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4:13:09

아마데오 1세

'''
파일:스페인 국왕 휘장.svg
스페인 국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f022b, #c70243 20%, #c70243 80%, #7f022b);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이사벨 1세 후아나 1세 펠리페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페르난도 5세 펠리페 1세 카를로스 1세
압스부르고 왕조 보르본 왕조
펠리페 3세 펠리페 4세 카를로스 2세 펠리페 5세
보르본 왕조
루이스 1세 펠리페 5세 페르난도 6세 카를로스 3세
보르본 왕조 보나파르테 왕조 보르본 왕조
카를로스 4세 페르난도 7세 호세 1세 페르난도 7세
보르본 왕조 사보야 왕조 보르본 왕조
이사벨 2세 아마데오 1세 알폰소 12세 알폰소 13세
보르본 왕조
후안 카를로스 1세 펠리페 6세 }}}
}}}}}}
아마데오 1세 관련 틀
<col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000, #cc0000 20%, #cc0000 80%, #a60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마데오 1세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아메데오 아이모네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아메데오 아이모네 }}}}}}}}}
<colbgcolor=#c70243><colcolor=#fff>
스페인 사보야 왕조 초대 국왕
아마데오 1세
Amadeo I
파일:S.A.R._Principe_Amedeo_di_Savoia-Aosta_in_Uniforme_Umbertina.png
출생 1845년 5월 30일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토리노
사망 1890년 1월 18일 (향년 44세)
이탈리아 왕국 토리노
재위기간 아오스타 공작
1845년 5월 30일 ~ 1890년 1월 18일
스페인 국왕
1870년 11월 16일 ~ 1873년 2월 11일
서명 파일:아마데오 1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70243><colcolor=#fff> 가문 시보이아카리냐노 가문
이름 이탈리아어: 아메데오 페르디난도 마리아 디 사보이아
Amedeo Ferdinando Maria di Savoia
스페인어: 아마데오 페르난도 마리아 데 사보야
Amadeo Fernando María de Saboya
아버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아델하이트
형제자매 마리아 클로틸데, 움베르토 1세, 오도네, 마리아 피아
배우자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조 (1867년 결혼 / 1876년 사망)
마리아 레티치아 보나파르트 (1888년 결혼)
자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루이지 아메데오, 움베르토
종교 가톨릭 }}}}}}}}}
1. 개요2. 생애
2.1. 출생과 유년시절2.2. 스페인 국왕2.3. 이후
3. 가족관계
3.1. 조상3.2. 자녀
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짧게 스페인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이탈리아 왕국사보이아 왕조 출신이다.

2. 생애

2.1. 출생과 유년시절

1845년 5월 30일 피에몬테 [1]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와 부인 오스트리아의 아델하이트[2]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둘째 손자의 탄생을 기념하여 할아버지인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는 그가 태어나자마자 아오스타 공작위를 수여하였다. 장남이었던 형은 움베르토 1세로 아버지를 이어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 되었다.

1867년 하원 의원 Francisco Cassins의 간청으로[3] 그해 생일에 도나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조(Donna Maria Vittoria dal Pozzo)와 결혼했다.[4]

2.2. 스페인 국왕

1868년, 스페인 국왕 이사벨 2세가 물러난 이후 당시 스페인의 정권을 잡은 것은 급진 자유주의 정치가들이었다. 이들 급진 자유주의자들은 전국에 혁명위원회를 결성하고 주권재민, 보통 선거, 노조 허용과 같은 당시로서는 급진적이었던 정치이념들을 현실로 구현시키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혁명위원회에는 급진 자유주의자뿐만이 아니라 통합주의자, 민족주의자들까지도 상당수가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스페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둘러싸고 심각한 대립이 빚어진다. 일부 정파는 공화정을 요구하는가 하면, 다른 정파는 새로운 군주를 추대하여 군주정을 지속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런 혼란의 와중에 정국의 주도권은 프란시스코 세라노 장군에게 넘어간다.

임시정부를 수립한 세라노 장군은 선거를 실시하여 제헌의회를 선출했고, 무수한 토론 끝에 주권재민, 입헌군주제, 집회의 자유, 종교의 자유 등을 명시한 헌법이 통과되었다.[5] 이후 세라노 장군은 후안 프림에게 정부 수반직을 물려주었고, 새로 수상이 된 프림에게 주어진 선결과제는 바로 새로운 군주를 물색하는 것이었다. 이사벨 2세의 아들 알폰소를 지지하는 목소리도 있었고, 영국 측은 빅토리아 여왕의 시가(媤家)였던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을 은근슬쩍 밀어주기도 했다.

또한 프로이센 왕국호엔촐레른 왕조가 물망에 오르기도 했고[6] 카를로스파는 또 자기 나름대로 이때다 싶어서 열심히 로비활동을 벌였다. 이사벨 2세의 제부인 몽팡시에 공작 앙투안을 지지하는 파벌도 있었다. 1년에 걸친 옥석고르기 끝에 프림은 사보이아 왕조의 아메데오를 왕으로 임명하면서 스페인 국왕 아마데오 1세로 즉위하게 되었다.[7]

그런데 우습게도 그가 마드리드에 도착하기도 전에 혼란스러운 정치상황 속에서 그를 추대했던 프림이 암살당했다. 강력한 후원자가 없어지자 카를리스타, 알폰소 왕자 지지파, 공화파가 반대의사를 내고 노동자들도 반대하자 결국 2년 만에 퇴위하고 이탈리아 왕국으로 돌아갔다. 그의 퇴위로 스페인은 공화정부가 수립되었으나 이후 이사벨 2세의 아들 알폰소 왕자가 알폰소 12세로 즉위했다.

2.3. 이후

이후 1890년에 죽을 때까지 이탈리아의 왕자로서 토리노에서 별 탈 없이 살았다. 1876년에 첫번째 부인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조가 죽자 마리아 레티치아 보나파르트[8]와 결혼했다. 4명의 아들을 보았으며, 1890년에 사망해 토리노의 수페르가 성당에 안장되었다.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자코모 푸치니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여 현악 사중주곡 '국화'를 작곡했다.

장남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는 이탈리아에서 육군 장교가 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때 육군 제 3군 사령관으로 종군하였고, 유언에 따라 사후에 자신이 이끌던 3군 소속 전몰자들이 안장된 레디풀리아 군인묘지에 안장되었다.

삼남 아브루치 공작 루이지 아메데오는 모험가이자 탐험가로 유명하다. 세계일주를 시작해 소말리아 모가디슈를 방문하기도 했고,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도 방문했다. 1895년에 조선을 방문하여 한양 경복궁 건청궁에서 고종을 알현했다. 이는 조선왕조실록 고종 32년 음력 6월 2일 기사에 기록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은 이 '아브루치 공작'을 공작 아부리(公爵 阿夫里) 또는 단순히 아부리라고 기록하였는데, '아부리'는 앞서 5월 27일경에 인천항을 경유해 입국하였고 이때 고종은 외부협판 윤치호에게 명하여 인천항에 급히 가서 아부리를 영접하게 했다. 아부리는 이 조선 방문에서 지금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부지에 있던 종정사(宗正司)에 거처하였다가 곧 본국으로 돌아간 것으로 유추된다.[9] 이후 북극탐험이나 우간다의 루웬조리 산을 오르거나, 카라코람 산맥의 K2 산을 오르는 등 모험심이 강했다.

한편 아마데오 1세의 손자 아이모네(4대 아오스타 공작, 1900~1948)는 나치 독일이 세운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왕 "토미슬라브 2세"로 추대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크로아티아 땅을 밟지 않고 2년을 버티다, 바돌리오 내각이 연합국에 항복한 1943년에 크로아티아 왕위를 포기했다. 이후 그의 외아들 아메데오(1943~2021)가 5대 아오스타 공작이 되었고, 2021년 6월 1일 사망하자 그의 외아들 아이모네(1967년생)가 6대 아오스타 공작이 되었다.

스페인의 정치적 혼란으로 명확한 정통성이 있는 이사벨 2세, 알폰소 12세를 제치고 다른 가문 출신으로서 즉위한 탓에, 아마데오란 왕명은 나폴레옹의 형 조제프가 호세 1세로 즉위 후 더 이상 호세란 왕명이 쓰이지 않는 것처럼 더 이상 쓰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10]

3. 가족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아마데오 1세
(Amadeo I)
<colbgcolor=#fff3e4,#331c00>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Vittorio Emanuele II)
<colbgcolor=#ffffe4,#323300> 카를로 알베르토
(Carlo Alberto)
카리냐노 공 카를로 에마누엘레
(Charles Emmanuel, Prince of Carignano)
작센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공녀
(Princess Maria Christina of Saxony)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여대공
(Archduchess Maria Theresa of Austria)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3세
(Ferdinand III, Grand Duke of Tuscany)
나폴리시칠리아의 루이사 공주
(Princess Luisa of Naples and Sicily)
오스트리아의 아델하이트 여대공
(Archduchess Adelaide of Austria)
오스트리아의 라이너 대공
(Archduke Rainer of Austria)
레오폴트 2세
(Leopold II)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 공주
(Infanta Maria Louisa of Spain)
사보이아의 엘리사베타 공녀
(Princess Elisabeth of Savoy)
카리냐노 공 카를로 에마누엘레
(Charles Emmanuel, Prince of Carignano)
작센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공녀
(Princess Maria Christina of Saxony)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조
(Maria Vittoria dal Pozzo)
1남 아오스타 공작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왕자
(Prince Emanuele Filiberto, Duke of Aosta)
1869년 1월 13일 1931년 7월 4일 오를레앙의 엘렌 공녀
슬하 2남[11]
2남 토리노 백작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왕자
(Prince Vittorio Emanuele, Count of Turin)
1870년 11월 24일 1946년 10월 10일
3남 아브루치 공작 루이지 아메데오 왕자[12]
(Prince Luigi Amedeo, Duke of the Abruzzi)
1873년 1월 29일 1933년 3월 18일
마리아 래티샤 보나파르트
(Maria Letizia Bonaparte)
4남 살레미 백작 움베르토 왕자
(Prince Umberto, Count of Salemi)
1889년 6월 22일 1918년 10월 19일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대 - 레콩키스타 - 스페인 제국 - 현대
<colbgcolor=#c60b1e> 스페인 제국
(1492년 ~ 1931년)
카스티야-아라곤 연합왕국 나바라 왕국
스페인 왕국
압스부르고 왕조
보르본 왕조
(나폴레옹 점령기)
보나파르테 왕조
보르본 왕조
사보야 왕조
제1공화국
왕정복고
스페인 왕국
보르본 왕조
현대
(1931년 ~ )
제2공화국
스페인국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스페인 왕국
보르본 왕조
}}}}}}}}} ||


[1] 사보이아 왕조의 계승자에게 주어지던 작위.[2] 둘은 부계로는 사촌, 모계로는 5촌이다[3] 부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원래 독일인 공주와 결혼하기를 원했고, 제안된 결혼상대가 왕족이 아닌 일반 귀족이라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보였다.[4] 여담으로 아메데오와 마리아의 결혼식 날 신랑측 들러리 중 하나가 그녀를 저격하고, 궁전의 문지기는 자기 목을 그었으며 왕의 측근은 낙마해서 죽었다. 또 행렬을 선도하던 대령이 일사병으로 쓰러져 죽었으며 역장 하나가 신혼 열차 바퀴에 분쇄당해 사망했다.[5] 세라노 장군은 사적으로는 열렬한 공화주의자였지만, 제헌의회에서 여러 이해집단들이 토론을 거친 끝에 군주제를 유지할 것을 결정했다. 공화주의자들 역시도 몇몇 급진세력을 제외하면 '헌법만 준수한다면 아무래도 좋다'라는 심정으로 입헌군주제를 승인했다고 한다.[6] 호엔촐레른 왕조를 추대하려는 움직임에 발끈해서 나폴레옹 3세빌헬름 1세에게 항의했던 것이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으로 이어지는 엠스 전보 사건이었다.[7] 따지고보면 카를로스 3세의 여계후손이기 때문에 스페인 보르본 왕조와 아예 혈연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전 왕인 이사벨 2세와는 7촌(어머니 아델하이트 쪽으로, 레오폴트 2세 경유), 또는 8촌(아버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쪽으로, 레오폴트 2세 또는 양시칠리아페르디난도 1세 경유)관계다. 물론 계승 서열이 더 앞서는 사람들이 더 있기에 혈연에 의해 지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보르본 왕조와 약간이나마 관련이 있으면서 국내외 여러 정파와 이해관계가 적게 겹치는 인물이라 선택된 것으로 생각된다.[8] 제롬 보나파르트의 손녀이자(삼남 나폴레옹 조제프 보나파르트의 딸) 누나 마리아 클로틸데의 딸로 아마데오 본인의 조카였다.[9] 종정사는 조선왕조 왕실 사무를 다루던 기관이다. 예전 이름은 종친부(宗親府)였다.[10] 아마데오의 이탈리아어 이름인 아메데오(Amedeo)는 원래 이탈리아 왕국의 전신인 사보이아 백국-사보이아 공국이 있던 구 아를 왕국 일대에서 사용하던 이름이다. 스페인에서 전통적으로 쓰던 이름은 알폰소(Alfonxo), 페르난도(Fernando), 엔리케(Henrique) 등이었다.[11] 아오스타 공작 아메데오 왕자, 아오스타 공작 아이모네 왕자[12] 1895년 조선에 방문한 이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