스유키, 카미야 히로시, 모리타 마사카즈, 사쿠라이 타카히로, 이토 켄타로, 후루시마 키요타카, 이시즈카 운쇼(여담으로 여기서도 아버지 배역이다), 우에다 유지, 소노자키 미에, 와타나베 미사, 마츠모토 다이, 하야미 쇼, 타나카 아츠코. 이외 치바 미치노리가 캐릭터 디자인 담당한 건담 애니 내 배역과 겹치지는 않지만 에바라 마사시, 나츠키 리오, 노지마 히로후미(동생인 노지마 켄지는 철혈의 오펀스G 에서 시크라제 마이어를 연기했다.), 토오치카 코이치, 콘도 타카유키, 타카기 와타루, 나가사코 타카시, 츠무라 마코토(본인이 홋카이도 태생이다.), 치바 스스무, 스기모토 유우, 오오하라 사야카(동생인 오오하라 타카시는 더블오에서 민중위를, AGE에서 레일 라이트와 데이빗 크루드를 연기했다.), 유야 아츠코, 히로하시 료, 카와카미 토모코 등의 당대 유명하거나 아니면 추후에 유명해지는 성우들도 주인공 쪽의 동료나 관련인물로 캐스팅 되었다. 거기다 카린역 타카하시 아오의 남편인 타치바나 신노스케 역시 후에 건담 AGE에서 글렌 라이즈역으로 캐스팅된다.[7] 코사카 하루메(小坂春女)의 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