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16:22:47

아효부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혁거세 후 남해 후 유리 후 탈해 후
알영부인 운제부인
1
이리생부인
2
사요왕의 딸 김씨
아효부인
파사 후 지마 후 일성 후 아달라 후
사성부인 애례부인 지소례왕의 딸 박씨 내례부인
벌휴 후 내해 후 조분 후 미추 후
석골정의 모후 아루부인
1
아이혜부인
2
운소부인
광명부인
흘해 후 내물 후 실성 후 눌지 후
석공한의 모후 보반부인 아류부인 차로부인
자비 후 소지 후 지증왕 후 법흥왕 후
1
김복호의 딸
2
김미사흔의 딸
1
김습보의 딸
2
선혜부인
연제부인 보도부인
진흥왕 후 진지왕 후 진평왕 후 무열왕 후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
문무왕 후 신문왕 후 성덕왕 후 효성왕 후
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경덕왕 후 혜공왕 후 선덕왕 후 원성왕 후
사량부인
2
경수태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 숙정부인
소성왕 후 애장왕 후 헌덕왕 후 흥덕왕 후
계화부인 왕후 박씨 귀승부인 정목왕후
희강왕 후 민애왕 후 신무왕 후 문성왕 후
문목왕후 윤용왕후 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헌안왕 후 경문왕 후 헌강왕 비 효공왕 후
문의왕후의 모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 왕비 박씨
신덕왕 후 경명왕 후 경애왕 후 경순왕 후
의성왕후 왕비 김씨 왕비 죽방부인
}}}}}}}}}

아효부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신라의 왕녀
[[틀:신라의 왕녀/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김씨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애례부인
내례부인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이리생부인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박씨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옥모부인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석씨
아이혜부인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술례부인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박씨
조생부인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김씨
[[김습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후 김씨
어사추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사#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국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

신라 탈해 이사금의 왕비
아효부인 | 阿孝夫人
<colbgcolor=#7C2A8D><colcolor=#fbe673>
신라 남해 차차웅의 왕녀
박아효 | 朴阿孝
생몰년도
연대 미상
재임기간
(음력)
신라 왕비
57년 11월 ~ ?
본관 밀양 박씨
아효(阿孝)
부왕 남해 차차웅
모후 운제부인
부군 탈해 이사금
자녀 슬하 2남
아들 - 석구광(昔仇光), 석구추(昔仇鄒)
아효부인(阿孝夫人)[1]
이칭 아니부인(阿尼夫人)[2], 아로부인(阿老夫人)[3]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4. 기타

1. 개요

신라 제2대 국왕 남해 차차웅과 왕후 운제부인의 딸. 또한 신라 제4대 국왕 탈해 이사금의 왕비이다. 그들의 손자가 바로 석씨 왕가를 정착시킨 벌휴왕으로, 아효부인을 통해 석씨 왕실은 박씨 혈통도 이어받으며 정통성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벌휴왕의 고손녀 광명부인이 김씨 왕가의 시조인 미추왕과 결혼해 내물왕을 낳음으로써, 아효부인을 매개로 박-석-김씨 왕실의 혈통이 합쳐졌다.

아로(阿老)라는 이름을 개인의 인명이 아닌 농경사회에서 사제를 수행하는 집단이나 특정한 직능을 표현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4]

2. 생애

8년(남해 차차웅 5), 석탈해를 마음에 들어한 아버지로 인해 그와 결혼하게 된다.[5][6]

57년(탈해 이사금 원년), 남편이 왕이 되면서 본인도 신라의 왕후가 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

파일:김수로아효.jpg
파일:아니2.jpg
아효(阿孝) 아니(阿尼)

4. 기타

기록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1] 성은 석(昔)이며, 왕비는 아효부인(阿孝夫人)이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 이사금조》[2] 이때 남해왕(南解王)은 그 아이, 즉 탈해(脫解)가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맏공주를 아내로 삼게 하였으니, 이 분이 바로 아니부인(阿尼夫人)이다. - 《삼국유사 기이편 제4대 탈해왕조》[3] 왕비는 남해왕의 딸인 아로부인(阿老夫人)이다. - 《삼국유사 왕력편 탈해 이질금조》[4] 신라 상고기에 왕비의 이름 중에는 'ar'계 인명이 자주 보인다. 신라 시조 혁거세의 누이가 娥伊英(娥英)이고, 왕비는 閼英이다. 또한, 남해차차웅의 비인阿婁, 누이 阿老, 탈해이사금의 비인 阿孝(阿老, 阿尼), 아달라이사금의 비인 內禮, 지마이사금의 비인 愛禮, 조분이사금의 비인 阿爾兮, 내물의 비인 內禮希, 실성의 비인 阿類, 눌지마립간의 비인 阿老 등이다. 이들은 동일한 의미의 이름을 가진 왕비로 나오며, 박혁거세의 왕비 알영과 남해차차웅의 누이 아로를 통해 사제적인 성격을 상정할 수 있다. 결국 'ar'계 인명은 사제의 성격을 가진 인물을 의미한다. 'ar'계 인명이 신라 건국기부터 왕실 여성에게 사용된 이유는 사제라는 특수한 직능과 관련되어 있으며, 여사제라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ar'는 농경사회에서 사제를 수행하는 왕이나 왕비가 농작의 풍요를 기원하다는 의미에서 司祭와 연결시킬 수 있다.(신라 마립간시기 왕위계승원리와 왕권의 성격, 김재홍)[5] 5년(서기 8) 봄 정월, 임금이 탈해(脫解)가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 자신의 큰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남해 차차웅조》[6] 남해왕(南解王) 5년(서기 8)에 이르러 가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 임금은 자신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탈해 이사금조》[7] 아효부인의 효(孝)와 아로부인의 로(老)는 글자 모양이 비슷해서 어느 한쪽이 오기인 듯하다.[8] 다만 아효부인, 차로부인 둘의 성씨가 각각 박씨, 김씨로 다르기 때문에 성씨를 병기하면 혼동을 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