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수 Generalfieldmarschall | |
육군 원수 | 레온하르트 폰 블루멘탈 | |
상급대장 Generaloberst | ||
육군 상급대장 | - 명예원수 오토 폰 비스마르크 | 명예원수 루트비히 4세 | |
병과대장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 ||
육군 병과대장 | 에두아르트 폰 레빈스키포병 | |
해군 대장 | - | |
중장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 ||
육군 중장 | 페르디난트 그라프 폰 체펠린 | 에두아르트 폰 페스텔 | |
해군 중장 | - | |
소장 Generalmajor / Konteradmiral | ||
육군 소장 | - | |
해군 소장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독일 제국군의 상급대장과 대장, 중장, 소장은 각각 미군의 대장, 중장, 소장, 준장에 상응. ※ 윗 첨자 † : 전사 | ||
}}}}}}}}} |
<colbgcolor=#666> 독일 제국군 포병대장 에두아르트 폰 레빈스키 Eduard von Lewinski | |
| |
본명 | 에두아르트 율리우스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레빈스키[1] Eduard Julius August Ludwig von Lewinski |
출생 | 1829년 2월 22일 프로이센 왕국 뮌스터 |
사망 | 1906년 9월 15일 독일 제국 |
복무 | 프로이센군(1846년~1871년) |
최종계급 | |
주요참전 |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
주요서훈 | 푸르 르 메리트 |
[clearfix]
1. 개요
에두아르트 폰 레빈스키는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의 군인으로 최종계급은 포병대장이다. 그 유명한 에리히 폰 만슈타인의 친아버지이기도 하다.[2][3]2. 생애
레빈스키는 1829년 뮌스터에서 아우구스트 요아콥 폰 레빈스키의 아들로 태어났다. 레빈스키는 1846년 5월 2일 소위로 임관되어 제6 보병 연대에 배치되었다. 1864년, 레빈스키는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대위로 참전하였다. 여러 전투를 참여하며, 푸르 르 메리트를 받았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는 제1군단의 참모장교로 복무하였다. 이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레빈스키는 9군단의 참모장으로 복무하였다. 이후 중장으로 진급하였고, 6군단의 사령관이 되었다. 1890년 포병대장으로 진급하였고, 1895년 레빈스키는 전역하고, 1906년 죽었다.[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레빈스키'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붙임표로 이어진 인명 등의 경우, 여러 요소가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복합어로 보고,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붙여 적는 것이 규정 용례이다.[2] 코가 정말 닮았다.[3] 만슈타인과의 나이차는 무려 42살 차이이며 현대기준으로도 한참 늦둥이이며 당대에서는 거의 할아버지뻘의 나이였다. 그렇기에 만슈타인이 성인이 되기 직전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