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 작품 목록 | ||
데미안 | 수레바퀴 아래서 | 유리알 유희 |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 7월의 아이들 | 황야의 이리 |
공작나방 | ||
나무위키에 등재된 작품 |
<rowcolor=#fff>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선정 독문학 정전: 소설 부문 Der Kanon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독일, 1774 | |||
친화력 Die Wahlverwandtschaften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독일, 1809 | ||||
악마의 묘약 Die Elixiere des Teufels E. T. A. 호프만 | 독일, 1815 | ||||
녹색의 하인리히 Der grüne Heinrich 고트프리트 켈러 | 스위스, 1855 | ||||
예니 트라이블 부인 Frau Jenny Treibel 테오도어 폰타네 | 독일, 1892 | ||||
에피 브리스트 Effi Briest 테오도어 폰타네 | 독일, 1895 | ||||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 Buddenbrooks 토마스 만 | 독일, 1901 | ||||
마의 산 Der Zauberberg 토마스 만 | 독일, 1924 | ||||
운라트 선생 Professor Unrat 하인리히 만 | 독일, 1905 | ||||
수레바퀴 아래서 Unterm Rad 헤르만 헤세 | 독일, 1906 | ||||
생도 퇴를레스의 혼란 Die Verwirrungen des Zöglings Törleß 로베르트 무질 | 오스트리아, 1906 | ||||
소송 Der Prozeß 프란츠 카프카 | 오스트리아, 1915 | ||||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Berlin Alexanderplatz 알프레트 되블린 | 독일, 1929 | ||||
라데츠키 행진곡 Radetzkymarsch 요제프 로트 | 오스트리아, 1932 | ||||
제7의 십자가 Das siebte Kreuz 안나 제거스 | 독일, 1942 | ||||
슈트루델호프 계단 Die Strudlhofstiege 하이미토 폰 도더러 | 오스트리아, 1951 | ||||
풀밭 위의 비둘기들 Tauben im Gras 볼프강 쾨펜 | 독일, 1951 | ||||
양철북 Die Blechtrommel 귄터 그라스 | 독일, 1959 | ||||
몬타우크 Montauk 막스 프리슈 | 스위스, 1975 | ||||
벌목꾼 Holzfällen 토마스 베른하르트 | 오스트리아, 1984 | ||||
※ "문학 교황(Literaturpapst)"으로도 불리는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1920 - 2013)는 현대 독일에서 가장 권위있는 독문학 평론가 중 하나임 ※ 체코계 유대인인 프란츠 카프카의 "소송"의 경우 프라하에서 집필되었으나, 당시 작가의 국적을 따라 오스트리아로 표기함 ※ 안나 제거스의 "제7의 십자가"의 경우 최초 판본은 망명 중 멕시코에서 출판되었으나, 작가의 국적을 따라 독일로 표기함 |
Unterm Rad
1. 개요
헤르만 헤세의 1906년작 소설. '수레바퀴 밑에서'[1]라고도 번역된다.신학교 입학을 강요받아 살면서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을 포기한 채 살아가다 결국 삶의 목적을 잃게 되는 소년 한스 기벤라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자신을 짓누르는 가정과 학교의 종교적 전통, 고루하고 위선적인 권위에 맞서 싸우는 어린 소년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가의 자전적 성격을 띤 소설이다. 주인공 한스 기벤라트는 헤세의 분신일 뿐만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 젊은이들의 자화상이다.[2]
2. 줄거리
주인공 한스 기벤라트는 낚시를 즐기고, 토끼와 자연을 사랑하는 섬세한 감성의 소년이다. 그는 어머니를 여의고 홀아버지 밑에서 자랐는데, 힘든 준비 기간을 거쳐 마침내 신학교 시험에 합격한다.[3] 신학교 생활은 엄격하고 고되지만 그는 비교적 잘 적응하여 좋은 성적을 유지해 나간다. 그러다가 '헤르만 하일너'라는 천재적이고 반항적인 시인 학생을 만나게 된다. 한스는 하일너와의 우정이 깊어질수록 주입식 교육과 가혹한 규율이 지배하는 학교 생활을 점점 견딜 수 없게 되고, 여기에 힌딩거라는 친구의 죽음과 하일너와의 이별이 기폭제가 되어 더더욱 정신적 압박에 시달리며 심신이 피폐해진다.
결국 고향으로 돌아온 한스는[4] 무기력과 우울증 속을 방황하다가 빈민 거리의 사람들과 사귀면서 다양한 경험들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엠마라는 여자를 사랑하게되는데, 이 사랑 역시 짧은 만남으로 끝남으로써 또 한 차례 깊은 좌절감을 맛보게 된다.[5][6] 그래도 마음을 잡고 기계공으로 취직하여 다시 새출발을 하려 하지만[7] 고된 노동과 정신적 갈등[8] 속에 첫 주를 보낸다. 그래도 취직 후 처음 맞이하는 일요일에는 동료들과 주점에서 어울리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듯 했으나, 그날 저녁 만취한 채 혼자 귀가하던 중 그만 강물에 빠져 죽고 만다.[9][10]
3. 등장인물
- 한스 기벤라트
소설의 주인공. 공부 쪽에 상당한 재능을 보임. 어릴 때는 낚시나 수영, 토끼 기르기를 좋아했지만 공부를 하며 하지 못하게 됐다. 재능도 있지만 방학동안 노는걸 포기하고 공부하거나 신학교에서도 공부를 열심히 하기에 노력파라고 볼 수 있다. 어느날 하일너를 만난걸 시작으로 공부의 양을 줄여서 성적이 떨어지고 다시 되돌릴 수 없게 되어서 결국 신학교를 휴학한다. 수줍고 마음여린 성격을 가지고 있다.
- 헤르만[11] 하일너
한스의 친구. 신학교에서 처음 한스를 만나 친구가 된다.자유분방한 시인이라는 한스와는 반대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공부에 신경을 쓰지 않고 1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한심하게 여긴다. 선생님이나 다른 학생들과 자주 충돌한다.
- 요제프 기벤라트
한스의 아버지.
- 플라이크
고향 마을의 구둣방 주인 아저씨. 뛰어난 학생도 시험에 떨어질 수 있으니, 그렇게 된다 해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고 한스에게 말해준 유일한 사람. 대답하기 어려운 날카로운 질문을 하고, 겸손해야 한다고 자주 이야기하여 자존심 상한 한스는 플라이크 아저씨를 멀리하기도 했다.
- 안나 아주머니
한스네 하녀. 한스에게 따뜻하게 대한다.
- 아우구스트
라틴어 학교의 유일한 친구. 한스와 함께 토끼장을 고치고, 천막을 치고 놀기도 했다. 학교를 중퇴하고 기계공 견습생이 된다.
- 기계공 슐러
공장 주인.
- 엠마 게슬러
게슬러 씨의 딸.
- 엠마
구둣방 플라이크 아저씨의 조카. 사과즙을 짜면서 한스와 친해지는데...
- 헤르만 레히텐하일
한스에게 낚시의 모든 것을 알려준 친구. "매의 거리"에 산다.
- 비드리히
복습 지도를 맡은 젊은 교사. 끝까지 한스를 자상하게 대했던 유일한 교사.
- 에밀 루치우스
옅은 금발의 구두쇠 괴짜.
- 오토 하르트너
슈투트가르트 출신. 대학 교수의 아들.
- 카를 하멜
고원 지대의 읍장 아들. 한스에게 우정을 고백하지만 퇴짜를 맞는다.
카를 하멜이 우정을 고백했을 때, 한스는 깜짝 놀라서 뒷걸음질을 쳤다. 그러자 하멜은 곧 '스파르타' 방 아이들과 친해졌다. 한스는 홀로 남겨졌으나 우정의 세계를 동경하는 마음은 억제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수줍음이 그를 억눌렀다. 그는 어머니 없이 엄격한 소년 시절을 보냈던 탓인지 친구들에게 쉽사리 다가가지 못했다. 그리고 뜨거운 우정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다.(더스토리판 번역)
- 둔스탄
다람쥐 신문 창간인/편집장.
- 힌딩거
알고이 지방의 양복점 집 아들. 별명은 힌두.
4. 명언
너무도 지나치게 내몰리다 길가에 쓰러진 어린 말은 이제 더는 쓸모없는 존재로 전락했다.
그래야지. 기운이 빠져서는 안 돼. 그렇게 되면, 수레바퀴 아래에 깔리고 말 거야.[12]
5. 미디어 믹스
5.1. 뮤지컬
자세한 내용은 수레바퀴 아래서(뮤지컬) 문서 참고하십시오.6. 기타
강압적 교육으로 청소년이 겪는 고통, 슬픔을 다루고 있다는 점은 한참 후에 나오는 <죽은 시인의 사회>와도 비슷하다. 극중 주인공에게 자유(기성세대에게는 '일탈'이겠지만) 의식을 전해주는 인물의 존재,[13] 주인공이 자살로 세상을 떠나는 것도 마찬가지.한국 창작 동화 중에 '땅콩 껍질 속의 아이들'이라는 작품이 있는데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거 빼면 완전 표절작. 등장인물 이름도 한스가 '양한라', 하일너가 '하인해'라는 이름으로 비슷하다.
작품해설에 따르면 이 소설은 작가 헤르만 헤세의 청소년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졌다고 한다. 주인공 한스와 마찬가지로 헤르만 헤세는 우수한 성적으로 기숙 신학교에 입학했으며 작중 헤르만 하일너가 학교에서 도망치는 이야기는 실제 헤르만 헤세의 일화였다고 한다. 헤르만 헤세는 당시 학교에서 도망치다 경찰에게 잡혀 돌아온 뒤 8시간동안 감금당하는 체벌을 당했으며 이후 우울증 증세가 심해져 주변 친구들부터 왕따까지 당했다고 한다. 이런 헤세의 불안한 정신상태를 이유로 학교에서는 보호와 배려 보단 오히려 선생님들이 앞장서서 퇴학시키길 원했다고 한다. 결국 헤르만 헤세는 신학교를 자퇴하고 신경쇠약으로 인해 요양에 들어간다.#
위에 에피소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소설의 배경인 19세기말 당시 독일의 교육은 매우 강압적이고 권위적이어서 자살하는 청소년들이 굉장히 많아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고 한다. 이로부터 약간 후대의 인물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역시 독일의 권위적인 교육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하다가 비교적 자유로운 스위스로 이주하고 나서야 천재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5분 후 의외의 결말 시리즈 중 5초 후 의외의 결말 판도라의 빨간 상자 편에서는 이런 일본어 말장난도 나온다. 교생실습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책을 추천해 주는데 그 책은 상(上)권은 없고 하(下)권만 있는 책이었다. 그래서 서점에 간 남학생이 마침 교생실습 선생님이 점원 아르바이트를 하는 걸 보고 상권이 어디 갔냐고 묻는데, 사실 그 책은 아래 하 자가 들어간 수레바퀴 아래서였다...
[1]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는 이렇게 쓰나 '수레바퀴 아래서'가 훨씬 대중적으로 쓰인다.[2] 민음사 번역본 中[3] 국가에서 학비를 지원하는 학교로, 이곳을 졸업하면 대학에 진학하여 역시 국비로 목사나 교사를 양성하게 되는 프로그램이다.[4] 공식적으로는 휴학이지만 사실상 자퇴. 워낙 천재들만 모여서 몇 주만 진도가 밀려도 다시는 못 따라가기에 휴학했다 다시 돌아오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고 언급된다.[5] 엠마가 한스와의 키스 이후 몸을 밀착하며 그의 손을 끌어 자신의 코르셋에 갖다 대자 한스는 숨막히는 느낌을 받고 이를 거부했고, 엠마가 휘청거리는 그를 부축하여 집으로 돌아간다. 다음날 그녀가 일을 도우러 오지 않아 의아해하던 한스는 아이들로부터 그녀가 그에게 말없이 떠나버렸다는 소식을 전해들었다. 그리고 그녀 스스로가 다음날에 떠날 예정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을 텐데 그런 행동을 하고 인사도 없이 떠나버린 것에 대해 그녀가 자신을 진심으로 대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번민에 시달린다.[6] 외로운 늑대처럼 행동하지만 여성에 환상을 가져서 막상 상대가 키스해올 때 겁을 내고 물러나 상대를 실망시키는 소심하고 마음여린 주인공과, 주인공을 진지하게 대하지 않는 여성들은 다른 헤세 작품들에도 등장한다. 일종의 클리셰? 헤세의 소설들이 자전적이라는 평은 오래 됐고, 단편 작품들을 본드처럼 써서 주인공의 주활동 나이대를 따라 주욱 늘어 놓을 수 있을 정도이니 이는 작가 자신과 경험을 반영한 것일 지도 모른다.[7] 상급학교에 진학하자 않고 먼저 취직했던 동년배 친구는 이미 견습공 생활을 마치고 숙련공으로 인정받아 첫 주급을 받을 시기였다.[8] 지나가던 사람이 한스를 알아보고 "주시험을 마친 대장장이!"라고 놀리는 등, '천재인 줄 알았는데 낙오해서 몰락했다'는 식으로 비웃는 시선도 따라다녔다.[9] 설명상 자살인지 사고인지 아무도 알 수 없었다고 나와있으나 극의 분위기가 자살을 연상시킨다. 한스 시점으로 나오는 마지막 장면의 묘사 역시 미래에 대한 막막함으로 인해 낙심, 수치심, 자책감을 느끼며 매우 가슴이 아파왔다고 서술된다.[10] 자살인지 사고인지 타살인지 묘사하지 않음에 따라, 자살이지만 한스를 내몰은 주변사람들의 의한 타살이라고 해석할수도 있다.[11] <황야의 이리>의 헤르미네(헤르만의 여성형)도 그렇고 헤세 작품중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캐릭터가 몇몇 있다.(본작에 두 명)[12] 한스를 내모는 주변 사람들을 대표하는 대사이다.[13] <수레바퀴 밑에서>에서는 하일너,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는 키팅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