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일여자고등학교 관련 틀 | ||||||||||||||||||||||||||||||||||||||||||||||||
|
북일여자고등학교 北一女子高等學校 | ||||
| ||||
BUGIL GIRLS' ACADEMY | ||||
교훈 | 가정에서 훌륭한 어머니 사회에서 실력있는 생활인 인류를 위해 봉사하는 여성 | |||
상징 | <colbgcolor=#f39733><colcolor=#fff> 교화 | 춘란 | ||
교목 | 주목 | |||
교색 | Hanwha Dark Orange (#ef7d00) Hanwha Orange (#f39733) Hanwha Light Orange (#f7be7f) | |||
교육이념 | 21세기가 추구하는 창의적이고 지 · 덕 · 체가 조화된 인재양성 | |||
국가 |
| |||
설립 | 1996년 8월 16일 | |||
개교 | 1997년 3월 6일 | |||
유형 | 일반고등학교 |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
설립 주체 | | |||
학교 법인 | 북일학원 (北一學園) | |||
설립자 | 김승연 | |||
교장 | 윤세윤 | |||
학생 수 | 669명[1] | |||
교원 수 | 61명[2] | |||
관할청 | |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단대로 69 (신부동 245) | |||
대표 전화 | 041-520-8600 | |||
행정실 | 041-520-8608 | |||
홈페이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39733><colcolor=#ffffff> | }}}}}}}}}}}} |
1. 개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소재한 사립 여자고등학교로 1997년에 개교했다. 김승연 회장이 직접 세운 학교로 같은 한화그룹 재단의 북일고와 비교하면 역사가 굉장히 짧지만 역시나 한화그룹 재단답게 2010년에 충청도 우수고교로 선정되었을 만큼 무시할 수 없는 학교이다. 1990년대 후반에 개교한 학교가 남녀공학이 아니라 여고인데는 바로 옆에 1976년부터 있었던 남자학교인 북일고등학교가 있었기 때문이다. 개교 직전에 같은 한화그룹 계열이었던 경향신문[3]에 지면광고[4]를 냈으며, 개교 초에 교실마다 스크린, 대형TV, 펜티엄급 PC 같은 기자재를 갖출 정도로 빵빵한 시설을 자랑하여 세간의 이슈가 될 정도로 화려하게 등장했다. #2. 학교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rowcolor=white><colbgcolor=#f37321><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역대 교장 |
1975년 5월 31일 | 학교법인 ‘천안북일학원’ 설립인가 (설립자 현암 김종희 선생) | ||
1995년 4월 20일 | ‘천안북일여자고등학교’ 설립 계획 승인 | ||
1996년 8월 16일 | ‘천안북일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 | ||
1997년 2월 20일 | 초대 교장 안흥숙 선생 취임 | 初 代 ◉ 안 흥 숙 | |
1997년 3월 6일 |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8학급 403명) | ||
1999년 11월 13일 | 학교교육계획 추진 우수학교 표창(교육부) | ||
2000년 2월 10일 | 제1회 졸업식 | ||
2001년 3월 1일 | 제2대 이창구 교장 취임(남․여고 통합 교장) | 2 代 ◉ 이 창 구 | |
2001년 9월 12일 | 충남 사립학교평가 전 영역 우수학교 선정(충남교육청) | ||
2004년 9월 1일 | 제3대 엄동일 교장 취임(남․여고 통합 교장) | 3 代 ◉ 엄 동 일 | |
2004년 9월 20일 | 충남 사립학교 총괄평가 최우수학교(충남교육청) | ||
2005년 12월 29일 | 우리학교학력증진공모제 최우수학교 선정 | ||
2007년 3월 1일 | 제4대 신현주 교장 취임(남․여고 통합 교장) | 4 代 ◉ 신 현 주 | |
2007년 12월 24일 | 2007년도 전국 100대 교육과정 최우수학교로 선정(교육부총리상 수상) | ||
2009년 3월 1일 | 학교법인 및 학교명 변경 인가(학교법인 ‘북일학원’, ‘북일여자고등학교’) | ||
2011년 9월 1일 | 제5대 강익수 교장 취임(남․여고 통합교장) | 5 代 ◉ 강 익 수 | |
2012년 4월 1일 | 제6대 조재승 교장 취임 | 6 代 ◉ 조 재 승 | |
2012년 9월 28일 | 기숙사 준공 | ||
2015년 2월 5일 | 제16회 졸업식 (312명 졸업, 졸업생 누계 5,251명) | ||
2015년 3월 2일 | 제19회 입학식 (269명 입학) | ||
2016년 3월 2일 | 제7대 교장 이상수 취임 | 7 代 ◉ 이 상 수 | |
2016년 3월 2일 | 천안지역 평준화 1기 입학 | ||
2017년 1월 4일 | 체육관(현암관) 준공 | ||
2017년 3월 6일 | 개교 20주년 기념식 | ||
2017년 8월 10일 | 종합관(야단관) 준공 | ||
2019년 2월 14일 | 제20회 졸업식 (졸업생 누계 6,391명) | ||
2019년 3월 4일 | 제23회 입학식 (251명 입학) | ||
2020년 12월 8일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선정 | ||
2021년 9월 1일 | 제8대 김옥선 교장 취임 | 8 代 ◉ 김 옥 선 | |
2022년 2월 10일 | 제23회 졸업식 | ||
2022년 3월 2일 | 제26회 입학식 | ||
2025년 3월 4일 | 제9대 윤세윤 교장 취임 | 9 代 ◉ 윤 세 윤 | |
2025년 3월 6일 | 제29회 입학식 | ||
※ 상기한 내용은 2025年 3月 6日 기준임. ※ 상기한 내용은 학교력 및 본교 홈페이지 학교 연혁를 참고하였음. ※ 문서 내 오타나 이전 시 오기로 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음. 오류 발견 시 내용 확인 후 수정 요망. |
※ 일러두기
- 교명 변천에 관해
천안북일여자고등학교 설립(1997.11.14) 이후, 2009년 북일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 기수제에 관해
북일여고는 1997년 개교 이래 입학 연도를 기준으로 기수를 부여하고 있다. [5]
3. 교훈 및 상징
3.1. 교육목표 및 교훈
가정에서 훌륭한 어머니 사회에서 실력있는 생활인 인류를 위해 봉사하는 여성 |
교훈 |
3.2. 교표
| ||
Hanwha Dark Orange (#ef7d00) | Hanwha Orange (#f39733) | Hanwha Light Orange (#f7be7f) |
북일의 새로운 심볼은 세상을 환히 밝히는 ‘햇불’ 형상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방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햇불은 세 개의 모티프로 이루어져 있는데, 맨 아래는 인간애(Humanity), 두 번째는 열정(Passion), 맨 위는 도전(Challenge)을 각각 의미합니다. 그리고 방패 형상은 이 세 가지를 수호하는 북일인의 정신을 뜻합니다. 전체적으로 활용된 오렌지는 한화그룹 CI Look & Feel을 그대로 연계하였고, 글로벌 환경에서 당당한 리더로서 선도하는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북일여자고등학교 학교상징』 발췌 |
북일여자고등학교 색상 일람 | |||
색상 | 농도 | CMYK | RGB |
Hanwha Orange | 100% | C0 M68 Y100 K0 (#ff5200) | R239 G150 B0 (#ef7d00) |
70% | C0 M47 Y70 K0 (#ff874d) | R243 G151 B51 (#f39733) | |
50% | C0 M34 Y50 K0 (#ffa880) | R247 G190 B127 (#f7be7f) |
3.3. 교가
아름다운 만남이여 달과 해아래 함께하는 배움이여 보배로워라 열린세계 모든이와 사랑과 평화를 나누라고 우리모교 북일여고 가슴마다 일깨우시네 은혜로운 나날이여 푸른지평에 젊은 지성 생명찬가 숭엄하여라 온갖시련 이겨내며 사람의 바른 길 걸으라고 우리모교 북일여고 앞길마다 축복하시네 |
현재 교표는 형제학교인 북일고등학교와 공유하고 교복도 북일고등학교와 패밀리룩으로 맞춘 반면, 교가는 개교 당초부터 독자적인 교가를 사용하고 있다. [6]
3.4. 교목
<nopad> |
주목 |
붉은색 줄기, 우아한 가지, 진한 초록색의 반짝이는 잎을 가진 늘푸른 귀한 나무, 높은 기상, 품위, 절약을 상징 『북일여자고등학교 학교상징』 발췌 |
3.5. 교화
<nopad> |
춘란 |
고욱하고 맑은 향기, 섬세한 선, 고결한 기품을 지닌 사군자의 으뜸, 청순, 우아, 고결함을 상징 『북일여자고등학교 학교상징』 발췌 |
4. 학교 특징
도보 10~15분 거리에 천안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또한 학교 뒤쪽으로 도보 10~15분 거리에 두정역이 있다. 학교 뒷산을 타고 넘어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굉장히 효율적인 루트이다. 2014년까지만 해도 야구장쪽으로 두정역 가는 길이 있었는데 2015년 이후로 아파트 공사때문에 길이 없어졌다. 그러나 2023년에 야구장쪽으로 가는 길을 등하교 시간에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했다. 또한 차량 5분거리에 천안 IC가 있으며 학교 앞으로 천안 11번 버스가 지나간다. 접근성은 고등학교 치고 어마어마하게 좋은 편이다.5. 학교 시설
북일고등학교 오른편에 있으며, 북일고등학교와 같은 캠퍼스에 있다. 대기업 계열 사립 학교답게 전체적으로 넓어서 대학교를 연상케 하는 캠퍼스와 시원시원한 건물 배치가 특징적이다. 학교 운동장 앞쪽에는 상당히 크고 화려한 기숙사가 2012년에 완공되었다. 시설이 정말 좋다. 기숙사는 2인 1실이며, 각 호실마다 화장실과 세면실이 딸려있다.2016년 말에 체육관을 새로 지었다. 북일고등학교와 같이 사용하며 크다.
2019년 체육관은 현암관, 종합관은 아단관으로 정해졌다. 현암관 지하에는 왼쪽에 여고, 오른쪽에 남고가 사용하는 동아리실이 있고 지상은 체육관으로 이용된다. 벚꽃이 필 때면 몇몇 동아리들이 현암관 앞에서 종종 버스킹을 하곤 한다.
6. 학교 생활
등하교를 하려면 경사가 어마어마하고 길이도 긴 해오름 언덕을 지나야 한다. 그곳을 반 정도 오르면 여기저기서 집에 가고싶다는 소리와 곡소리, 그리고 욕소리가 들려온다. 기숙사 1층에 위치한 급식실과 학교 운동장 사이엔 경사진 언덕이 있는데 겨울이 되면 그곳에서 썰매를 타곤 한다. 그 시즌엔 랜덤의 확률로 골절 등의 부상자가 나타난다. 교실 바닥은 대리석으로, 실내화를 굳이 신을 필요가 없지만 웬만해선 신는 걸 권한다. 교실마다 한 층을 쭉 아우르는 베란다가 있다.매해 신입생들은 예향원에서 하루간의 교내 자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헌법 제 1조 1항을 기타반주에 맞춰 노래한다던지, 반별로 고기를 구워 먹는다던지, 한복 입는 법을 배운다던지... 끝날 무렵엔 학부모를 초대해 서로 편지를 읽어주게 한다.[7] 최근에는 안 하는 추세이다.
1학년이 쓰는 별관은 항상 춥다. 볕이 잘 들지 않아 음산하다... 본관 위에는 무용실이 있다. 밖에서 보면 보이는 주황색 곡선 지붕 바로 밑이 무용실이다.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과거에는 북일학원에서 벚꽃 축제를 대규모로 개최하였고 한화그룹 재단[8] 답게 불꽃놀이도 유명했으나, 불꽃놀이는 근처에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2015년부터 사라졌으며 최근에는 벚꽃 축제를 개최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주말 며칠을 학교 개방의 날으로 정해 교내를 외부인에게 개방한다.
6.2. 학교 일과
7.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인자혜: 뮤지컬 배우
- 일주어터 : 코미디언, 유튜버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노선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북일고 북일여고 | 11, 92 |
역말오거리 천안희망초 | 2, 7, 14, 20, 81, 82, 83, 87, 100, 110, 112, 113, 120, 121, 122, 140, 141, 142, 143, 144, 145, 147, 150, 151, 152, 157 |
8.2. 철도
9. 사건 사고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하시기 바랍니다. |
10. 기타
- 교복이 완전 자율화된 몇 안 되는 학교 중 하나이다.
- 1997년에 방송된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제131회의 배경으로 등장했다.
[1] 2025학년도 기준[2] 2024학년도 기준[3] 1990년부터 1998년까지 한화그룹이 인수하여 산하에 두었다.[4] 다만 이때는 완공 및 개교 이전이라 광고 사진에는 북일고등학교가 나왔고, 이는 북일고등학교의 형제학교라는 이미지를 어필하려던 것으로 보인다.[5] 2025학년도 입학생은 북일여고 29기 에 해당한다.[6] 일반적으로 사립학교들은 재단이 같으면 교가를 돌려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단내에서 학교 마다 독자적인 교가를 쓰게 한 것은 어찌보면 파격적이다.[7] 이때 눈물파티가 벌어진다.[8] 한화는 본래 한국화약으로, 화약 생산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