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7:54:03

아쿠에리온 로고스

아쿠에리온 시리즈
파일:청성의 아쿠에리론 로고.png 파일:아쿠에리온 EVOL 로고.png 파일:아쿠에리온 로고스 로고.png 파일:상성의 아쿠에리온 로고.png
창성의 아쿠에리온 아쿠에리온 EVOL 아쿠에리온 로고스 상성의 아쿠에리온
Myth of Emo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번외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OVA
(아쿠에리온 배반의 날개&태양의 날개 • 아쿠에리온 일반역전편 • 창세의 아쿠에리온 EVOL)
극장판
(아쿠에리온 창세신화편)
}}}}}}}}} ||
아쿠에리온 로고스 (2015)
アクエリオンロゴス
파일:gkiYh14.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거대로봇
원작 카와모리 쇼지
SATELIGHT
로고스 컨셉 카와모리 쇼지
감독 사토 히데카즈
조감독 츠쿠시 다이스케(筑紫大介)
시리즈 구성 쿠마가이 준(熊谷 純)
문예 설정 카와이 히로유키(河合宏之)
캐릭터 원안 마메즈카 타카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서브 캐릭터 디자인 니시노 아야나(西野文那)
프롭 디자인
총 작화감독 마메즈카 타카시
니시노 아야나
의상 디자인 협력 에바타 리사
아쿠에리온 디자인 브뤼네 스타니슬라스
메카닉 디자인 이케다 유키오(池田幸雄)
M.J.B.K 디자인 미야자키 신이치(宮崎真一)
메카 프롭 디자인 타카쿠라 타케시(高倉武史)
붓문자 디자인 櫻井静城
미술 감독 모리모토 시게루(森元 茂)
미술 설정 후지세 토모야스(藤瀬智康)
색채 설계 타카기 마사토(高木雅人)
테구라모리 사키코(手倉森咲子)
촬영 감독 쿠보타 준(久保田 淳)
CG 프로듀서 아오타니 타카시(青谷崇司)
CG 디렉터 고토 히로유키(後藤浩幸)
모니터 그래픽스 이시카와 히로타카(石川寛貢)
편집 카네시게 료코(兼重涼子)
음향 감독 시미즈 요지(清水洋史)
음악 R・O・N
음악 제작 플라잉 독
프로듀서 요시타케 신타로(吉武真太郎)
타카노 세이라(高野星来)
나카하시 아츠시(中橋 篤)
요코타 신고(横田真吾)
이토 쇼세이(伊藤将生)
하라 히로카즈(原 裕和)
시오타니 요시유키(塩谷佳之)
이시다 츄야(石田忠也)
고카 카즈노리(伍賀一統)
이시즈카 마사토시(石塚正俊)
야타베 유키노부(矢田部行庸)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와타나베 유스케(渡部雄介)
야마다 료스케(山田良輔)C2C
애니메이션 제작 SATELIGHT
C2C
제작 Project AQUARION LOGOS
방영 기간 2015. 07. 03. ~ 2015. 12. 2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 / (금)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화) 00: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3.2. 그 외
4. 등장 메카5. 특징6. 용어7. 음악
7.1. 주제가
7.1.1. OP17.1.2. ED17.1.3. OP27.1.4. ED2
7.2. 삽입곡
8. 회차 목록9. 평가10.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叫べ、創声合体ーーー
외쳐라, 창성합체ーーー
창성의 아쿠에리온, 아쿠에리온 EVOL에 이은 아쿠에리온 시리즈 3번째 작품.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방영했다. 아쿠에리온 시리즈 10주년 기념작이기도 하다. 시리즈 원작자인 카와모리 쇼지는 한자를 쓴다는 기본 컨셉만 담당하고 그 이외에 메카닉 디자인이나 스토리는 담당하지 않는다. 감독은 사토 히데카즈가 맡았다. 오프닝 곡의 아티스트가 역사와 전통의(...) AKINO에서 May'n으로 변경됐다.

시리즈 최초로 아쿠에리온을 2명이서 합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3P의 시대는 지났는가? 아니, 3P 되는데?[1]

글자의 개념이 중요하게 나타나는 이 작품의 특성상, ED에서는 반가운 한글도 등장한다.

2. 공개 정보

2.1. PV

PV

3. 등장인물

3.1. 주요 인물

3.2. 그 외

4. 등장 메카

5. 특징

6. 용어

7. 음악

7.1. 주제가

7.1.1. OP1

OP1
ヤマイダレdarlin
병든 달링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May'n
작사 Gabriela Robin
작곡 칸노 요코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오프닝 감독 쿠사모토 나오키(楠本巨樹)
콘티
작화감독 마루후지 히로타카(丸藤広貴)
원화 작화감독 사토 토시코(佐藤寿子)
총 작화감독 마메즈카 타카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2. ED1

ED1
ジュ・ジュテー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
쥬·쥬뗌므·커뮤니케이션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키코가미 코코네(CV. 치스가 하루카)
작사 키요시 류진(清 竜人)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쿠보오카 토시유키
연출
작화감독 니시노 아야나(西野文那)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3. OP2

OP2
夜明けのロゴス
새벽의 로고스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May'n
작사 Gabriela Robin
작곡 칸노 요코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미우라 카즈야
사토 히데카즈
연출
작화감독 마메즈카 타카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4. ED2

ED2
本当の声をあなたに預けたくて
진실된 목소리를 전하고 싶어서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May'n featuring 치스가 하루카
작사 도쿄 카쿠렌보(東京かくれんぼ)
작곡 스즈키 히로아키(鈴木裕明)
편곡 NAOKI-T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쿠보오카 토시유키
연출
작화감독 니시노 아야나(西野文那)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2. 삽입곡

6화 삽입곡
まーぼーどーふにふぉーりんらぶ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우미나기 카린(CV.오자와 아리)
작사 R・O・N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10, 22화 삽입곡
君との今日、わたしの声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키코가미 코코네(CV.치스가 하루카)
작사 May'n
작곡
편곡 R・O・N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25화 삽입곡
創聖のアクエリオン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KINO from bless4
작사 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작곡 칸노 요코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25화 삽입곡
君の神話〜アクエリオン第二章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AKINO from bless4
작사 Gabriela Robin
작곡 칸노 요코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8.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19]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叫べ! 創声合体
외쳐라! 창성 합체
쿠마가이 준
(熊谷 純)
사토 히데카즈 타카시마 다이스케
(高島大輔)
나가사카 칸지
(長坂寛治)
오오코우치 시노부
(大河内 忍)
야마카도 이쿠오[A]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07.03.
韓: 2015.07.07.
제2화 照らせ! 意志の光
비춰라! 의사의 빛
사토 키요미츠
(佐藤清光)
니시노 아야나
(西野文那)
日: 2015.07.10.
韓: 2015.07.14.
제3화 響け! 私だけの夢
울려라! 나만의 꿈
츠쿠시 다이스케
(筑紫大介)
시오카와 타카시
(塩川貴史)
사토 아츠시
(佐藤篤志)
타카하시 카즈야
(高橋和也)
나가사카 칸지
日: 2015.07.17.
韓: 2015.07.21.
제4화 放て! 心射る矢
놔라! 마음을 쏘는 화살
야부키 츠토무
(矢吹 勉)
김재현
(キムゼヒョン)
니시노 아야나 日: 2015.07.24.
韓: 2015.07.28.
제5화 取り戻せ! 俺たちの夏
되찾아라 우리의 여름
아야나 유니코 나가이 신페이
(永居慎平)
타마다 히로시
(たまだひろし)
타나베 켄지
(田辺謙司)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07.31.
韓: 2015.08.04.
제6화 灯せ! 己の強さ
밝혀라! 자신의 강인함
쿠마가이 준 타카하시 히데토시
(高橋英俊)
스즈키 쇼코
(鈴木祥子)
니시노 아야나 日: 2015.08.07.
韓: 2015.08.11.
제7화 燃やせ! 救世の炎
불태워라! 구세의 불꽃
미우라 카즈야 타카하시 준
(高橋 順)
야스다 쇼코
모리 에츠히토
(森 悦史)
이케하라 유리코
(池原百合子)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08.14.
韓: 2015.08.18.
제8화 貫け! 虫の一分
꿰뚫어라! 벌레의 일푼
사토 키요미츠 이케시타 히로키
(池下博紀)
사오토메 케이
(早乙女 啓)
미시마 치에
(三島千枝)
김재현
니시노 아야나 日: 2015.08.21.
韓: 2015.08.25.
제9화 晴らせ! 誘いの影
떨쳐내라! 유혹의 그림자
사토 히데카즈 이시카와 슌스케
(石川俊介)
야마카도 이쿠오
오오코우치 시노부
코이카와 신페이
(鯉川慎平)
야마카도 이쿠오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08.28.
韓: 2015.09.01.
제10화 届け! 本当の声
닿아라! 진정한 목소리
모치즈키 마리코
(望月真里子)
미야오 요시카즈
(宮尾佳和)
시미즈 카즈노부
(清水一伸)
후쿠나가 준이치
(福永純一)
스즈키 쇼코
코노 에미
(河野絵美)
니시노 아야나 日: 2015.09.04.
韓: 2015.09.08.
제11화 羽ばたけ! 縛られた翼
날아올라라! 구속당한 날개
쿠마가이 준 미우라 카즈야 타카시마 다이스케 코이카와 신페이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09.11.
韓: 2015.09.15.
제12화 重ねろ! 心と心
겹쳐져라! 마음과 마음
아오야마 히로시
(青山 弘)
야부키 츠토무 김재현
야마다 신야
(山田真也)
니시노 아야나 日: 2015.09.18.
韓: 2015.09.22.
제13화 大勝利! 我らが救世主
대승리! 우리의 구세주
츠쿠시 다이스케
미우라 카즈야
츠쿠시 다이스케 나가사카 칸지
사토 아츠시
타카하시 카즈야
시오카와 타카시
오오코우치 시노부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09.25.
韓: 2015.09.29.
제14화 曝せ! 最低の自分
보여라! 최악의 자신
이와모토 야스오 김재현
후쿠나가 준이치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0.02.
韓: 2015.10.06.
제15화 嗚呼! 青春の日々
하아! 청춘의 날들
나가이 신페이 야스다 쇼코
콘도 루이
(近藤瑠衣)
나츠세 유키
(夏瀬悠李)
시라이시 사토루
(白石 悟)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10.09.
韓: 2015.10.13.
제16화 刻め! 宿命の傷
새겨라! 숙명의 상처
소에타 카즈히로
(そえたかずひろ)
이케시타 히로키 김재현
이이지마 히로야
(飯島弘也)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0.16.
韓: 2015.10.20.
제17화 砕け! 討つべきモノ
부숴라! 공격해야할 것
니시자와 스스무 츠쿠시 다이스케
사토 히데카즈
야마카도 이쿠오
나가사카 칸지
사토 아츠시
타카하시 카즈야
시오카와 타카시
오오코우치 시노부
사카모토 슌타
(坂本俊太)
사이토 아츠코
(齋藤温子)
후쿠나가 준이치
요시카와 코스케
(吉川巧介)
야마카도 이쿠오
야마카도 이쿠오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10.23.
韓: 2015.10.27.
제18화 吠えろ! 正直な負け犬
짖어라! 솔직한 패배자
타카하시 히데토시 이토 키미타카
(伊藤公崇)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0.30.
韓: 2015.11.03.
제19화 恋せよ! 阿佐ヶ谷
사랑하라! 아사가야
아야나 유니코 이와모토 야스오 오오세도 사토시
(大脊戸 聡)
코이카와 신페이
츠루모토 신코
(鶴元慎子)
나가사카 칸지
오오코우치 시노부
사카모토 슌타
시오카와 타카시
야마카도 이쿠오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11.06.
韓: 2015.11.10.
제20화 知れ! 生まれた意味
깨달아라! 태어난 의미
쿠마가이 준 사토 키요미츠 김재현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1.13.
韓: 2015.11.17.
제21화 悲壮! 背徳の合体
비장! 부도덕한 합체
나가이 신페이 키타가와 마사토
(北川正人)
사이토 카즈야
(斉藤和也)
콘도 루이
시라이시 사토루
키노시타 유미코
(木下由美子)
사카모토 슌타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11.20.
韓: 2015.11.24.
제22화 聞け! キミを呼ぶ声
들어라! 너를 부르는 소리
이와모토 야스오 사이토 아츠코
마츠모토 마사요
(松本昌代)
사이토 히로시
(齋藤 寛)
키타죠 나오아키
(北條直明)
김재현
이케시타 히로키
쿠다카 시로
(久高司郎)
후쿠나가 준이치
야마다 에이코
(山田英子)
오오타 아키히코
(太田彬彦)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1.27.
韓: 2015.12.01.
제23화 蘇れ! 月夜の誓い
되살아나라! 달밤의 맹세
나가이 신페이 코이카와 신페이
츠루모토 신코
바바 류이치
(馬場竜一)
나가사카 칸지
사토 아츠시
타카하시 카즈야
오오코우치 시노부
사카모토 슌타
야마카도 이쿠오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12.04.
韓: 2015.12.08.
제24화 出撃! 我が存在を賭けて
출격! 내 존재를 걸고
타카하시 히데토시
이와모토 야스오
사토 키요미츠 김재현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2.11.
韓: 2015.12.15.
제25화 集え! 明日を望む声
모여라! 내일을 바라는 목소리
미우라 카즈야 타카하시 히데토시 사이토 아츠코
타니구치 아키코
(谷口亜希子)
니시노 아야나
日: 2015.12.18.
韓: 2015.12.22.
제26화 終わらない!アクエリオンロゴス
끝나지 않는다! 아쿠에리온 로고스
사토 히데카즈 츠쿠시 다이스케
사토 히데카즈
코이카와 신페이
츠루모토 신코
시오카와 타카시
나가사카 칸지
사토 아츠시
타카하시 카즈야
오오코우치 시노부
사카모토 슌타
야마카도 이쿠오
김재현
사이토 아츠코
니시노 아야나
마메즈카 타카시 日: 2015.12.25.
韓: 2015.12.29.

9. 평가

아쿠에리온 시리즈 특유의 소름돋는 병맛 오글거림은 남아있다. 시작부터 뜬금 없이 한자의 소중함을 역설하더니(...), 기체의 조종이나 모든 제어가 한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자를 움직여서 조종하고, 한자로 글자를 만들어서 기술을 시전한다.[25] 1화에서 아키라에게 잡혀온(?) 마이아가 츤츤대면서도 함께 한자를 조합하는 장면은 백미.

은근히 현대 사회를 문자에 대입해서 교훈을 주는 내용이 많다. 현대 사회의 SNS의 장단점이라든지가 그예 그런면에서는 교훈같은 걸 얻기힘든 전작들보다는 낫다는 평이며 의외로 고전 로봇물의 패턴에 충실한 편이다. 일각에서는 카와모리가 빠지니깐 스토리가 멀쩡해졌다는 소리까지 나왔다.

25화에서 전작 EVOL OP의 삽입 시퀀스는 대호평을 받고있다. 이제껏 받아왔던 답답함을 한방에 날려버리는 상쾌함과 전율이 백미. 전작처럼 통수치는 엔딩은 아닌, 나름 무난한 엔딩을 선보이며 무사히 최종화를 맞이했다.

일단 스토리에 대해서는 무난하다는 평이지만 카와모리 쇼지 감독이 연출에서 손을 떼면서 로봇 전투신과 같은 전체적인 영상 연출의 수준이 저하되었고 파격적인 연출도 줄어들어 아쿠에리온 시리즈 특유의 맛이 나지 않게 되었다. 사토 히데카즈는 전작 노부나가 더 풀에서도 유사한 비판을 받았는데, 본작에서도 비판이 그대로 계승된 것이다. 아쿠에리온 시리즈는 스토리보다는 카와모리 쇼지 특유의 세계관과 로봇 액션, 다른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파격성 때문에 유명해진 작품인데 그게 빠지고 평이한 작품이 되었으니 대량의 팬 이탈이 발생한 것이다. EVOL이 그래도 여러 논란은 있어도 강렬한 연출로 이후로도 회자되는 것에 비하면 이 작품은 아쿠에리온 팬들에게 철저하게 외면받았다.

그러나 스토리의 질과 무난한 작품을 중시하는 팬 사이에서는 EVOL보다 이게 낫다는 반응도 종종 나오긴 한다.

BD/DVD 판매량은 727장. 아쿠에리온 시리즈는 대대로 작품 판매량보다는 파칭코로 수익을 회수했지만 이 작품은 연출력 부족으로 파칭코 시장에서도 그렇게 히트를 하지 못했고 창성, EVOL과 세트로 묶어 "올스타즈 파칭코" 라고 해서 끼워팔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후로 아쿠에리온 시리즈는 소식이 끊어지게 되었다. 그나마 창성과 EVOL 파칭코는 로고스가 나온 뒤로도 어느 정도 나가는 상황이라 시리즈가 부활할 가능성이 없는 것까진 아니다.

2025년, 상성의 아쿠에리온 Myth of Emotions이 나오면서 시리즈의 명맥이 이어졌다. 이 작품 또한 로고스처럼 초대 작품과 무관한 독립 세계관이다. 대신 초대의 오마주가 로고스보다 강하게 들어갔다. 카와모리 쇼지가 아쿠에리온 디자인을 다시 맡았지만, 그이외의 제작진은 완전히 새로운 팀이다. 카와모리는 후배들에게 시리즈를 물려주고 싶다고 발언했으며, 이에 따라 아쿠에리온 시리즈는 로고스처럼 개별 작품들이 각각의 독립 세계관으로 전개될 것으로 추정된다.

10. 외부 링크

공식 사이트
공식 트위터


[1] 4화에서 3체 합체인 아쿠에리온 엔젤이 나왔다.[2] 자신이 도와주던 할머니의 가방을 날치기 하던 강도를 잡아준 아키라에게 고맙다는 말 한마디도 못한 채 더듬거리기만 했다.[3] 코코네가 일하는 시로바코(=DEAVA) 근처의 동네 꼬맹이들조차 그녀를 알 정도.[4] 2화에서 가게에 남아있던 우유 다 마셔버렸다고 하는 걸로 봐서는 우유를 좋아하는 듯.-[5] 원래는 1호기 파일럿 이었다.[6] 사요나라는 보통 일본 내에서 긴 이별을 전제로 한 인사말이다. 때문에 평상시 회화에서는 쉽게 해선 안된다.[7] 전작에서도 해당 작품에는 사망자가 있기는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참으로 안타까운 경우.[8] CV - 타마가와 사키코. 이름은 란코. 여담으로 해당 성우는 아쿠에리온 시리즈 첫번째 작품인 창성의 아쿠에리온에서 부사령관인 소피아 블랑 역을 맡았었다.[9] 저녁 8시가 되자 엄마가 시로바코까지 마중나왔다.[10] 노부나가 더 풀의 실사 뮤지컬에서 도요토미 역을 맡았던 배우. 애니메이션 더빙은 이 작품이 두 번째.[11] 어머니가 안 계신 듯하며, 아버지인 소우곤에게서 애정을 갈구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냉대 뿐이었다. 그 때문인지 마이아에게서 애정을 얻으려고 한 듯하다. 그래서인지 유독 마이아에게 집착하고 있다. 16화에서 더 자세한 것이 밝혀져 소우곤의 양자라는 것이 밝혀졌다. 어머니는 스베테를 낳은 것은 아니지만 태어난 날짜를 예고하여 스베테를 소우곤에게 만나게 해주었다는 게 중요. 이 이름은 어머니인 마오가 지어준 것이다. 그가 두 살 때 돌아가셨는데, 소우곤이 연구로 인해 일본을 떠나있을 당시 네스타를 달갑게 여기지 않았던 세력의 음모로 사고에 휘말렸고, 이 과정에서 스베테를 지키기 위해 자신이 그 충격을 받았기 때문.[12] 외형상으로는 5호기와 흡사하게 생겼다.[13] 전화로는 도움을 받지 못해 익명게시판에 자신의 위치와 상황을 알리는 글을 인터넷으로 남겼다.[14] 그의 호적으로 입적시켰다.[15] 혈연은 아니다.[16] 이 때 앞세운 병기가 아쿠에리온. 이 아쿠에리온들은 21화에서 네스타가 소환하여 현대인들을 공격했다.[17] 실루엣 상 '아쿠에리온 디바'인 듯 하며, 코어가 된 상반신은 훗날 아쿠에리온 아호기로 불리는 벡터 머신으로서 현대에 남겨지게 된다.[18] 창성의 아쿠에리온의 創聖이 아니다.[1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액션[21] 傷의 MJBK가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새로운 라이벌 기체로서 아쿠에리온 傷이 등장했다.[22] 해당 MJBK의 성우는 사토 에이치.[23] 여기에서는 거짓말하다의 뜻으로 쓰임.[24] 공식적으로 등장한 MJBK는 없었다.[25] 예를 들면 무한권이라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