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1:45:18

양감IC

양감 나들목
楊甘 나들목
Yanggam Interchange
양감 요금소
Yanggam Tollgate
평택 방면
북평택TG
← 3.6 km
파일:Expressway_kor_17.svg 광명 방면
향남IC
3.6 km →
주소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송산리
관리기관
평택파주선 경기고속도로(주)
개통
2019년 8월 30일
접속도로
파일:Cityroad_kor_10.svg(발안양감로)

1. 개요2. 구조
2.1. 광명 방향2.2. 평택 방향
3. 상세4. 역사5.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평택파주고속도로 4번.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발안양감로 944-45 (송산리 1004-2)에 있는 평택파주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양감면에서 유래했다.

2. 구조

일반적인 트럼펫형 입체교차로다.

2.1. 광명 방향

2.2. 평택 방향

3. 상세

개통까지 여러 어려움이 있었던 나들목이다. 인근 주민들이 교통 체증과 지역 사회 단절을 이유로 나들목 개통을 맹렬히 반대하고 도로공사를 상대로 무수한 소송을 걸 정도였으며, 교통공학적으로도 양감IC 주변에 나들목들이 많아 양감IC를 개통한다고 고속도로 소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건 아니었기에 굳이 필요하냐는 의견도 만만찮았다. 그래서 당초 2018년 12월에 개통할 계획이었으나 연기 크리. 그나마 2019년 2월 설 연휴 때 임시로 개통했고, 설 연휴가 끝나자 다시 폐쇄한 뒤 마무리 공사를 거쳐 8월에 정식으로 개통했다.

고속도로 출구에서 발안양감로가 직결되며, 이를 경유해 서해안고속도로 발안IC까지 곧바로 이어진다. 신호등은 양감IC 인근에 있는 송산교차로(사거리) 단 1개뿐이다. 서해안고속도로평택파주고속도로 사이를 오갈 때 방향에 따라 평택제천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등을 대체하는 우회 루트로 활용할 수 있다.

발안양감로는 양감IC를 거쳐 서탄면 방향까지 이어질 계획이 있다. 그래서 양감IC 진출로도 연장에 대비한 구조로 지어졌는데, 진출로 중간에 북서쪽으로 갑자기 급커브를 꺾는 지점이 발안양감로 연장 시 삼거리로 전환될 지점이다. 그래서 '양감삼거리'라는 이름으로 표지판까지 붙어 있으나 도로가 언제 개설될지는 미지수.

43번 국도의 대체 루트 역할을 하는 나들목이기도 하다. 43번 국도 본래 양감면 신왕삼거리가 기점이었지만, 이후 노선이 세종특별자치시까지 연장 지정되면서 현재는 오성IC~신왕삼거리 구간이 끊겨 있는 형태가 됐다. 해당 구간에 별다른 도로 개설 계획도 없는 상황이라 현재로서는 43번 국도를 종주하고 싶다면 오성IC에서 그대로 평택파주고속도로로 진입한 뒤 양감IC로 나와 312번 지방도(정문송산로)-306번 지방도(정문회화로)를 경유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 만약 통행료를 내고 싶지 않다면 어연IC에서 진출해 302번 지방도(청원로)-39번 국도(서해로)-306번 지방도(암소고개로) 순서대로 경유해 신왕삼거리로 접속해야 한다.

4. 역사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3f3f7f><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7.svg
고속국도 제17호선
구간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익산평택고속도로
(계획중)
- - - - - - - - - - -
평택파주고속도로 - - - - - - - - - - - - - -
(공사중)
- - - - - - - - - -
(계획중)
남광명-소하 지선 남광명TG - 성채IC/소하IC
남고양-봉대산 지선 남고양IC - 봉대산JC
월롱-문산 지선 산단TG - 내포IC
1: 고속국도 제400호선과 중복 지정 구간.2: 지방도 제309호선과 중복 지정 구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