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 ||||
동남아시아 | | |||||
서아시아 | | |||||
남아시아 |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동유럽 |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
남유럽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슬로베니아 |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1. 개요
에티오피아의 육군.2. 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현대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cdd09> 돌격소총 | BM59, G3, AK-47, AKM, Vz.58, AK-103 | |
저격소총 | PSL | |||
기관단총 | MAB 38, UZI | |||
권총 | 마카로프 PM | |||
지원화기 | <colbgcolor=#da121a> 기관총 | RP-46, RPD, RPK, DShK | ||
유탄발사기 | M79, QLZ-87 | |||
대전차화기 | RPG-7, RPG-18, B-10, B-11, M72, M40A1C, BGM-71, 9K135, 9K114, 9K111, 9K11, SS-11 | |||
박격포 | M19, M-43, M1, M29, M43 | |||
맨패즈 | SA-7, SA-7B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에티오피아 공화국 방위군 የኢፌዲሪ መከላከያ ሠራዊት | ||||
주력 전차 | 1세대 | T-54, T-55 | |||
2세대 | T-62, T-72 | ||||
3세대 | T-72UA1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TR-60PB, 90식 | |||
궤도장갑차 | M113A1R, BMP-1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2S19 므스타-S, PLZ-45, SH-15 | |||
자주박격포 | 85식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판치르-S1 | |||
다연장로켓 | 63식, BM-21, AR2, A20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에티오피아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T-72UA1 | 주력전차 | 소련 / 우크라이나 | 200여 대 | - | - | |
T-62 | 주력전차 | 소련 | - | - | - | 상세 수량 불명 |
에티오피아 육군의 포병장비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AR2 | 다연장로켓 | 중국 | 6문 | - | - | |
SH-15 | 자주곡사포 | 중국 | 32문 | - | - | |
2S19 므스타-S | 자주곡사포 | 소련 | 12문[1]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