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21:33:32

슬로우 데미지

파일:NITRO CHiRAL 로고.png
니트로플러스성인용 BL 게임 브랜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0px; margin-bottom:-1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PC 게임 파일:Togainu_no_chi_pc.jpg 파일:라멘토 메인.jpg 파일:sweet pool_pc.jpg 파일:attachment/dmmdposter_1.jpg 파일:슬로우 데미지 박스아트.jpg
토가이누의 피
(2005년)
Lamento -BEYOND THE VOID-
(2006년)
sweet pool
(2008년)
DRAMAtical Murder
(2012년)
슬로우 데미지
(2021년)
}}}}}}}}} ||
슬로우 데미지
Slow Damage
スロウ・ダメージ
파일:슬로우 데미지 박스아트.jpg
개발 Nitro+CHiRAL
유통 니트로플러스
기획자 후치이 카부라
디렉터 후치이 카부라
프로듀서 디지타로
작가 후치이 카부라
미술 야마다 우이로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
니트로플러스 아츠 (3D 그래픽)
작곡 요시다 아키히로
플랫폼 파일:Windows 아이콘.svg Microsoft Windows 8.1, 10, 11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2월 25일
2023년 4월 28일(보급판)
파일:미국 국기.svg[1]
2022년 11월 14일(다운로드판)
2023년 9월 8일(패키지판)
출시일 미정(스팀판)
장르 '그 곳'으로 추락하는[2] 어드벤처
BL 게임
엔진 자체 엔진
해상도 1280x720[3]
언어 일본어, 영어
한국어 지원 있음(비공식)
등급 18세 이상 이용가
미디어 DVD, 다운로드
공식 홈페이지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 사이트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
3.1. 주인공3.2. 공략 캐릭터3.3. 조연
4. 미디어 믹스
4.1. 만화4.2. 웹 라디오4.3. 드라마 CD
5. 해외 출시6. 사건 사고7. 시스템 및 게임 팁8. 한국어 패치9. 평가
9.1. 예언 게임?9.2.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
10. 영상11. 기타 & 여담12. 외부 링크
벌어진 상처와 욕망
- 본 작품의 캐치프레이즈

1. 개요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다섯 번째 BL 게임.

공식 약칭은 슬로데미(스로다메,スロダメ). 국내는 슬뎀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스핀오프작으로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가 존재한다. 애니메이트 게임즈 등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플레이 가능.

2. 시놉시스

20XX년 일본.

심각한 불황을 타파하기 위해 일본의 일대 카지노 리조트로서 개발된 특별 행정구 '신코우미(新神海)'.

일찍이 도쿄임해부도심 13호지에 속해있던 그 땅은 사실상 카지노 민간 운영업자인 '타카사토구미(鷹郷組)'가 통치하는 나라와 같은 존재가 되어 불황 속에서도 일정한 번영을 유지하고 있었다.

내일을 알 수 없는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일확천금을 꿈꾸거나 우울한 기분을 풀기 위해 신코우미에 몰려왔다.

이런저런 사람들도 받아들이는 거리의 치안은 흐뜨러져 여기저기에 퇴폐의 그림자가 감돌아 범죄가 다발하고 있었다.

그런 거리에 사는 주인공 '토와'는 평소 알고 지내던 의사 '타쿠'의 병원에 얹혀 살면서 내일은 생각하지도 않은 채 방탕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토와에게는 어떤 취미가 있었다.
바로 '사람의 욕망을 그리는 것'.
사람의 마음 속에 깊이 박혀있는 폭발 직전의 욕망을 모티브로 유화를 그린다.
욕망을 자신에게 부딪히게 하고 그 체험을 붓에 싣는 것이다.
작가로서 이름은 'euphoria(유포리아)'다.

욕망을 이룬 결과로 인해 자신과 상대가 빈사 상태의 중상을 입었다 해도 상관 없었다.
그것이 상대에게 있어서 '행복'이니까...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Slow Damage
주인공
공략 캐릭터
토와

3.1. 주인공

3.2. 공략 캐릭터

3.3. 조연

4. 미디어 믹스

4.1. 만화

4.2. 웹 라디오

4.3. 드라마 CD

파일:슬뎀드씨1.jpg 파일:슬뎀드씨2-1.jpg
슬로우 데미지 DramaCD Vol.1 Taku After Story 슬로우 데미지 DramaCD Vol.2 Rei After Story
파일:슬뎀드씨3.jpg 파일:슬뎀드씨4.jpg
슬로우 데미지 DramaCD Vol.3 Madarame After Story 슬로우 데미지 DramaCD Vol.4 Fujieda After Story

각 캐릭터 루트의 굿엔딩 이후의 스토리를 담았다. 현재 타쿠, 레이, 마다라메, 후지에다 편 발매 중. DLsite에서 다운로드 구매도 가능하다. 여담으로 후지에다편의 드라마시디 이미지 공개 당시 토와가 두 을 뜨는 작화 미스가 있었다.
파일:접뎀드씨.jpg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 DramaCD

외전 게임인 클린 디시의 엔딩 후를 다룬다. 발매일은 2023년 6월 30일. 본편에서는 참여하지 않았던 이토 카나코가 엔딩 보컬을 담당한다.

5. 해외 출시

파일:Slow_Damage_Pre-Order.jpg
패키지판 구성

미국 시간 기준 2022년 11월 14일에 다운로드판이 선출시되었다.[5] 정가는 24.99달러. 패키지판 구성품은 게임 DVD, 보컬 사운드 트랙 CD, 노트, 디지털 북클릿, 다운로드판 시리얼코드이다. 2023년 초에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사운드트랙의 라이센스 협의가 늦어지는 바람에 지연되었다.
정가는 39.99달러이며 한국에서 주문이 가능하고 직배송으로 물건을 받을 수 있다. 패키지판을 주문하면 가입했던 이메일로 DL판 시리얼코드를 바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배급사 사이트에 코드를 등록하면 곧장 플레이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이 방법으로 플레이 인증이 올라오고 있다.

본래 일본판 출시와 같은 해인 2021년 발매를 예정했으나 1년 연기되었다. 스팀 출시도 예정되어있다. 현재는 밸브와의 협의가 원활하지 않아 발매에 난항을 겪고 있다.

6. 사건 사고

니트로 키랄의 북미판 유통사인 JAST USA에서 슬로우 데미지 스팀판(검열판)을 전연령 버전이라 소개했다. 유통사에서는 전연령판 문서의 3번 의미인 성적 표현을 순화한 게임이라는 의미로 설명했는데 영어권 키랄 팬덤은 이를 전체 이용가로 오해하여 "슬로우 데미지를 어린이에게 판매하지 말라"고 항의하는 소동이 있었다. 그리고 한 때 국내 팬덤 위키는 키랄 팬덤의 잘못된 주장을 그대로 싣기도 했다(...).

키랄 이외의 비주얼 노벨 팬덤은 대체로 JAST USA를 두둔하는 반응이었다. 전연령은 오랫동안 영어권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해온 용어인데다 이전에도 JAST는 sweet pool 스팀판도 전연령 버전이라 소개했었기 때문이다.

유통사에서는 해당 용어는 노골적인 성행위가 없는 비주얼 노벨이라는 의미로 사용했고 미성년자에게 판매할 의도가 없음을 밝혔다.

이 소동은 영어권 내에서 전연령이라는 용어 자체의 부적절성에 대해 짧게나마 의견을 나누는 계기가 되었다.

7. 시스템 및 게임 팁

슬로우 데미지는 탐색 파트와 심리 파트라는 시스템이 있다. 탐색 파트에서 얻은 단서를 토대로 심리 파트를 진행한다. 이 두 파트의 진행에 따라 공략 캐릭터 루트와 엔딩이 결정된다.

탐색 파트는 맵 곳곳의 인물들과 대화하여 인스피레이션을 획득한다. 대화 속의 네거티브, 포지티브 선택지에 따라 인스피레이션을 획득하거나 얻지 못할 수 있다. 인스피레이션은 심리 파트에서 선택지로 사용된다.

심리 파트는 탐색 파트와 스토리 속에서 획득한 단서를 토대로 상대방의 심리를 파헤친다. 캐릭터 뒤편의 지그재그한 틈새는 광기의 양을 나타내고 있고 우측의 모래시계 알은 행복의 양을 나타내고 있다. 기본적으로 행복이 클리어 조건으로, 모래알 양이 보라색 기준선을 넘으면 심리 성공이다. 하지만 모래시계가 검은색으로 칠해진 경우는 클리어 조건이 광기의 양이 된다. 이 경우엔 광기의 양을 늘려야 심리 성공이다. 모래시계에 금이 간 채로 심리를 완료하면 된다. 행복과 광기의 양은 네거티브, 포지티브 선택지와 탐색 파트에서 얻은 인스피레이션 선택지로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심리 파트의 일부 구간은 연출을 위해 자막 창을 없애고 음성으로만 진행이 된다. 백로그에 대사가 있으므로 듣다 놓쳤을 경우 열어 확인하자.

올 컴플리트 조건은 탐색파트의 인스피레이션을 전부 획득하고 심리 파트의 행복, 광기 엔딩을 전부 보는 것이다. 게임오버는 조건에 없으니 안 봐도 된다. CG란이 한 두군데씩 비는 등 어딘가 빠져있다면 광기 엔딩을 놓쳤을 가능성이 크므로 짐작 가는 루트를 다시 플레이해보자.

빠른 진행을 원하고 특히 올컴플리트를 신경쓰지 않는다면 탐색 파트에서 핵심 장소에만 이동하면 바로 다음 스토리로 진행된다.[6] 다만 인스피레이션을 얻을 수 없기에 게임 난이도가 훅 올라가므로 주의하자. 심리 파트에서 게임 오버를 여러번 겪을 경우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낮출 경우 행복 양이 최대로 올라가있는 사실상 무적 모드가 된다.

게임 플레이 도중에 버벅이거나 중간에 게임이 강제종료되는 현상이 있는데 대부분 그래픽 카드 설정이 원인이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내장그래픽을 비활성화하고 외장그래픽을 활성화하면 해결된다.

8. 한국어 패치


버그와 튕김 등의 현상은 일본판 출시 때부터 발생하는 문제이다. 패치 제작자가 공인한 오류 해결 페이지에서 실행 불가, 렉 등의 문제해결할 수 있다.

패치가 1.1버전을 기준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한국어 패치를 적용하기 전에 1.1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해야 한다. 1.2버전인 채로 진행할 경우 세이브 파일이 깨지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다. 다운그레이드 방법은 역시나 위의 오류 해결 페이지에 안내가 되어있다.

9. 평가

전반적으로 키랄 작품 중 최고 완성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 키랄 작품들과 달리 어드벤처 게임 요소를 도입하여, 비주얼 노벨 형식에서 흔히 발생하는 정보 과잉으로 인한 서사 흐름 저해 문제를 완화하였다. 게임은 탐색 파트와 비주얼 노벨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어가 탐색 장소를 선택하여 인물들과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정보 전달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불필요한 정보가 본편 스토리 전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었다. 그 결과 서사의 밀도와 몰입도가 높아졌으며, 감정선 중심의 시나리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키랄 작품들에서 지적되던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한 시도로 평가되며, 장르 전환을 통한 작품 개선 사례라 할 수 있다. 어드벤처 게임 구조의 활용은 단순한 형식 실험을 넘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다.키랄의 기존 작품들에 비해 시나리오 완성도가 크게 향상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키랄 특유의 하드한 세계관과 주인공-공략 캐릭터 간의 심리 묘사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었으며, 게임 시스템과의 조화를 통해 서사의 밀도와 전달력이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호평이 많다.

특히 진상 루트는 극적인 전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감동적이라는 평을 얻었으며, 주인공 토와의 과거상처가 드러나는 이 루트는 ‘키랄 주인공 중 가장 불쌍하다’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정서적인 여운을 남겼다.

다만, 감동적인 게임이라는 사전 인식과는 달리, 초반부 토와의 충격적인 행적에 놀라는 플레이어도 적지 않아, 도입부에서 당혹감을 느꼈다는 반응도 존재한다.주인공 토와의 비주얼은 전체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현대적인 감각의 세련된 디자인과 작품의 분위기에 잘 어울리는 외형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반면, 공략 캐릭터들의 비주얼은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한편, 서브 캐릭터(예: 이쿠이나)는 전반적으로 비주얼 평가가 긍정적이지만, 공략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화난다. 아쉽다는 의견이 팬들 사이에서 종종 제기된다.

엑스트라 캐릭터는 한두 마디 대사만 있는 단역임에도 불구하고 개별 비주얼이 존재한다. 그런데 디자인이 지나치게 특이하거나 과장된 나머지, 팬들 사이에서는 “개성적이다 못해 충격적”, “못생겨도 다채롭게 못생겼다“ 등 유머러스한 반응이 종종 보인다. 이로 인해 “(그 덕분에)토와가 훨씬 빛나 보인다”라는 풍자적인 반응이 존재한다.

9.1. 예언 게임?

작중에서 카지노 합법화, 대규모 스포츠 대회의 실패 등의 설정이 등장하는 탓에, 일부에서는 본작을 ‘예언 게임’이라 평가하기도 했다. 실제로 게임 제작 발표 이후인 2016년에는 일본에서 카지노 법안이 통과되었고, 2020 도쿄 올림픽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연기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현실과의 유사성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을 의식한 듯, 발매 전 홍보 방송인 '진심으로 슬로우 데미지'에서는 “세상이 이렇게 되기 전에 만든 것입니다. 절대 현실 상황을 반영한 것이 아닙니다!”라고 밝히며, 유사성은 순전히 우연임을 거듭 강조했다. 또한 출연자 중 한 명은 디버깅 중 “이거 예언 아니냐”는 생각이 들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9.2.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는 본편과 동일한 시나리오 작가 후치이 카부라가 참여했음에도, 팬들 사이에서 본편에 비해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10. 영상

『슬로우 데미지』티저 PV

2017년도 개발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PV 영상이다.
『슬로우 데미지』 PV

2020년 7월에 공개된 PV 영상. 개발 당시 공개됐던 주인공과 캐릭터들의 모습이 스케치가 아닌 완성된 일러스트로 전부 공개되었다. 인게임 보이스도 공개.
『슬로우 데미지』 OP

2020년 11월 27에 공개된 공식 오프닝.

11. 기타 & 여담

파일:Odaiba.png 파일:Shinkoumi.png
도쿄 관광 공식 사이트의 오다이바 사진 슬뎀 체험판 캡처

12. 외부 링크




[1] 미국시간 기준[2] 원문은 堕ちる. 비유적인 의미의 추락도 포함되어 있다.[3] 해상도 변경 가능 3840x2160까지 지원[4] 파워 라이즈 소속 성우로, 남성 명의지만 여성이다.[5] 한국 시간으로는 11월 15일이다.[6] 지도의 장소마다 커서를 대면 어디일지 짐작이 간다.[7] 제작 스태프들이 이 위치에 대해 '오다이바겠네요'라는 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