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21:42:12

신경다양성

1. 개요2. 주장3. 비판과 옹호
3.1. 비판3.2. 옹호
4. 여담5. 참고해볼 만한 글6. 신경다양성 범주인 것7. 같이 보기

1. 개요

관련 영상

신경다양성(, Neurodiversity)은 신경증과 일부 정신증, 발달장애정신질환과 그로부터 비롯된 행동양상을 장애가 아닌 비장애의 범주에 포함시키자는 운동이며 자폐적 특성이 다양한 삶의 방식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사교적인 사람도 있듯이 혼자서 무언가를 하는 것을 즐기는 것 또한 개성으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다.[1]

신경다양성 지지자 중 일부는 자폐인들에게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 자체는 부정하지 않는다. 자폐인은 일상적인 업무로 고생할 수 있으며, 자폐증은 장애라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자폐인을 위한 도움이 자폐인 당사자 및 타인들에게 해롭지 않은 특징들을 억압시켜 자폐인이 "신경전형인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거나 치료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자폐적인 사람들의 경험과 자기표현을 존중하며, 자폐인의 특성도 정상적인 다양성의 범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자폐인에게 필요한 도움이란 비자폐인이 주도하는 자폐 '치료'가 아니라, 사회적 차별과 불편함 등을 해소하는 '지원'이라는 것. 서구권에서는 이러한 절충적 관점이 사회적으로도 주류가 되어가고 있다.[2]

2. 주장

자폐권 및 신경다양성 옹호자들은 정상적 및 비정상적 상태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신경전형인 특권 및 신경적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 차별로 보고 있으며, LGBT 권리 운동과 같은 다양성을 더 많이 수용하기 위한 다른 움직임과 연대한다. 또한 이들을 치료/교정[3]하려는 일련의 행위들에 부정적이며 그들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차별이라고 비판한다.

이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쪽은 미국 IT기업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보조만 있으면 사회생활에 도움이 되거나, 혹은 기능적으로 특정한 부분에선 신경다양성에 속하는 사람들이 외려 신경전형인(Neurotypical)들보다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다른 소수자 집단과 달리 할당제나 어퍼머티브 액션에 있어서 신경다양성 그 자체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4]

서구권 신경다양성 운동가들 중 일부는 NT들이 자폐보다 뒤떨어지는 부분에 대해 지적하며 일부는 NT는 발달장애인이고 (지능에 이상이 없는) 자폐는 정상이라는 식의 포스팅, 칼럼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자폐가 NT보다 우월하고 NT는 장애인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주류 사회가 정해놓은 장애/비장애인 구분의 권력을 뒤엎는 의미이다. 즉 그들이 더 뛰어난 부분이 있고 NT 또한 덜 발달된 상대적인 '장애'도 있음에도[5] 자폐나 아스퍼거 등이 사회에서 소수이며 주류의 행동방식/사고방식과 주류와 많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의 문제점만 체리피킹해 비정상으로 사회가 낙인찍고 차별한다는 논지이다.

신경다양성 운동 자체는 90년대 자폐권리운동가들에 의해 탄생된 것이라곤 해도 현재까지 지나치게 ASD인 이들만이 주도권을 쥐고 있어 ASD와 관련된 인권과 차별 등의 문제만 공론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ADHD난독증 같은 다른 신경다양성 범주에 속하는 이들이 소외당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일부 자폐증 치료는 현 시점에서 유사과학으로 간주되고 있는 반면, ADHD에 대한 (보호자 등에 의한) 반강제적인 치료는 주류 학계에서 인정받아 현재진행형에 있음에도 별 이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신경다양성 개념을 현재 논의보다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활동가들도 있다.

과학적으로 제대로 논의 가능한 개념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유주의적인 서구 대학가 등지에서는 어느 정도 논의되고 있는 주제이다.

3. 비판과 옹호

3.1.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경다양성/비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옹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경다양성/옹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신경다양성 운동이나 자폐 권리 운동은 자폐나 아스퍼거가 신경적 결함에 의해 일어나므로 자폐 유전자들을 통해 설명되어야 한다는 주류 의학적 관점과 자폐나 아스퍼거가 백신이나 환경오염과 같은 환경 요인들에 의해 일어났으므로 환경 요인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는 비주류 의학적 관점(백신 음모론자도 포함됨) 모두와 분리된다.

대한민국에서 자폐/아스퍼거 관련 단체들은 신경다양성이나 자폐 권리 운동을 지지하는 자폐 인권단체인 경우는 서구권과 달리 찾아보기 드물다. 한국에서 자폐 관련 단체나 기관이라 하면 거의 다 학부모 단체[6], 주류 의학계 종사자[7], 한의학계 아니면 아예 극단적인 비주류 백신 음모론자이기 때문이다.

2021년 한국에 신경다양성 지지 모임 '세바다'가 설립되면서 신경다양성 운동의 흐름이 생겨나고 있다.

5. 참고해볼 만한 글

6. 신경다양성 범주인 것


신경다양성의 범주 중 양극성 장애조현병[12]처럼 위험천만한 상태가 포함되기도 하는데 이는 당연히 논란이 있다. 불안장애 또한 마찬가지다.

7. 같이 보기


[1] 특이한 사고, 생각을 정상의 범주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도 포함한다.[2] 일부 사람들은 생물 대신에 윈도우 2000과 상호작용하는 걸 신경다양성이라 보기도 한다.[3] 주류 의학계에서는 치료한다는 말은 사용하지 않지만 보수적 입장의 경우 교정한다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혹은 일부는 교정을 치료라는 단어로 바꾸어 사용하기도 함) 다만 밑에 여담 항목에서 서술했지만 ASD는 공식적으로는 장애지만 치료/교정해야 할 장애라고 볼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야 할 차이로 보는 입장도 적지 않으며 이들은 신경다양성 개념을 부분적으로는 수용한 셈이다.[4] 개별적으로 장애 판정을 받은 이들이 어퍼머티브 액션의 혜택을 받을 수는 있지만 모든 신경질환이 법적 장애인으로 판정받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 한국에서 신경적 소수자들은 유무형의 사회적 차별과 유리천장 때문에 취직조차 어렵다는 걸 감안하면 더더욱 어퍼머티브 액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다.[5] 이 표현에 NT들은 상당히 불쾌할 수도 있는데, 그런 불쾌감을 신경다양성에 속하는 이들은 NT들에게 밥먹듯이 당하므로 역지사지로 생각해 보라는 의미에서 이런 표현을 쓰는 것도 있다.[6] 학부모들은 대체로 미국에서도 리버럴보단 보수성향을 띄기 때문에 자폐 당사자나 청년층보다 자폐권리운동에 회의적이며 치료를 지지하거나 학계의 입장을 따라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교정을 지지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자폐권리운동/신경다양성 지지자들은 이런 자폐 치료를 지지하는 단체들을 치료쟁이(curebie)라고 부르는 등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다만 자폐권리운동/신경다양성 운동을 지지하는 리버럴 성향의 학부모 단체가 없는 건 아니다.) 허나 신경다양성 운동 자체는 정치적 보수/진보와 별 연관은 없는 편이다.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백신음모론을 추종하는 에코파시스트나 극좌파들도 혐오하기 때문이며, 보수주의자라고 해서 학부모단체와 입장이 같은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7] 한국의 주류 의학계는 미국과 달리 절충적 관점조차 존재하지 않고, 치료나 교정해야 할 대상으로 본다.[8] 토머스 암스트롱, 증상이 아니라 독특함입니다, 새로온봄, 2002, p121~124[9] 토머스 암스트롱, 증상이 아니라 독특함입니다, 새로온봄, 2002, p71~77[10] 토머스 암스트롱, 증상이 아니라 독특함입니다, 새로온봄, 2002, p98-102,112[11] 토머스 암스트롱, 증상이 아니라 독특함입니다, 새로온봄, 2002, p204-205[12] 분열형 성격장애 등 조현병의 약한 스펙트럼의 경우 조현병이 유발하는 심각하고 해로운 증상에서 자유롭고 창의력도 향상된다. 이러한 분열형 인격장애 보유자 중 다수는 조현병이 있능 사람들의 1차 친족이다.
데이비드 호로빈은 뇌의 지방함량을 조절하는 돌연변이가 궁극적으로는 더 빠르고 더 복잡한 신경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어 인류의 창의적 사고가 향상되었다고 주장하며, 영국 왕립학회 회보에 발표된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조현병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 변이체가 실제로 긍정적으로 선택되었다고 한다. 마치 낫모양 적혈구 증후군이 말라리아 면역을 갖게 해주고 테이-삭스 병이 결핵 면역을 갖게 해주는 것처럼 조현병 유전자도 인간의 창의성에 기여했다는 논지. 한편 조현병 환자로는 존 내시가 있으며, 조현병 자녀를 둔 사람으로는 아인슈타인, 제임스 왓슨 등이 있다. 토머스 암스트롱, 증상이 아니라 독특함입니다, 새로온봄, 2002, p226-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