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3:35:53

삼태성

성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Black><colcolor=#fff>기본 개념항성 · 성단
주요 성군<colbgcolor=Black><colcolor=#fff>계절 성군봄의 대삼각형 · 봄의 대곡선
여름여름의 대삼각형 · 여름의 대사각형
가을가을의 대사각형
겨울겨울의 대삼각형 · 겨울의 대육각형
별자리 기반 성군궁수자리찻주전자 성군 · 티스푼 성군
오리온자리오리온의 허리띠 · 오리온의 검 · 오리온의 팔
· 오리온의 방패
큰곰자리북두칠성 · 삼태성
백조자리북십자성
사자자리낫 성군
별자리 외 성군십자가 형태가짜 십자가 · 다이아몬드 십자가
글자 형태X · Y · ?
곡선 형태독수리 꼬리 · 뱀 그릇
기타 형태남두육성 · 황도의 금문 · 다이아몬드 링
소규모 성군성단 구조37 성단 · 크리스마스트리 성단 · 트라페지움 · 스타게이트 성단
비성단 구조옷걸이 성단 · 켐블의 캐스케이트 · 메시에 73 · NGC 1746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틀:별자리
}}}}}}}}} ||

1. 큰곰자리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세 쌍의 별2. 오리온자리의 허리띠에 해당하는 세 개의 별
2.1. 소삼태성
3. 삼태성 설화4. 북한의 용어

1. 큰곰자리의 발바닥에 해당하는 세 쌍의 별

파일:samtaeseong.png
三台星

서양식으로는 큰곰자리의 발바닥, 동양식으로는 북두칠성의 국자 부분 아래쪽에 위치한 별 세 쌍. 즉 세 개가 아니라 여섯 개 별로 이루어진 동양 별자리다. 3원 28수에서 3원 중 태미원에 속하고, 동양 천문학에서는 만물을 주관하는 신하들의 별로 통했으며, 자미성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한다. 이순지의 <천문유초>에 따르면 상태, 중태, 하태라는 이름이 있었다.

서양 천문학의 아버지 격인 아랍 천문학에서도 '가젤의 세 번 도약'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는데, 하태가 첫 번째, 중태가 두 번째, 상태가 세 번째 도약에 해당한다. 상태는 탈리사(Talitha, 이오타별) 및 알카프라(Alkaphrah, 카파별), 중태는 타니아(Tania), 하태는 알룰라(Alula)라는 이름이 있고, 타니아와 알룰라는 각 쌍을 남쪽(Australis)과 북쪽(Borealis)으로 구분한다. 북쪽부터 남쪽으로 상태는 큰곰자리 이오타(ι)와 카파(κ), 중태는 람다(λ)와 뮤(μ), 하태는 누(ν)와 크사이(ξ)라는 바이어 기호를 부여받았다.

본래 삼태성이라 하면 이 별을 뜻하는 것이었으나, 서양식 별자리가 널리 알려지고 한국 신화보다 그리스 신화에 친숙해진 세대가 많아지면서 아래의 2번 항목에 자리를 많이 빼앗겼다. 그래도 완전히 실전되지는 않는 것이, 워낙 동양 천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던 별이라 기록이 많고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그려진 데다 관련 설화[1]까지 수두룩해 학술적 원조로서 위상에는 변함이 없는 듯하다. 일반인들이 잘 몰라서 문제일 뿐

2. 오리온자리의 허리띠에 해당하는 세 개의 별

콜린더 천체
Cr 69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Cr 70
오리온자리의 성군
Cr 71
마차부자리의 산개성단
오리온의 허리띠
Cr 70
<nopad> 파일:삼형제별01.png
관측 정보
명칭 알니탁 알닐람 민타카
적경 05h 40m 45.5s 05h 36m 12.8s 05h 32m 00.4s
적위 −01° 56′ 34.3″ −01° 12′ 06.9″ −00° 17′ 56.7″
물리적 성질
형태(주성) 청색초거성 청색초거성 청색거성
분광형(주성) O9.5Iab B0Ia O9.5II
거리 약 1,260 광년 약 2,000 광년 약 1,200 광년
겉보기등급 1.77[2] 1.69[3] 2.23[4]
명칭
오리온의 허리띠, 오리온 벨트, Cr 70

지구에서 관측할 때 알니탁(δ), 알닐람(ε), 민타카(ζ)의 세 별이 한 줄로 늘어서 있는 것처럼 보여 일명 '오리온의 허리띠(Orion's Belt)'로 불리던 성군이다. 날씨가 맑고 광공해가 적은 겨울 밤에는 맨눈으로도 매우 잘 보이며, 베텔게우스와 리겔 사이에 거의 같은 크기의 별들이 거리도 일정하게 일직선상으로 늘어서 있기 때문에 천체 관측에 있어 유용한 기준점이 된다.

본래 동양에서 이 성군을 부르는 이름은 '삼태성'이 아니라 '삼성(參星)', '삼형제별'이었다. 오리온의 허리띠에 해당하는 세 별은 중국 전통 별자리에서는 삼수의 일부로, 삼수는 이 세 개의 별과 베텔게우스, 벨라트릭스, 사이프, 리겔로 이루어진 성관이다. 반대로 삼태성은 항목 1.의 큰곰자리의 별만을 가리켰다. 각종 백과사전이나 전문서적에서도 삼태성을 찾으면 1.의 항목만이 표시된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이 쪽을 삼태성으로 오해한 것이 더 유명해지는 바람에 사실상 학술적(동양철학, 천문학, 민속학)인 의미를 제외하면 일상적으로는 이 쪽이 삼태성으로 더 많이 불리고 있다. 과학 교과서에서도 이쪽을 삼태성이라고들 하니 일상에서 1.이 삼태성이라는 인식을 가질 가능성은 앞으로도 없을듯.

삼성, 또는 삼태성이라는 인식 때문에 '세 별이 실제로도 나란히 있을 것'이라는 전통적인 오해가 있으나, 사실은 지구에서만 그렇게 보이는 것이고 실제로는 서로간의 거리가 엄청나게 멀리 떨어진 별들이다. 허공에 구슬을 던졌는데 사진에 한 줄로 찍히더라는 수준의 우연의 일치다. 다만 이 별들의 특성을 따져보면 공통점도 많다. 우리 은하의 오리온 나선팔을 따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며, 모두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수백 광년을 넘어가고, 엄청난 절대등급을 자랑하는 분광형 O 후반-B 초반의 청백색 거성이라는 점이다. 즉, 성군이 일직선으로 늘어선 것처럼 보이는 것은 관측 상의 우연이지만 비슷한 특징의 별들이 같은 방향으로 존재하는 것은 우리 은하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시리우스와도 연관이 있다. 삼태성을 연결한 선을 연장해서 따라가면 시리우스를 찾을 수 있다.

이들은 천구의 적도와도 매우 근접해 있다. 특히 오른쪽 위의 민타카는 거의 정확하게 적도 위에 있다. 이 때문에 허리띠의 세 별들, 나아가서는 오리온자리 전체가 북반구에서도, 남반구에서도 관측이 용이하다.

베텔기우스와 알니탁을 이어서 (1:0.2) 내려가면 오리온 성운(M42)을 관측할 수 있다. 또 알니탁 근처에는 과학교과서의 네임드 성운말머리성운(B33)도 있으니 막 입문한 초보 천체관측자들에게는 그야말로 꽃밭이라고 불릴 만한 별자리. 사실 오리온자리 자체가 워낙 화려한 별자리기는 하지만, 삼형제별 근처가 특히 그렇다고 볼 수 있다.
파일:Orionis.png

2.1. 소삼태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리온의 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삼형제별의 아래쪽, 서양에서 오리온의 검으로 불리는 곳(위에서 말한 오리온 성운 근처)에도 세 개의 별이 나란히 있는데, 이것을 소삼태성이라고 부른다. 허리띠의 삼태성과 대비시킨 이름으로 생각되지만, 본디 허리띠 별의 이름이 삼태성이 아니었던 걸 생각하면 잘못된 용어의 잘못된 파생어인 셈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소삼성'이라고 이름을 붙이기도 했는데, 전문서적까지 쳐도 그 수가 극히 미미하다. 즉 이쪽은 그냥 '소삼태성'이 일반화되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3. 삼태성 설화

밤하늘에 동에서 서로 흘러가는 삼 형제 별을 삼태성이라 부른다. 옛날 흑룡담 늪가에 유복자로 태어난 삼 태자가 있었는데, 어머니에 의해 각각 스승을 찾아 십 년 동안 학문과 재주를 배우고 돌아왔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광풍이 불고 비가 퍼붓더니 해가 사라졌다. 사흘이 지나자 어머니가 해를 찾아오라며 삼 태자를 떠나보냈다. 삼 태자가 맏이의 스승에게 연유를 알아보니, 흑룡담의 암수 흑룡(黑龍) 두 마리가 하늘에서 행패를 부리다 암놈이 해를 삼키고 하늘 끝으로 올라가자 수놈도 따라갔다는 것이다. 삼 태자가 두 흑룡과 대결하여 마침내 암놈이 해를 토하게 했다. 그리하여 인간 세상에 다시 밝은 날이 돌아왔다. 삼 태자가 한 마리는 죽였으나, 다른 한 마리는 흑룡담으로 도망갔다. 도망간 흑룡이 다시 해를 삼키지 못하도록 삼 태자가 하늘에 올라 해를 지키는 삼태성이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태성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4. 북한의 용어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 등장하는 단어.

항일무장투쟁 시기의 세 개의 밝은 별을 뜻하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을 지칭한다.

삼태성청량음료점과 같은 가게명으로 쓰이기도 하며, 북한의 휴대전화 브랜드인 삼태성8[5] 등에도 사용하고 있다.


[1] 찾아보면 삼태성의 기원이라는 삼형제 신화부터, 제갈량의 죽음을 예언했다는 민담까지 종류도 다양하다.[2] 삼중성, 2.08 + 4.28 + 4.01[3] 단일 α Cygni형 변광성, 1.64 – 1.74[4] 다중성, 2.50 + 3.90[5] 북한의 자체 생산 휴대전화인지, 중국에서 밀수한 휴대전화인지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