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02 07:36:18

이집트 육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093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수련 · 초원수리
역사 역사 전반 · 고대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파티마 왕조 · 맘루크 왕조 · 이집트 왕국 · 2011 이집트 혁명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이집트 파운드 · 넥스트 일레븐
국방 이집트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바스부사 · 몰로키야(음식) · 하맘 마슈위이집트 음악 · 이집트 미술 · 이집토마니아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카이로 박물관 · 이집트 대박물관
인물 네페르티티 · 아케나톤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히파티아 · 바이바르스 · 메흐메트 알리 · 가말 압델 나세르 · 안와르 사다트 · 호스니 무바라크 · 무함마드 무르시 · 압델 파타 엘 시시 · 하산 알 반나 · 사이드 쿠틉 · 모하메드 살라
지리 나일강 · 시나이반도 · 사하라 사막 · 홍해
민족 이집트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종교 이집트 신화 · 콥트 정교회 · 수니파 · 살라피즘
언어 고전 이집트어 · 콥트어 · 이집트 아랍어
문자 이집트 상형문자 · 콥트 문자 · 아랍 문자
관광 이집트/관광 · 철도 환경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이집트군 상징.png 이집트군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صرية
}}}
파일:이집트 육군기.svg
파일:이집트 해군기.svg
파일:이집트 공군기.svg
파일:이집트 방공군기.svg
이집트 육군 이집트 해군 이집트 공군 이집트 방공군
이집트 육군
الجيش المصري
Egyptian Army
파일:이집트 육군기.svg
이집트 육군기
창설년도 1820년
기념일 10월 6일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집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명령체계 이집트 국방부
주임무 지상전
소속 이집트군
군종 육군
전력 310,000명

1. 개요2. 상세3. 장비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1. 개요

이집트의 육군이다.

2. 상세

이집트 육군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가로로 긴 국토를 신속하게 관리해야 하는 안보 환경상 기갑전력의 규모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크다.

3. 장비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 이집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AK-47, M4 카빈, M16A2, M16A1, 마아디, AR70/90, CAR-15, SG552, SIG516, CZ-805/807, 베레타 ARX-160
저격소총 SVD, PSG1, AWM, M40A3, SSG 3000, M82
기관단총 MP5, UMP, MP7
권총 TT-33, 헬완, 헬완 920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FN 미니미, FN MAG, RPK, RPD, PK/PKM/PKMS, M60E4
중기관총 SG-43, DShK, NSV, KPV, M2HB, M134 미니건, GAU-19
유탄발사기 마아디 GL, M79, Mk.19 고속유탄기관총
대전차화기 휴대형 M72 LAW, M47 드래곤, RPG-7
설치형 MILAN 2, BGM-71D TOW II, 3M6, 3M11, 9K11, 9M113, 9K115, HJ-8, 아케론 MP
무반동총 M40 무반동포, SPG-9, B-10, B-11
박격포 M-43, 2B11 Sani, 헬완 UK-2, M240 박격포, M224, M30, M252
맨패즈 Sakr Eye, 이글라, 스팅어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 이집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집트군 (1820~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صرية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M4(75)R, M4A2R, 셔먼 V 디젤M/R, M4A4(FL-10)M/R, T-34-85CZR, IS-3MR, M.13/40R, M22 로커스트R
MBT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T-55BS
2세대 마크 III, M60(A1/A3), 람세스 llS/M
3세대 M1A1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C, BRDM-2, BTR-60PB, BTR-152K, 르노 셰르파, V-150
BTR-40, SPW-40Chs, BMR-600, Tiger Kader-120, Fhad 240,
RG-32 스카웃, RG-33, 카이만, 카스피르, M1224 MaxxPro
궤도장갑차 M113A2, BMP-1, BTR-50(PK/PKM), OT-62B, BEIFVM, YPR-765 PRI
차량 소형 험비,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M151, 지프CJ37
트럭 오시코시 HET, M977 HEMTT, M35, M939, M54, 페가소 3046
MAZ-543, ZiL-131 · 135, KrAZ-6322, KrAZ-255, 스카니아 SBA111
우랄-4320 · 375D · 5323, FAP 2228 · 2026 · 1118, GAZ-66
자주포 자주곡사포 셔먼 V (L13S)M/R, 2호 자주포R, T-34-100, T-34-122M/R, M109(A2/A5), SPH 122M, M110A2, {K9A1EGY}
자주박격포 M120M, M106A2, M125A2
대전차 자주포 SU-100R, ISU-152R, Mk.I 아쳐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23-4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MIM-72, VT-1, 9K331 TOR-M1, 9K332 TOR-M2, AN/TWQ-1 어벤저, {IRIS-T SLS}
다연장로켓 BM-21, BM-24, RM-51, 63식 다연장로켓, VAP-80, M270 MLRS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UK: 영국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이집트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1A1 에이브람스 주력전차 미국 / 이집트 1,360대 - -
M60A3 주력전차 미국 850대 - -
M60A1 주력전차 미국 300대 550대 -
람세스 ll 주력전차 이집트 425대 - -
T-62 주력전차 소련 / 이집트 200대 300대 -
이집트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SENA 200 IFV 이집트 - - - YPR-765, BMP-1 대체 예정
YPR-765 IFV 네덜란드 / 벨기에 700대 - -
BMP-1S IFV 소련 / 이집트 1,000대 - -
M113A2 APC 미국 2,320대 - -
BMR-600 APC 스페인 260대 - -
V-150 APC 미국 112대 - -
이집트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270 MLRS 다연장로켓 미국 42문 - -
BM-21 다연장로켓 소련 60문 - -
K9A1EGY 자주곡사포 대한민국 / 이집트 - - - 2조원 규모 분량 도입 예정.
M110A2 자주곡사포 미국 144문 - -
M109A5 자주곡사포 미국 / 이집트 201문 - -
M109A2 자주곡사포 미국 / 이집트 420문 - -
SPH 122 자주곡사포 미국 / 이집트 124문 - -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세계의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파일:조선인민군륙군기.svg 북한파일: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svg 중국 |
파일:육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파일:대만 육군기.svg 대만
동남아시아 파일:싱가포르 육군기.svg 싱가포르 | 파일:태국 육군 엠블럼.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군기.svg 베트남 |
파일:Flag_of_the_Indonesian_Army.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필리핀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육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육군기.png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Flag_of_Indian_Army.svg.png 인도 | 파일:파키스탄 육군 로고.png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북아시아 몽골
동유럽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육군기.svg 벨라루스 |
파일:루마니아 육군 휘장.png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영국 육군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2px-Flag_of_the_Royal_Netherlands_Army.svg.pn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지상구성군기.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육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육군 엠블럼.svg 스위스 연방 | 파일:폴란드 육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체코 육군 엠블럼.png 체코 | 파일:슬로바키아 육군 휘장.pn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육군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육군 엠블럼.png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육군기.png 포르투갈 | 파일:튀르키예 육군 엠블럼.png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파일:몬테네그로 육군기.jpg 몬테네그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War_flag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파일:세르비아 육군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스웨덴 |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육군기.svg 노르웨이 | 파일:에스토니아 육군 엠블럼.svg 에스토니아 | 파일:라트비아 육군 엠블럼.pn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육군기.png 리투아니아
북아메리카 파일:미합중국 육군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육군 엠블럼.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go_de_Ej%C3%A9rcito_Mexican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the_Brazilian_Army.svg.png 브라질 | 파일:칠레육군기.png 칠레 | 파일:페루 육군기.svg 페루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Army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Flag_of_the_Royal_Moroccan_Army.png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1.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