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191919> 스프린터 | <colbgcolor=#ffffff,#191919> 오리지널 | 아타리 | Voidoll | 테슬라 | 코쿠리코 | 풋내기 용사 | 키라라 | 레이야 | 피에르 77세 | 알 다합 |
나니가시 | |||||||||||
콜라보 | 미쿠 | 춘리 | 잭&레이첼 | 아쿠아 | 아츠시 | 조커 | 아스나 | 람 | 파워 | ||
키르야 | |||||||||||
어태커 | 오리지널 | 노호 | 타다오미 | 마르코스 | 마리아 | 아담 | 포로롯쵸 | 데루밍 | 루루카 | 아마이로 | |
이그니스 | 스테리아 | 쿠시 | 콜랩스 | ||||||||
콜라보 | 솔 | 류 | 렘 | 카이 | 리바이 | 세이버 얼터 | 아이즈 | 녹티스 | 키리토 | ||
2B | 리무루 | 미코토 | 덴지 | 타냐 | 본도르드 | 곤 | |||||
거너 | 오리지널 | 리리카 | 루치아노 | 마토이 | 13 | 메구메구 | 이스타카 | 손 | 니드호그 | GB걸 | |
린네 | Bugdoll | 브레도라 | 미리포유 | ||||||||
콜라보 | 에밀리아 | 린 | 히나타 | 오카베 | 길가메쉬 | 아쿠타가와 | 아인즈 | 액셀 | |||
록시 | 록맨.EXE | 시논 | |||||||||
탱크 | 오리지널 | 저스티스 | 잔 다르크 | 구스타프 | 비올렛타 | 토마스 | 앨리스 | 라비 | 아미스타 | 우라 | |
콜라보 | 렌 | 메구밍 | 타다노부 | 라이자 | |||||||
기울임꼴: 문서 미생성 상태 | }}}}}}}}} |
| |
<colbgcolor=#02966d> 일본어 표기명 | ステリア・ララ・シルワ |
영어 표기명 | Stellea Lala Silva |
성우 | 노토 마미코 |
담당 일러스트레이터 | 馬吉(MACHI) |
담당 작곡가 | Junky |
테마곡 | 벌주기 GIMMICK!!(オシオキGIMMICK!!) |
안심하렴, 누나가 지켜줄게!
테마곡 - 벌주기 GIMMICK!! |
1. 개요
숲째 불타 없어져버린 엘프족에서 살아남은 자.
안녕(安寧)의 땅을 찾아 애창 「루(ルー)군」과 세계를 여행한다.
모바일 게임 컴파스의 히어로.안녕(安寧)의 땅을 찾아 애창 「루(ルー)군」과 세계를 여행한다.
히어로 소개 영상.
2.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출시일 | 2022년 3월 24일 | |
역할군 | 어태커 |
2.1. 능력 정보
<colbgcolor=#02966d> 공격력 | 1.35 배 | <colbgcolor=#02966d> 통상공격 | 단타, 3마스 |
방어력 | 1.40 배 | 이동속도 | 2.09마스/초[1], 매우 느림 |
체력 | 0.95 배 | HS충전시간 | 21 / 42초 [2] |
공격카드 발생 속도 | |||||||||
종류 | 근거리 | 원거리 | 주위 | 연속 | |||||
발동속도 | 빠름 | 빠름 | 느림 | 빠름 | |||||
{{{#!folding 상세사항 (펼치기/접기) | 첫타 | (근거리첫타)초 | (원거리첫타)초 | (주위첫타)초 | (연속첫타)초 | ||||
막타 | (원거리막타)초 | (연속막타)초 | |||||||
경직 | (근거리경직)초 | (원거리경직)초 | (주위경직)초 | (연속경직)초 | }}} | ||||
{{{#!folding 카드발동속도 (펼치기/접기) | 발동속도 | 발동 | 경직 | ||||||
無, 없음 | 초 | 초 | |||||||
短, 짧음 | 초 | 초 | |||||||
長, 긺 | 초 | 초 | }}} |
히어로 스킬
華槍術イーリス / 꽃의 창술 이리스 | |||
<colbgcolor=#ff970f> 발생시간 | 3.3초 | 무적시간 | 4.8초 |
효과대상 | 지정한 적 1명 주변의 반경 5마스 원형 범위 | ||
효과 | 적 지정 지점으로 점프 공격 (가드브레이크+사일런스) 효과범위로 순간이동[3]과 함께 가드브레이크 공격 위력: 공격력의 300% (다운, 5초 사일런트, 가드브레이크) |
히어로 액션
華槍術オスマンティウス / 꽃의 창술 오스만티우스 | |
<colbgcolor=#ff970f> 충전시간 | 1.27초~4.17초(풀차지시) |
효과범위 | 6마스~20마스(풀차지시) |
효과 | 돌진 다운 공격 HA범위만큼 이동 이동 중 접촉하는 적을 날려버리는 공격 위력: 공격력의 90% (다운, 강한 넉백) |
어빌리티
静寂の宝槍ルー / 정적의 보창 루 | |
<colbgcolor=#ff970f> 발생조건 | 일부 공격[어빌리티]으로 적을 공격할 경우 |
발동대상 | 피격된 적 |
효과 | 일부 공격 히트 시 루의 힘으로 적에게 사일런트 일부 공격[어빌리티]으로 적을 공격하면 적에게 사일런트 부여 (공격 종류에 따라 다름[6]) |
패미통App 스테리아 공략
Applive 스테리아 공략
2.2. 평가
어빌리티의 침묵 부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리하게 전투를 이끌어나가는 시즈형 어태커.스테리아는 이동속도를 희생한 대가로 높은 스테이터스와 고성능의 통상공격, 어빌리티를 갖춘 어태커이다. 이동속도는 보면 길가메쉬, 저스티스 등과 비슷할 정도로 매우 처참하기 때문에 교전 구역을 옮기면서 유동적인 교전을 이어나가기 보단 특정 지점에 상주하면서 적이 다가오면 교전을 시작하는 니가와 전법이 특징인 어태커이다. 이동속도가 느린 만큼 자체 스펙, 통상공격 성능, 어빌리티의 푸시를 크게 받아서 교전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어빌리티 특성상 타당 적용되는 침묵 시간이 짧기 때문에 다단히트 계열의 공격카드가 선호된다. 마침 스테리아의 원거리, 연속 발동속도 역시 우수하기 때문에 침묵 어빌리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평가 요약
- 장점
- 타격 시 침묵을 부여하는 어빌리티
- 순간이동&딜링&디버프를 겸하는 HS
- 어빌리티와 궁합이 좋은 카드 적성
- 단점
- 매우 느린 이동속도
- 원거리 공격에 취약함
- 컨트롤에 비해 리턴이 적은 HA
- HA 평가 / 장점
스테리아의 HA는 홀드 시 돌진거리가 상승하는 돌진공격을 사용한다. 이동속도가 느린 스테리아에게 있어 가뭄의 단비같은 주력 복귀기이자 이동기이다. 해당 HA 덕분에 스테리아는 이동속도가 느림에도 전선복귀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다. 이외에도 공격기로써의 역할도 톡톡히 해내는데, 원체 발이 느리기 때문에 다운당한 적을 격추하고 접근하는 용도로도 자주 사용된다. 돌진공격에 맞으면 다운당하므로 명중하기만 하면 원할한 후속타 진행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 HA 단점
HA 돌진의 후딜이 긴 편이기 때문에 각을 잘 보고 사용해야 한다. 대다수의 돌진기가 리턴이 크긴 하지만 그만큼 명중하는게 까다롭기 때문에 컨트롤이 어렵다. 거기다가 잘못 나가면 또다시 전선 복귀에도 시간이 요소되고 후딜캐치를 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남발하는건 좋지 못하다. 따라서 보통은 추격이나 복귀을 제외하고는 특정 구역에 상주하여 니가와 전략을 취하는 형태로 운영하게 된다.
- HS 평가 / 장점
스테리아의 HS는 적군 하나를 특정하고 해당 적군 위치로 순간이동 하면서 주변 범위에 피해와 다운, 침묵 디버프를 부여한다. HS 역시 이동기를 겸하기 때문에 종반 난전에서 빠른 전선복귀를 가능하게 하고, 다운과 침묵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상대측의 베리어 소모를 강요하여 좋은 후상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차하면 적의 포털키 점거를 저지하는 데에도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유리하게 사용된다.
- HS 단점
단발 피해량은 낮은 편이라 저내구 캐릭터를 제외하고는 일격에 킬로 연결되는 경우가 드물고, 보통 발동 위치가 적진 한가운데일 가능성이 높아서 화력 집중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피해 범위 자체가 그닥 넓지는 않아서 생각보다 쉽게 피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쉬운 대응에 한몫한다. 그리고 최근에 출시된 디버프 해제형 회복기가 극카운터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대팀중 누구 하나만 들고 있어도 효용이 크게 감소한다.
- 어빌리티
스테리아의 정체성이자 사기적인 침묵 부여 어빌리티이다. 직접공격류 카드나 통상공격, HA에도 모두 적용되므로 교전시 상대의 카드사용을 봉쇄할 수 있다. 침묵 특성이 스테리아에게는 매우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공격의 경우, 강제로 평타 맞딜 상황을 유도하고 근거리카드 등 비교적 취약한 카드의 발동을 막을 수 있으며, 연속, 원거리 카드 등을 활용하면 적이 회복기나 베리어 등으로 공격에 대응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에 온전하게 딜링을 할 수 있는 장면을 만들어주는 등 전투 전반에 있어 우위를 점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 전투 시나리오
- 초반(3:00 ~ 2:00)
스테리아는 발이 느리지만 전선복귀는 빠르므로 보통 B로 향한다. C로 향하기에는 원거리 공격에 노출될 리스크가 있고 A로 향하기에는 HS 충전이 빠르므로 대부분 B로 향한다. 보통 스테리아를 들었다면 원거리 카드를 집었을 확률이 높으니 이를 중점적으로 활용하면서 운영하자.
- 중반(2:00 ~ 1:00)
시즈형 어태커 특성상 니가와 전략을 사용해야 하기에 B와 C 사이에서 대기하면서 다가오는 적을 상대하는 방향으로 운영한다. 스테리아는 교전능력이 뛰어나기에 저내구 어태커나 탱스프, 탱크 등이 다가온다면 적극적으로 나서서 킬을 따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 종반(1:00 ~ 0:00)
종반에 들면 본격적으로 위치를 당겨서 C포털 주위에서 교전을 벌이고, 한타를 유도하여 적과의 위치를 좁혀 거너나 딜스프 등 저내구 캐릭터를 노리는 플레이를 이어나가자. 교전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저내구 캐릭터를 상대로는 높은 승률이 보장된다. 만약 처치당했을 경우나 백도어로 A포털 등이 위험하다면 우선적으로 나서서 HS를 사용해 포털키 점령을 저지하도록 하자.
2.3. 상성
- 카가미네 린
스테리아와 궁합이 좋다. 아군으로 만났을 때 린의 HA 버프빨을 가장 잘 받는 캐릭터 중 하나이다. 린의 아군의 HA는 방어력, 공격력을 크게 상승시키는데, 공체 스텟이 모두 높은 스테리아 특성상 평타전의 내구력이 크게 상승하고 딜량도 상당해져서 근거리카드 등 한방컷이 아니면 대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강해진다.
- 리리카
원거리에서는 스테리아가 불리, 근접 시에는 유리하다. 리리카는 본인 포털키 안에서 공뻥 어빌리티를 받고 초원거리 평타를 가하는 경우가 많다. 단발 공격력이 꽤 높기 때문에 느린 발에 체력이 비교적 낮은 스테리아는 초원거리에서 리리카에게 꾸준히 견제를 당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리리카는 공격카드 적성이 영 꽝이기 때문이 어떻게든 근접하면 스테리아가 절대적으로 유리해진다.
- 레이야
스테리아가 불리하다. 레이야는 빠른 속도도 적에게 부딫혀 스턴을 일으킨다. 발이 느린 스테리아는 접근하는 레이야에 대응할 수단이 얼마 없으므로 공격대상으로 노려지기 쉽다. 진입 타이밍에 맞춰서 원거리 공격카드나 연속카드 등으로 대응이 가능하지만 레이야의 방어력이 꽤 높아서 완전히 제압하긴 어렵다.
- 콜랩스
스테리아가 불리하다. 콜랩스는 어빌리티를 통한 빠른 이속과 매우 높은 근거리카드 위력을 가졌다. 발이 느린 스테리아는 추격이 쉽기 때문에 자주 노려지고, 콜랩스의 근거리공격이면 무조건 한방에 뻗기 때문에 돌연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 방어형 탱크 전반[7]
스테리아가 유리하다. 방어형 탱크는 높은 내구력을 증폭시키기 위해 각종 방해형 카드나 베리어, 회복카드를 채용한다. 탱크 특성상 어지간한 공격은 그냥 감수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테리아는 평타로 탱크를 마킹만 해도 카드사용이 봉쇄되어 강한 압박을 가할 수 있다.
2.4. 추천 덱 구성
2.5. 추천 메달
- 이동속도 메달(발 모양)
어태커이고 어빌리티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근접전이 요구되는 히어로지만 이동속도가 매우 느려 추격이나 근접전 상황을 만들어내기에 불리하다. 스테리아에게 있어 이동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추격능력이 향상된다는걸 의미하고 추격능력이 향상되면 지속적인 평타로 어빌리티를 유지시켜 우세한 상황을 만들어내기 쉬워진다. 스테리아를 본격적으로 운용하려면 반드시 +6 이상은 확보해놓는 편이 좋다.
- 공격력 메달(검 모양)
어태커의 본질적인 역할인 딜링과 킬 결정력을 높힌다. 차선택으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이는 메달이다.
2.6. 코스튬
기존 코스튬 | ||||
| | | | |
오리지널 | 컬러 바리에이션1 | 컬러 바리에이션2 | 누나랑 승부하자? 이긴다면... 상을 줄게 | 누나 곁으로 와... 몸도 마음도 깨끗하게(キレイ) 해줄게... |
2.7. 대사
주의: 오역, 의역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홈화면 #====
히어로 획득시
- 내 이름은 스테리아 라라 시르와라고 해. 누나라고 불러도 돼!
- 저기저기, 너는 이 근처에 사는 아이니? 혹시 괜찮으면 누나에게 길 안내를 해 줄 수 있을까?
시작/홈 화면
히어로 선택>홈화면 이동시
선물 미 수취
미션 달성
하이라이트 업데이트시
가챠
- (카드 인상시)
계정 레벨업
순위 상승
등급강등
메달 변경
탭 반응
- 무슨 일이니? 이리 오렴, 꼬옥~하고 안아줄게.
====# 배틀 #====
팀 소개
- 안심하렴, 누나가 지켜줄게!
- 맡겨 주렴, 전부 처리해 줄게!
키 획득
- 힘내라 힘내라~
히어로 액션
- 간다~ (차지)
- 날아가랏! (사용)
히어로 게이지 맥스
히어로 스킬
도발모션
- 잡담은 싸움이 끝나고 하자!
투신•착지
- (투신)
- (착지)
통상공격
공격카드(근접)
공격카드(원)
공격카드(연)
공격카드(주)
이동카드
- (도어, 회복&스타트 지점으로 이동)
- (텔레파스)
방어카드
강화•회복카드
- 누나의 특제 포션이야!
함정카드
데미지
- (타메다운)
강화 받음
회복 받음
약화
- (스턴시)
적을 격파
사망
복귀
- 그런 짓 해서 어떻게 되더라도 모른다고?
베스트 플레이어
- 모두 무사한 거지? 루 군도 수고했어! 쪽♡
3. 기타
- 컴파스 내에서 8번째로 인간이 아닌 히어로다. 여캐 중에서는 3번째.
- 모델링상 여성 히어로 중 비올렛타 다음으로, 즉 2등으로 크다. 레이야와 비슷한 것을 보아 170대 초반 정도로 추정된다.
- 히어로 소개 영상 등에서 오네쇼타 속성을 노린 듯한 연출이 꽤 보인다.
- 스테리아 이전에 실장된 대부분의 남성 히어로가 등장하는데[8] 이 중 어린 남자아이 히어로[9]는 스테리아의 아군으로 등장하며, 이 중 아타리와 손의 닉네임은 각자의 이름 뒤에 ~군(~くん)이 붙는다[10].
- 이에 비해 다른 성인 남성 히어로들은 적군으로 등장해 전부 스테리아가 격파한다(...). 등장하는 성인 남성 히어로들의 닉네임 또한 본명이 아닌 별명으로 나왔다[11].
- 스테리아가 들고 오는 카드들도 대부분이 어린 남자아이나 미소년 카드이다.
- 영상 초반부에 팀 소개 시 아타리와 손은 A랭크인데 스테리아 혼자 S9랭크다. 참고로 이때 대사는 '안심하렴, 누나가 지켜줄게!"다.
- 그 외에 히어로 소개 영상과는 별개로, 홈화면 터치 대사 중 일부 대사에서 시선을 낮추는 것을 보아 플레이어 또한 어린 남자아이로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 스테리아 실장 이후로 나온 오리지널 히어로인 라비 슈슈마르슈는 스테리아의 친구로, 라비 또한 오토코노코 속성의 어린 남자아이 체형의 히어로이다.
- 출시 이후로 다른 히어로들에 비해 코스튬 등판 빈도가 잦은 편이다. 2022년 7월의 수영복 코스튬부터 9월의 전생슬 코스튬, 12월의 초전자포 코스튬, 2월의 미쿠 코스튬과 3월의 던만추 복각 코스튬까지 8개월 만에 추가 코스튬만 무려 5개가 나왔다.
- 콜라보 코스튬 모티브 목록(하츠네 미쿠 콜라보 코스튬 제외):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콜라보 - 시온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T 콜라보 - 쇼쿠호 미사키
-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콜라보 - 헤스티아
[1] 전 히어로중에서 가장 느림[2] (1)/(2)에서 (1)은 포탈키 확장시 걸리는 시간, (2)는 이미 확장된 포탈키를 밟을 때 걸리는 시간이다.[3] 연출상으로는 점프지만 공격 발생과 동시에 착탄지점으로 순간이동하는 판정인 듯 하다. 미니맵상으로 히어로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아닌 히어로의 좌표가 변한다.[어빌리티] 통상공격, HA, HS, 근원주연 카드 공격, 이동카드 공격.[어빌리티] [6] 통상공격과 카드공격은 1.5초, 히어로 액션 3초, 히어로 액션 5초[7] 잔다르크, 저스티스, 렌, 메구밍 등[8] 등장하지 않은 남성 히어로는 미소년 범위에 들어가지만 키는 큰 마르코스, 오카마 속성인 포로롯쵸, 노인인 토마스, 인외체형인 용사, 니드호그, 버그돌이다.[9] 아타리, 손, 테슬라, 레이야. 단 레이야는 어린아이는 아니고 청소년이다.[10] 스테리아 실장 전전의 히어로인 린네의 소개 영상과 비슷한 연출이다. 린네 쪽은 리리카, 코쿠리코, 메구메구, 데루밍, 루루카, 키라라(이쪽은 어린아이는 아니고 단신인 청소년)같은 어린 여자아이 히어로들이 린네의 아군으로 나왔으며, 닉네임은 이름 뒤에 아가씨(嬢)가 붙었다. 어린아이는 아니지만 비교적 단신인 청소년 히어로가 한 명씩 등장하는 것도 공통점.[11] 아예 닉네임이 안 나오는 아담과 흐릿하게 보이는 린네(와카가시라(若頭)로 추정)를 제외하면 사신(13), 멋쟁이 남자(피에르), 전사(이스타카), 청부업자(루치아노), 총수(타다오미), 지휘관(구스타프), 대위(저스티스), 이혼남(이그니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