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그룹 '마틸다'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새별(마틸다) 문서
, 조선의 왕족이자 도정궁 사손 이하전에 대한 내용은 경원군(1842)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도인민위 청진시 | 김책시 | 회령시 | }}} | |||
군 | |||||||
경성군 | 길주군 | 명간군 | 명천군 | ||||
무산군 | 부령군 | 경원군 | 어랑군 | ||||
연사군 | 온성군 | 경흥군 | 화대군 | ||||
}}}}}}}}} |
慶源郡 / Kyŏngwŏn County / 새별군 (고유어/지명) / 졍원군, 정원군 (육진 방언)
함경북도의 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경원군 慶源郡 Kyŏngwŏn County | }}} | ||
군소재지 | 경원읍 | |||
지역 | 관북 | |||
면적 | 910 km2 | |||
행정구역 | 1읍 3구 21리 | |||
시간대 | UTC+9 | |||
인구 | 107,327명 (2008) | |||
인구밀도 | ||||
군당 책임비서 | 미상 | |||
인민위원장 | 미상 |
[clearfix]
1. 개관
함경북도의 군. 면적 910㎢.조선의 발원지로 유명하다. 이성계의 선조의 무덤이 바로 여기에 있었는데[1], 정도전 등이 주가 되어서 \'경사스러운 조선 왕조의 근원지이니 경원이라 칭하자'고 해서 경원군이 되었다.
북한 정권은 체제경쟁에 역사를 써먹기 위해 북한 땅에 중심지를 두었던 고조선-고구려-고려 왕조를 긍정적으로 부각하고 반면 남한 땅에 중심지가 있었던 백제/신라-조선 왕조를 의도적으로 폄하하는 역사관을 견지했다. 즉 조선왕조의 길지라는 의미인 이 지명을 가만히 두지 않아 1977년 9월 16일에 새별군으로 개칭된 바 있었다. '새별'은 북한 가곡 '조선의 별'에서 '조선의 밤하늘에 뜬 새별', 즉 김일성을 의미하며, '일제 치하에 신음하던 이 고장 사람들에게 항일 운동으로 샛별처럼 조국 광복의 서광을 비추었다'고 선전하는 차원에서 개칭한 것이다. 그러다 2005년 3월에 원래 이름이었던 경원군으로 개칭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훈융역에서 두만강 건너편 중국 솔만자로 통하는 도로교와 철도교가 부설되어 있었지만[2], 지금은 끊겨 있다. 워낙 개발이 안 된 동네다보니 아직도 당시의 노반이 그대로 남아있다.위성지도 끊긴 이유에 대해서는 일본군이 퇴각하면서 끊었다는 설과 소련군이 일본군의 퇴로를 차단하기 위해 끊었다는 설이 있는데 연변지역 어르신들에게 아무리 물어봐도 두 설이 뒤섞인다(...) 도문에서 훈춘 가는 버스를 타고 솔만자에 내리면 이 끊어진 다리로 갈 수 있으니 관심 있는 사람은 한번 가 보자.[3] 중국측 철도가 훈춘까지만 부설되어 있는 현재로서는 가장 적은 비용으로 훈춘과 라진항을 이어줄 수 있는 지점이기 때문에 두만강 개발사업이 논의되던 90년대에 이 철교의 복구사업이 논의된 적이 있다. 참고로 훈춘시와 경원읍의 거리는 불과 14km.
군역 내에 퇴적으로 연륙된 중국측 섬이 여럿 붙어있고, 반대로 중국쪽으로 퇴적된 류다섬을 군에서 관할하고 있다. 본토와 류다섬 사이에는 교량이 건설되어 있으며 류다섬에 세관이 설치되어 있다.
교통편이 의외로 난이도가 지옥이다. 대개 최북단의 온성군을 가장 가기 힘든 곳을 꼽게 마련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경원군이 가장 가기 힘든 곳이다.
철도의 경우, 경원군은 온성군처럼 중국에서 건너가기도 힘들고, 북쪽에서 가려면 온성군을 거쳐야 하며, 남쪽에서 올라가려면 라선시와 경흥군을 거쳐가야 한다. 이는 도로도 마찬가지라 본격 2급도로가 아니면 죽음을. 그나마 상태가 좋은 2급도로를 타자면(비포장 2차선이다) 철도와 마찬가지로 빙빙 돌아야 하고, 그렇다고 그 이하 도로를 탄다면 차가 상한다. 포장이라도 잘 되어 있으면 모르겠는데, 북한은 1급도로도 비포장이다.
2. 기후
기후대는 냉대기후에 속하고 연교차가 매우 큰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 최한월인 1월의 평균기온은 이웃한 온성군과 회령시와 비슷한 -12.1℃로 매우 춥다. 다만 이곳의 위도는 생각보다 낮은 편인데 북위 42°51'30"로 불가리아의 소피아[5]보다 약간 더 높은 정도다. 그런데 소피아의 1월 평균기온은 -0.5℃로 위도가 7도 정도 낮은 전주시와 비슷하며 경원군보다 10℃ 이상 더 따뜻하다.최난월인 8월의 평균기온은 21.3℃로 태백시의 여름기온과 비슷한 편이다. 그러므로 연교차가 33℃가 넘을 정도로 매우 큰 편이다.[6] 최저 기온은 1972년 2월 16일에 기록한 -29.6℃로 동북 3성 못지않게 춥다. 연 평균 강수량은 겨우 588mm로 매우 적다.
3. 인근 행정구역
온성군 | 중 국 | 중 국 |
경원군 | ||
회령시 | 경흥군 | |
경흥군 |
■ 함경북도 소속
4. 교통편
철도 | 함북선 | 훈융역 하면역 경원역 농포역 룡당리역신건역 |
고건원선 | 고건원역 | |
도로 | 7번 국도 | 온성군 - 훈융리 - 하면로동자구 - 경원읍 - 농포리 - 룡당리 - 신건리 - 은덕군 - 부산광역시 |
91번 국도 | 회령시 - 룡계리 - 봉산리 - 룡문리 - 고건원로동자구 - 동림리 - 승량리 | |
94번 국도 | 회령시 - 룡계리 - 은덕군 |
91번 국도는 종점에서 7번 국도와 접속한다.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9c213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colbgcolor=#9c2131> 시 | 청진시 | 성진시 | 나진시 | |
군 | 경성군 | 명천군 | 길주군 | 학성군 | |
부령군 | 무산군 | 회령군 | 종성군 | ||
경흥군 | 경원군 | 온성군 | |||
명목상 도청소재지 : 청진시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00F14> 면 | 군청 경원면 | 안농면 | 동원면 |
용덕면 | 아산면 | 유덕면 |
함경북도의 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경원군 慶源郡 Kyŏngwŏn County | }}} | |||
<colbgcolor=#000000><colcolor=#CDD04B> 군청 소재지 | 경원면 성내동 | |||||
상위 행정구역 | 함경북도 | |||||
하위 행정구역 | 6면 | |||||
면적 | 856.98km² | |||||
인구 | 45,905명[7] | |||||
인구밀도 | 53.57/㎢ | |||||
명예군수 | 최영환 | |||||
명예면장 | 6석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경원군 소개 |
군기 |
[9]
- 경원면(慶源面)
- 동원면(東原面)
- 아산면(阿山面)
- 안농면(安農面)
- 용덕면(龍德面)
- 관할 동 : 용현(龍峴), 용남(龍南), 용문(龍門), 용북(龍北), 용서(龍西), 용신(龍新), 용평(龍坪), 용향(龍香)
- 산업철도인 고건원선이 면의 북부를 스쳐지나가며 관내에 고건원역이 있다.
- 유덕면(有德面)
5.1. 행정 구역의 변화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로동자구 (구 동/리) 순서.- 경원군에서 남은 행정구역
- 경원면
- 경원읍 (관류동, 봉운동)
- 하면로동자구 (이도동, 하면동)
- 성내리 (관류동, 증산동, 성내동, 심령동, 회동리)
- 중영리 (송천동, 중영동)
- 후석리 (봉운동)
- 동원면
- 룡북로동자구 (임대동)
- 동림리 (공자동, 유수동, 중평동)
- 신건리 (노관동, 신건동, 화정동)
- 안원리 (금월동)
- 아산면
- 신건리 (수정동)
- 안농면
- 금동리 (금동)
- 농포리 (이동)
- 량동리 (양동)
- 룡당리 (승량동, 여운동)
- 류다섬리 (금희동, 신개동)
- 성내리 (석현동)
- 안원리 (고성동, 세동리, 안원동)
- 용덕면
- 고건원로동자구 (용북동)
- 룡북로동자구 (용북동)
- 룡남리 (용남동, 용향동)
- 룡문리 (용문동)
- 룡신리 (용신동, 용평동)
- 룡현리 (용서동, 용현동)
- 구 온성군 지역
- 훈융면
- 사수리 (사수동, 풍무동)
- 훈융리 (금화동)
- 구 종성군 지역
- 용계면
- 룡계리 (부계동, 서원동, 임천동)
- 봉산리 (봉산동)
- 연산리 (연산동)
- 종산리 (임천동, 종산동)
6. 북한 기준 행정구역
1읍 3구 21리로 이루어져 있다.
경원군의 행정구역 | |
읍 | 경원읍 |
로동자구 | 고건원구 룡북구 하면구 |
리 | 금동리 농포리 동림리 량동리 룡계리 룡남리 룡당리 룡문리 룡신리 룡현리 류다섬리봉산리 사수리 성내리 신건리 안원리 연산리 종산리 중영리 후석리 훈융리 |
7. 출신 인물
[1] 목조와 그 비의 능인데, 태종 때 함경남도 신흥군으로 이장했다.[2] 광복 당시 이 지역은 온성군 소속이었다.[3] 여담이지만 이 다리의 절단부분은 두만강 한가운데에서 북한 쪽으로 좀 더 가서 있기 때문에, 일단 절단부까지 가면 공식적으로는 북한 땅에 들어가게 된다! 물론 신경 쓰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4] 이미 '도로리정도'라는 북한 지도가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어 1급도로가 어디까지 지정되어 있는지가 외부 세계에 알려져 있고, 위성이나 탈북민 증언이 실린 각종 논문에서 그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5] 북위 42°42'으로 경원군보다 약간 낮다.[6] 미국의 중부 내륙에 위치한 미네소타주와 연교차가 비슷하다.[7] 1944년 인구총조사[8] 경원군을 이루는 6개 면을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추정된다.[9] 지도에 82번 국도가 표기되어 있는데, 정작 82번 국도는 남한에 있다(...). 오기일 가능성이 있지만, 저 지도가 1996년 이전에 나온 것으로 보이며(나무위키의 일부 이북5도 행정구역 지도에 "러시아" 대신 "소련"으로 표기된 것만 봐도...), 당시에는 82번 국도가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남북통일을 대비해서 미리 할당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남북분단이 고착화되면서 북한 지역에 할당한 후반대 번호를 남한 국도에 지정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 참고로 저 82번이라고 적어놓은 국도는 원래 7번 국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