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7:29:07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에 대한 내용은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커맨드 리스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커맨드 리스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가 사용하는 기술의 커맨드: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커맨드 리스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커맨드 리스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커맨드 리스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애쉬 팀
애쉬 듀오론 쉔 우
오스왈드 엘리자베트 쿠크리

[ 펼치기 · 접기 ]
기본 엔트리
-
시즌 1 추가 캐릭터
-
시즌 2 추가 캐릭터
-
스페셜 DLC 캐릭터
[[슌에이|
파일:fighters_index_01.png 슌에이
]]
[[메이텐쿤|
파일:fighters_index_02.png 메이텐쿤
]]
[[니카이도 베니마루|
파일:fighters_index_03.png 베니마루
]]
[[애쉬 크림슨|
파일:fighters_index_28.png 애쉬
]]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파일:fighters_index_38.png 엘리자베트
]]
[[쿠크리(KOF)|
파일:fighters_index_39.png 쿠크리
]]
[[쿠사나기 쿄|
파일:fighters_index_06.png
]]
[[야가미 이오리|
파일:fighters_index_04.png 이오리
]]
[[카구라 치즈루|
파일:fighters_index_07.png 치즈루
]]
[[K'|
파일:fighters_index_32.png K'
]]
[[맥시마|
파일:fighters_index_33.png 맥시마
]]
[[윕|
파일:fighters_index_34.png
]]
[[이슬라|
파일:fighters_index_31.png 이슬라
]]
[[하이데른|
파일:fighters_index_30.png 하이데른
]]
[[돌로레스(KOF)|
파일:fighters_index__29.png 돌로레스
]]
[[테리 보가드|
파일:fighters_index_10.png 테리
]]
[[앤디 보가드|
파일:fighters_index_08.png 앤디
]]
[[죠 히가시|
파일:fighters_index_05.png
]]
[[료 사카자키|
파일:fighters_index_16.png
]]
[[로버트 가르시아|
파일:fighters_index_17.png 로버트
]]
[[킹(SNK)|
파일:fighters_index_12.png
]]
[[나나카세 야시로|
파일:fighters_index_11.png 야시로
]]
[[셸미|
파일:fighters_index_14.png 셸미
]]
[[크리스(KOF)|
파일:fighters_index_15.png 크리스
]]
[[아사미야 아테나|
파일:fighters_index_23.png 아테나
]]
[[시라누이 마이|
파일:fighters_index_13.png 마이
]]
[[유리 사카자키|
파일:fighters_index_09.png 유리
]]
[[레오나 하이데른|
파일:fighters_index_18.png 레오나
]]
[[랄프 존스|
파일:fighters_index_19.png 랄프
]]
[[클락 스틸|
파일:fighters_index_20.png 클락
]]
[[안토노프(KOF)|
파일:fighters_index_27.png 안토노프
]]
[[라몬(KOF)|
파일:fighters_index_25.png 라몬
]]
[[킹 오브 다이노소어스|
파일:fighters_index_26.png K.O.D.
]]
[[크로닌|
파일:fighters_index_35.png 크로닌
]]
[[쿨라 다이아몬드|
파일:fighters_index_37.png 쿨라
]]
[[앙헬(KOF)|
파일:fighters_index_36.png 앙헬
]]
[[블루 마리|
파일:fighters_index_21.png 마리
]]
[[바네사(KOF)|
파일:fighters_index_24.png 바네사
]]
[[루온(KOF)|
파일:fighters_index_22.png 루온
]]
[[락 하워드|
파일:fighters_index_40.png
]]
[[B.제니|
파일:fighters_index_41.png B.제니
]]
[[가토(SNK)|
파일:fighters_index_42.png 가토
]]
[[기스 하워드|
파일:fighters_index_44.png 기스
]]
[[빌리 칸|
파일:fighters_index_45.png 빌리
]]
[[야마자키 류지|
파일:fighters_index_46.png 야마자키
]]
[[메마른 대지의 야시로|
파일:fighters_index_47.png O.야시로
]]
[[미쳐 날뛰는 번개의 셸미|
파일:fighters_index_48.png O.셸미
]]
[[불꽃의 운명의 크리스|
파일:fighters_index_49.png O.크리스
]]
[[하오마루|
파일:fighters_index_50.png 하오마루
]]
[[나코루루|
파일:fighters_index_52.png 나코루루
]]
[[달리 대거|
파일:fighters_index_51.png 달리
]]
보스 챌린지
[[오메가 루갈|
파일:fighters_index_43.png Ω.루갈
]]
[[게닛츠|
파일:fighters_index_56.png 게닛츠
]]
에디트 캐릭터
[[야부키 신고|
파일:1000004256.png 신고
]]
[[김갑환|
파일:fighters_index_54.png 김갑환
]]
[[실비 폴라 폴라|
파일:fighters_index_55.png 실비
]]
[[나즈드|
파일:1000007623.png 나즈드
]]
[[듀오론|
파일:1000008191.png 듀오론
]]
[[시조 히나코|
파일:fighters_index_59.png 히나코
]]

에디트 캐릭터
[[매츄어|]]
[[바이스(KOF)|
파일:fighters_index_61.png 바이스
]]
중간 보스
[[리 버스|
파일:kofxv_reverse_crop.png

리 버스]]
최종 보스
[[오토마 라가|
파일:kofxv_otomaraga_crop.png

오토마 라가]]

1. 프로필2. 개요3. 작중 행적4. 인간관계5. 기술
5.1. 특수기5.2. 필살기5.3. 초필살기
6. 성능7. 대사8. 기타

1. 프로필

<colbgcolor=#000><colcolor=#fff>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エリザベート・ブラントルシュ | Elisabeth Blanctorche[1]
파일:xv elisabeth.png

KOF XV 공식 일러스트
<colbgcolor=#042C71><colcolor=#fff> 격투 스타일 블랑류 격투술 + 광권술
생일 / 나이 11월 1일 / 27세(XII 한정)[2]
신장 / 체중 174cm / 58kg
혈액형 A형
스리 사이즈 90-58-86[3]
출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취미 와인 테이스팅
소중한 것 사명, 긍지
좋아하는 음식 와인 (샤토 라투르)
싫어하는 것 신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무책임한 사람[4]
잘하는 스포츠 승마
성우 오오시마 카요코[5](KOF XI~KOF XIII)
이토 시즈카(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 KOF XV)[6]
캐치프레이즈 KOF XIII: 흰 빛을 이끄는 자
KOF XV: 빛의 의지
팀 테마곡 KOF XIII: Each Promise OST
KOF XV: Slushy Road OST
개인 테마곡 KOF XI: Queen OST AST[7]

2. 개요

나의 사명, 완수하겠습니다. (我が使命、果たします。 / 와가 시메이, 하타시마스)
- KOF XI VS 마가키 개전 대사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애쉬 편의 메인 히로인.

국내에서는 흔히 '엘리자베스'라고 불리지만 이 캐릭터는 프랑스인으로써 프랑스어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엘리자베트'(Élisabeth)이며, 일본어 표기 역시 엘리자베스가 아닌 '엘리자베트'를 의도한 표기이다. 성인 블랑토르쉬도 현실에서는 없는 성이다보니 '블랑토르셰', '브랑토르쉐', '블랑트르쉐' 등 여러 표기가 있다.[8]

XIII 한국어 자막에서는 '엘리자베스'라고 표기되었지만, KOF 올스타와 KOF XV에 와서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로 성까지 표기했고#[9] 이에 따라 나무위키 표제어를 변경된 로마자 표기 및 이에 따른 제품판 최신 번역을 따라 블랑토르쉬로 수정하게 되었다.

3. 작중 행적

진정한 패배는 자존심을 잃는 것이죠. 아시겠나요? (真の敗北とは、プライドを失うこと。おわかり? / 신노 하이보쿠토와, 푸라이도오 우시나우코토. 오와카리?)
- KOF XI, XIII, XV 승리 대사 1
나의 마음은 절대로 꺾이지 않습니다. (我が心は決して折れません。 / 와가코코로와 케시테 오레마센)
- KOF XI, XIII, XV 승리 대사 2
장난이 아닙니다, 이 싸움은. (遊びではないのよ、この戦いは。/ 아소비데와 나이노요, 코노 타타카이와)
- KOF XI, XIII 승리 대사 3

KOF 애쉬편(XI, XIII)에서 진 주인공이나 진 히로인이라 할 만한 비중을 차지하는 캐릭터이다.

3.1. KOF XI

KOF XI에서 듀오론, 니카이도 베니마루와 함께 라이벌 팀을 결성하여 첫 등장한다. 처음에는 강도가 나타난 은행에서 베니마루와 듀오론의 한심한 작태를 보고는 겁쟁이들과 팀을 결성할 생각은 없다고 일침을 날렸다. 둘은 충분히 강도를 제압할 실력이 있었지만 베니마루는 은행 안에 '50세 이하의 여자가 없다'라며 방관했고, 듀오론은 세상 물정을 몰라 역시 베니마루를 따라 방관했기 때문.[10] 하지만 둘이 애쉬 크림슨에 대해 알고 있다는 듯한 말을 하자 즉시 팀을 결성했다. 만약 게임 엔딩에 정사가 있다면 이 팀이 우승을 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11]

파일:로켓슴가.png
애쉬가 2003 엔딩에서 치즈루의 야타의 거울을 강탈한 데 이어 XI 엔딩에서 이오리의 야사카니의 곡옥까지 가로채자, 엘리자베트는 반드시 애쉬를 막겠다고 단호하게 선언한다.[12]

3.2. KOF XIII

KOF XIII에는 애쉬의 두 친구인 듀오론, 쉔 우와 팀을 이루어 참전한다. 엘리자베트는 애쉬를 붙잡는다는 공동 목적 때문에 둘과 협력했지만, 듀오론은 그렇다 치고 쉔과는 성격이 상극이라 사이는 별로 좋지 않다. 엘리자베트는 깐깐하고 고지식한 성격, 쉔은 자유분방하고 날라리 같은 성격을 가졌기 때문. 엘리자베트는 쉔에 대해 '그 아이는 친구를 신중히 가려 사귈 필요가 있다'고 디스했다.[13]

XIII 스토리에서 블랑토르쉬 가문과 크림슨 가문은 대대로 머나먼 대지에서 온 자들을 저지하여 인류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일족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어릴 때 일어난 의문의 대화재로 애쉬의 가족이 모두 사망했고[14][15], 애쉬는 블랑토르쉬 가문에 얹혀살게 되었다. 거의 억지로 데려온 셈이라 대부분의 사람에게 환영받지 못했던 애쉬지만 엘리자베트는 그를 챙겼고, 그때부터 서로 남매처럼[16] 의지하면서 살아왔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애쉬가 엇나가기 시작하고 결국 집을 나간다. 이후 애쉬와 재회한 엘리자베트는 그가 사명을 저버리고 살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더 이상 애쉬를 용서하지 않겠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 애쉬는 사명을 잊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조상이자 적인 사이키를 제거하기 위해 공작을 벌이고 있었고, 방법이 없어지자 자신을 희생하여 사이키와 함께 엘리자베트의 눈앞에서 소멸했다. 이로써 세계에서 애쉬에 대한 기억은 지워졌다. 당시 사이키와 애쉬가 소멸할 때의 장소가 시간의 틈새인데 엘리자베트는 소멸했을 때 그 자리에서 만났으니 존재하지 않을 사람을 만났기에 시간상의 오류로 기억하고 있으며 대회가 끝난 후 차 안에 하루종일 틀어박힌 채 유일하게 남은 애쉬의 헤어밴드에 눈물을 떨군다. 팀 엔딩에서는 컷신 배열상 양 옆에서 쉔 우듀오론이 기억날 듯 말 듯하다가 기억을 못해서 대조가 명확하다. 그래도 어렴풋이 기억의 흔적이 남은 건지 대회가 끝난지 한참 후에도 뭔가 찜찜해서 전당을 떠나지 못하고 계속 대회장에 죽치고 앉아있긴 한다. 애쉬를 만나면 하려했던 '약속'만이 머리속에 남아 '뭔가 약속했던 게 있는 것 같은데 뭐였지?'란 생각에 못 떠나는 것. 왜 엘리자베트만 애쉬를 기억하는지 의문이었는데 사이키가 '과거'와 '현세' 그리고 과거와 현세의 교집합인 '시공의 틈새'에 모두 걸쳐져 있었다면, 엘리자베트는 현세와 시공의 틈새에만 걸쳐져 있었고 '과거'에는 걸쳐져 있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이키가 시공의 문을 건너려할때 과거에 일부 걸쳐져 있었던 것. 사람이 두개의 시간대에 동시에 존재할수 없어서 타임 패러독스로 사이키와 애쉬는 사라졌지만 과거에 걸쳐지지 않은 베티는 사라지지도 않고 애쉬에 대한 기억도 남아있었던 것이다.

콘솔 버전 오프닝을 보면 애쉬를 막는 장면과 대결 화면이 나오는데 공식적으로 피의 나선에 미친 애쉬와 맞붙어서 애쉬의 의식을 되돌려 사이키를 막은 건 엘리자베트가 맞는 듯하다. 그리고 그 중에서 애쉬와 사이키가 맞붙는 화면도 위 장면과 번갈아가며 나오는데 엘리자베트가 현실에서 타락한 애쉬를 상대하는 동안에 애쉬가 자신의 내면에서 사이키와 몸체의 주도권을 빼앗기 위한 전투를 벌이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즉 실제로 서로 곁에 있진 않았지만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같은 적을 향해 함께 싸운 셈. 그녀 역시 애쉬를 저주스러운 운명에서 벗겨주기 위해, 그리고 자신과의 그 오누이 같았던 시절로 돌리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허나 결국 정해진 숙명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애쉬가 사라지는 것을 손쓸 도리 없이 지켜보며 슬퍼할 수밖에 없었다. 어떻게 보면 샤오론 등과 함께 KOF에서 가장 불행한 여성 캐릭터일지도 모른다.

콘솔 완전판 오프닝에서 마지막에 애쉬가 소멸되면서 작별을 고하고 엘리자베트가 오열하는 장면은 애쉬 엔딩에서 어린 애쉬가 엘리자베트에게 화환을 씌워주고 있는 그곳이기에 이 장면을 보면 참으로 씁쓸한 감정과 여운이 돈다. 관련 영상

3.3. KOF XIV

파일:베티14-1.jpg 파일:베티14-2.jpg

KOF XIV에서는 참가하지 않았으나 공식 초빙 팀 엔딩에 깜짝 등장하여 유저들을 놀라게 했다. 쿠크리와 협력 관계라는게 밝혀졌고 XIII 이후 애쉬를 되살릴 방법을 찾다가 사이키의 깽판으로 인해 탄생한 존재를 알게 되면서 애쉬를 되살릴 가능성을 보고 의뢰한 것으로 추정된다. 직접 출전하지 않은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엔딩에서 마지막 장면을 잘 보면, 베티의 눈에 눈물이 고여 있다.

3.4. KOF XV

애쉬의 소꿉친구이자, '머나먼 대지에서 온 자들'에 대항하는 블랑토르쉬 가문의 후예.
쿠크리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 대회에 참가한다. 자신과 타인에 엄격하고 타협하지 않는 고결한 정신의 소유자. 빛을 조종하면서 화려하게 싸운다.
- KOF XV 공식 캐릭터 소개문

KOF XV에서는 쿠크리에게 은혜를 갚기 위해서 애쉬와 함께 그와 한 팀이 되어 출전한다. 전작에서는 밝혀지지 않은 둘이 협력하게 된 이유가 밝혀지는데, 쿠크리는 자신의 스승인 돌로레스를 살릴 방법을 찾은 뒤 마침 애쉬를 잊지 못하고 있던 엘리자베트를 찾아와 애쉬를 구할 수 있으니 협력해달라고 요청하자 그와 손을 잡았고, 쿠크리는 본래의 목적인 돌로레스의 부활과 신변 확보를 하지는 못했지만 애쉬를 구해냈다는 약속은 지켜서 이번 대회에 같이 출전하게 됐다. 하지만 품위를 중요시하는 그녀답게 쿠크리의 수다스럽고 병맛 넘치는 면모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애쉬를 부활시켜준 은인이라 말과 행동이 따로 가려는 것을 꾹 참고 쿠크리에게 협조하고 있다.[17] 팀 스토리를 보면 자기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지어낸 얘기라고 얼버무리는 쿠크리에게 '우린 당신에게 은혜를 입었고 그 보답을 하기 위해서 사정을 들으려고 하는건데 이런 식으로 농을 치냐'라고 따지고 쿠크리 전 승리대사에서도 이런 면모를 지적하기도 한다.

전 대회의 버스, 이번 대회의 리 버스를 조종한 장본인 오토마 라가를 막기 위해 돌로레스가 동귀어진으로 다시 죽으려 들자 "또 혼자 죽으려는 거지? 남은 사람 기분 생각해본 적 있어?!"라고 말리는 쿠크리의 옆에서 "당신이 희생하실 필요 없습니다. 이 앞의 적을 상대하는 건 우리들이니까요."라고 거들며 슌에이 등과 함께 싸우려 들고, 애쉬가 오토마 라가를 물리치면 자기가 또 사라지는 거냐는 자조적인 질문을 하자 쿠크리는 그걸 원하면 그냥 사라지라며 일갈해 그와 영 맞지 않던 엘리자베트는 자신도 소중한 사람을 잃었던 적이 있는만큼 이때만은 쿠크리와 의견이 일치하며 "분위기 파악 좀 해요!"라고 일갈한다.

엔딩에서는 애쉬가 듀오론, 쉔 우와 했던 약속인 상하이 대게 회식에 참석했으나 영 자신과 안 맞는 상황에 골치아프다는 기색을 내비치며, 애쉬가 자기 근황을 쿠크리에게 전한 SNS에서는 아예 탁자에 엎어져있다. 보너스 엔딩에서는 둘이서 어릴 적 갔던 꽃동산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내며 훈훈하게 끝난다.

같은 프랑스 출신 여성 캐릭터들인, 킹, 셸미와의 특수 엔딩에선 분홍색 머리띠와 분홍 드레스를 입고 그이를 한 방에 사로잡으라는 셸미의 말에 애쉬와는 그런 사이가 아니라고 부끄러워한다. 팔걸집으로써 오랜 세월을 윤회하며 살아온 셸미의 눈으로는 엘리자베트가 애쉬를 좋아하는 것으로 본 듯.

DLC 시즌 2 추가 캐릭터이자 엘리자베트 팀 시절 팀메이트인 듀오론을 포함해 에디트 캐릭터 1명과 팀을 짜서 스토리 모드를 클리어 시 특수 엔딩에서는 공항에서[18] 듀오론에게 '곤란한 일이 생기면 저택으로 찾아주세요. 성심껏 대접해드리죠'라고 한다. 듀오론은 '언젠가 그 말을 지키도록 하지'라고 대답. 그 와중에 멀리서 애쉬 & 쉔 우는 자기들끼리 얘기 나누면서 놀고 있다.

사명도 해결하고 애쉬도 되찾아서 그런지 애쉬 사가에서 보여준 엄근진 모습들과는 다르게 XV에서는 개그를 많이 친다. 시즌 2 DLC로 나온 실비 폴라 폴라에게 이겼을 때도 "참 기발하네요......! 일족의 전통 의상 같은 건가요?"(...)라고 말하기도...[19]

4. 인간관계

5. 기술

괄호 안은 프랑스어 단어의 뜻

5.1. 특수기

5.2. 필살기

5.3. 초필살기

6.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시리즈별 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시리즈별 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시리즈별 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대사


8. 기타

파일:여왕팀11.jpg
XI PS2판에서 , B.제니와 팀을 짜면 여왕님 팀 엔딩을 볼 수 있다.

파일:gallery_illust_055.png
XIII 콘솔판에서 , 시라누이 마이와 팀을 짜면 누님 팀 엔딩을 볼 수 있다. 흡사 베르사이유의 장미같은 옛날 순정만화풍의 일러스트가 특징.

파일:XIII Rival team??.png
XIII 콘솔판 스토리 모드에서 라이벌 팀으로 최종보스를 격파 시 갤러리에 추가되는 일러스트. 스토리상에서는 애쉬를 기억하는 유일한 사람으로 남았지만 여기선 듀오론, 쉔 우와 동일하게 전혀 기억을 못하고 있다.

파일:베티승마.jpg
오구라 에이스케의 일러스트

처음 등장한 XI에선 맞으면 수직으로 뜨고 머리부터 떨어지는 어퍼컷, 주먹으로 광탄을 연타로 날리거나 한데 모아서 날리는 등 세인트 세이야 패러디로 점철된 캐릭터였지만 후속작인 XII부터는 대부분이 손날에 빛을 담아서 베어내는 연출로 변경되어 몇몇 기술만 빼면 세인트 세이야스러움이 거의 느껴지지 않게 되었다.

승마를 좋아하며 복장도 항상 승마복이다. XI 스토리에서는 살고 있는 곳이 시골이긴 하지만 외출할 때 말을 탄다고 묘사되었다. 베니마루와 듀오론을 집으로 초대할 때도 말을 내줬다. 하지만 둘은 말을 탈 줄 몰라서 말을 끌고 그녀의 집으로 갔다.[25] 참고로 비슷한 입장인 카구라 치즈루의 취미는 바이크 레이싱이다.

전투 전 대사에서 김갑환은 엘리자베트를 애쉬의 보호자로 본다. 제작진들도 엘리자베트의 컨셉은 인도하는 자라고 했다. 디어 믹스 애니메이션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어나더 데이 4편 후반부에서는 요트를 애쉬에게 빌려줘서 사우스 타운 탈출을 도왔다.

냉정하고 고압적인 태도 때문인지 쿨라 다이아몬드에게는 폭시와 닮은 사람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XI에서 쿨라로 엘리자베트를 쓰러뜨리면 그런 맥락의 승리대사가 출력된다.

카구라 치즈루에 의하면 애쉬가 야가미 이오리와 비슷한 역할이며 엘리자베트는 치즈루와 비슷한 역할로, '수호하는 자'이다. (쿄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음) 실제로 치즈루와 엘리자베트는 공통점이 많다. 보이지 않는 능력(거울 / 빛), 뼈대있는 집안[26], 고풍스러운 취향, 사명에 충실하다는 점 등이다. 엘리자베트가 프랑스판 치즈루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래서인지 카구라 일족을 싫어하는 매츄어는 승리대사에서 엘리자베트와 치즈루를 비교하며 질색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다만 성격은 치즈루에 비하면 엘리자베트가 더 타인에게 엄격하고 고압적이다.[27] 무녀인 치즈루와는 달리 프랑스 귀족 가문 출신이라 그런지 상대가 친화적인 성격의 선역 캐릭터일지라도 품위없거나 기대보다 약하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28] 또한 능력 자체가 후방지원 타입인 치즈루와 달리 엘리자베트는 XI, XIII에서의 전과로 보아 직접 싸우는 양상이 잦다. 자체 전투력도 상당해서 묘사만 보면 여캐는 물론이고 킹오파 세계관 전체적으로도 상당한 강자에 속한다. 급기야 XV에서는 치즈루와의 승리 대사로 명색이 삼신기인데 왜이리 약하냐고 까대기까지한다.[29]

일본 위키에 적혀있는 내용을 보면 카루마 메이가 캐릭터 모티브인 것 같지만 정말로 모티브로 삼은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굉장한 부자로 묘사된다.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는 언급은 없어서 재벌급까지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어나더 데이에서는 애쉬에게 요트를 빌려주거나 굉장히 돈이 많이 드는 스포츠인 승마를 즐겨하는 걸 넘어 아예 말을 키우며 다른 사람들에게 빌려줄 정도다. 게다가 최고급 와인까지 즐긴다.[30]

XI 백스토리에 의하면, 블랑토르쉬 가문은 프랑스 남부의 농촌에 있다고 한다. 평소에 말을 타고 다니는 것도 도시가 아니라서 그런 것 같다. XIII의 백스토리를 보면 마치 엘리자베트의 부모도 크림슨 가문의 화재 때 같이 사망한 것 같이 보이는데, 자세한 정보가 없다. 다만 화재 전에 이미 고인이라면 말이 된다. 부모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다는 점도 치즈루와 비슷하다. 오히려 집사인 영감(爺)이 더 자주 나온다.

승리 대사에서는 사자성어를 많이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프랑스어의 뭔가 고상한 표현(...)을 일본어로 번역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3D화 되면서 승마 채찍이 사라졌는데, 이는 아마도 2D 때는 단순히 스프라이트만 뒤집어 줬으면 됐지만 3D기준으로는 캐릭터 모델 전체를 뒤집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를 거울 반전하는 식으로 보여주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1P에서는 오른손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2P사이드에서는 왼손으로 사용하는 식으로 처리되는데, 여기서 채찍을 들고 있으면 1P위치와 2P위치일 때 쓰는 손이 바뀌는 것을 우려했다면 이유가 될 수 있겠다. 다만 K' 등 완전히 동일한 조건이 적용됨에도 엘리자베트와 달리 한쪽에만 장착된 아이템을 쓰는 캐릭터는 많다: 뭐 채찍은 KOF XIII에서부터 장식품에 가까운 도구이기는 했지만... 정작 헤어스타일을 보면 거의 전원이 위치가 바뀌었을 때 거울 반전이 아니라 3D모델 전체를 뒤집는지라 마주보고 있으면 전혀 다른 머리 모양이 된다.

애쉬는 엘리자베트를 '베티'라는 애칭으로 부른다.[31]

기본적으로 상대에게 존댓말을 쓰는 경우가 많지만 존댓말 캐릭터라고 보기는 힘들고, 상황에 맞춰서 반말을 섞어서 사용한다. 나이많은 집사에게도 존댓말을 쓰는 친절한 고용주. 엘리자베트가 애쉬에게 반말로 말하는 부분까지 존댓말로 바뀐 번역이 다수 존재하는데, 이 둘은 소꿉친구 출신이고 기본적으로는 서로 반말을 한다. 다만 그녀가 여성 말투, 고상한 말투를 쓰다보니 이를 존댓말로 해석해버리는 경향이 있는 듯. 이는 치즈루의 말투가 원문과 다르게 존댓말로 번역되는 것과 비슷하다.[32] 예외적으로 XI 라이벌 팀 엔딩에서 엘리자베트가 마지막에 "...알겠습니다, 애쉬 크림슨. 당신의 음모, 내가 반드시 막아내겠습니다. (…いいでしょう、アッシュ・クリムゾン。あなたの目論み、この私が必ず阻んでみせます。)"라고 완전히 존댓말로 독백하는 장면도 나오는데, 애쉬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말할 때 존댓말로 하는 경향이 있긴 하다. 참고로 그 유명한 로켓슴가 장면.
[1] 첫 등장인 KOF XI과 KOF XII에서는 Elisabeth Branctorche로 표기되었으나 KOF XIII의 가정용 스토리 모드에서는 Blanctorche로 나왔고 KOF XV에서 Blantorche로 완전히 고정되었다. KOF XIII와 KOF XV 사이에 나온 너는 히어로에서는 일관되게 예전 표기를 사용했다.[2] 더 이상 연령을 프로필에 넣지 않게 되었지만 계속 비슷한 나이일 것으로 여겨진다. 데이즈 오브 메모리즈에서는 25세로 나온다.[3] KOF XII 공식 홈페이지에서 초기에 공개된 프로필에서는 스리 사이즈가 대폭 하향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기존의 스리 사이즈로 수정되었다. 정확히는 아사미야 아테나의 사이즈인 83-57-82였다가 수정된 것으로 실수였던 듯.[4] いい加減な人. 둘 다 비뚤게 자란 애쉬에 대한 평가와 일치한다.[5] 大島加代子. XI 때는 마린도 같이 맡았다.[6] 프리티 빌리와 중복이며 사무라이 스피리츠 제로 스페셜라쇼진 미즈키도 담당했었다.[7] KOF XI에서 팀 테마곡으로 쓰였으나 KOF AS에서는 개인 테마곡으로 나온다.[8] blanc(흰) + torche(횃불)의 합성어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블랑토르슈'가 된다.[9] 이 보도자료에서는 같은 팀 멤버인 애쉬 크림슨을 일본어 표기에 가까운 애쉬 '크림존'으로 표기했는데, SNK INTERACTIVE의 트위터 및 유튜브에서는 애쉬 '크림슨'으로 제대로 표기했다.[10] 베니마루야 황당하지만 듀오론은 애초에 암살자라서 눈에 대놓고 드러나는 행동을 하기 힘들기는 했다. 게다가 상대를 죽이거나 다치지 않는 한도로 제압하는 일은 암살자에게 매우 성가신 일이고.[11] 애쉬의 움직임에 주목할 경우 주인공팀이 아니라 라이벌 팀이 우승한 것이 더 부드럽게 이야이가 이어지기 때문. 각 엔딩에서는 모든 팀이 각각 우승을 하기 때문에 '우승했다'는 언급은 단서가 되지 못한다.[12] 다만 이 장면은 결심 같은 것보다는 이른바 로켓슴가로 훨씬 주목받았다.[13] KOF XV에서 인터뷰를 할 때 듀오론과 베니마루는 한 번 더 팀을 짜고 싶은 인물들이라 언급하지만 쉔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다.[14] 10년 전이라는 키워드가 나오긴 하는데, 화재가 일어난 때를 말하는 것인지, 애쉬가 집을 나간 시점인지는 애매하다. 엘리자베트가 17세일 때라서 아마도 애쉬가 사라진 시점 기준일 것으로 보인다.[15] 엘리자베트가 기일을 기리기 위해(?) 검은 옷을 입고 찾아간 곳은 자신의 가족이 아니라 크림슨 가문이 있던 곳이라는 것이다. 특히 원문을 읽게 되는 일본에서는 이것이 정설. 가정용에서 추가된 스토리 모드를 보면 '혈족을 모두 잃은 애쉬'라는 표현은 나오지만 블랑토르쉬 가문에서 피해자가 나왔다는 언급이 없고 '여기에 다시 우리 집을 지어서 베티의 집을 나와 모두를 다시 부를거다'라는 얘기도 한다. 다만 XIII의 백스토리에서 '그날을 경계로 무거운 사명을 잇는 자는 2명만 남게 되었다. 그날 이후 둘은 진짜 누나와 남동생 같이 살아왔다.'라는 묘사가 있기에 이 날 모두 사망한 게 아닐까 하는 추측이 생긴 것. 물론 두 가문의 인물들이 모두 사망하는 편이 드라마틱하긴 하지만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너무나 부족하다. 장소 역시 블랑토르쉬 가문의 저택인 것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웃집인 크림슨 가문의 저택'으로 보는 편이 이야기가 더 잘 맞아떨어진다. 엘리자베트의 부모가 크림슨 가문에서 파티를 하다가 같이 화재에 휘말렸다던지, 화재의 시점 때 엘리자베트의 부모는 이미 고인이었다던지 등의 가정을 세우면 전체적으로 정리가 가능하다.[16] 참고로 27세인 엘리자베트와 16세인 애쉬 크림슨은 거의 띠동갑이지만 어릴 때부터 같이 지냈는지라 '소꿉친구' 포지션이다. 화재 시점으로는 대략 애쉬 6세, 엘리자베트 17세...여야 하는데? 더 옛날일지도.[17] 엘리자베트의 성격 상, 이 정도로 협조해주는 것도 많이 참고 양보하는 거다. 같은 팀으로 출전했던 쉔 우는 무례하고 난폭하다는 이유로 언급하지도 않고 철저히 무시한다.[18] 정황상 애쉬 팀 엔딩 이후 애쉬와 함께 귀국하는 길로 추정된다.[19] 이 대사 역시 원문은 존댓말이 아니며, 혼잣말이다.[20] 다만 이 상황에서 참작이 가능한 상황이였는데 듀오론의 출신은 뒷세계에 해당되는 비적단의 암살자 출신이였던 지라 함부로 눈에 띄는 행동을 할수 없는 처지였다. 게다가 암살자에게 상대방을 죽이지 말고 제압하라는 것도 쉬운일이 아니기도 했고. 그런데도 듀오론이 그냥 가만히 있던 베니마루에게 우리라도 나서야 하는 상황이 아니냐고 말할 정도였다.[21] 다만 듀오론은 암살자 출신인지라 함부로 눈에 띄는 행동을 할수 없으니 참작이 가능했지만 베니마루는 그저 50세 이하의 여성이 없다는 이유로 그저 가만히 있는 황당한 모습을 보여주었다.[22] 생존해 있는 시온슈룸&리멜로보탄은 제외[23] 영문 기술표에는 Fière로 나온다.[24] 문법적으로는 Grande Rafale(그랑드 라팔)이 올바르다. rafale이 여성형 명사라서 형용사인 grand의 어미가 바뀌기 때문이다.[25] 승마를 구경만 하거나 잘 모르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그냥 말 위에 앉아있기만 하면 그만 아니냐고 여길 수 있는데, 승마 항목에 나와있지만 굉장히 고난이도의 숙련도를 요구한다. 과거에 기병이 고급병종 취급을 받은 것도 단순히 말을 잘 타는 수준을 넘어 그 위에서 무장하고 무기를 들고 싸우는 경지까지 이르러야 하는 과정이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특히 검과 방패를 들거나 두손으로 쥐어야 하는 창 계열 무기를 쓸땐 말 고삐를 손에서 놔야 하기 때문에 등자와 박차만으로 말을 컨트롤 해야 한다.[26] 치즈루의 경우 얼마나 부자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으리으리한 일본식 저택을 소유했다는 묘사만 나오기 때문이다. 딱히 회사를 소유했다는 언급은 없으나, 대신에 정계에 연줄이 많다. KOF는 집안의 재력이 아니라 연줄을 이용해 스폰서를 유치한 것이다.[27] 치즈루는 자신에게 적대적인 오로치 일족 같은 인물이 아니라면 웬만한 인물들과 친하게 지낼 수 있는 친화력이 있지만, 엘리자베트는 당장 애쉬의 친구인 쉔 우부터 되먹지 못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깔고 들어갔다.[28] 반대로 신념이 뚜렷하거나 품행이 바른 편에 속하는 캐릭터는 긍정적으로 본다. 김갑환은 주변에서 '정의병' 걸렸다면서 다들 피곤하게 여기지만, 엘리자베트는 오히려 고평가한다.[29] 카구라는 중간 보스도 맡은 적이 있고 절대 약한 편이 아니지만 쿄와 이오리보다는 취급이 별로고, 같은 입장인 쿄, 이오리, 애쉬와 달리 강자 판독기 아델하이드와 쉔 우에게 강자 취급을 받지 못한다. 이에 비해 엘리자베트는 스토리 최종보스를 혼자서 무찌를 정도의 강자라 비슷한 사명을 가진 일원 중에선 남들보단 한 수 아래인 치즈루를 약하다고 여긴 듯하다.[30] 의문의 대화재를 겪었음에도 의식주에 문제가 없었다...라는 의견이 있으나 화재가 난 것은 크림슨 가문의 저택일 가능성이 더 높다.[31] 베티는 실제로 엘리자베트의 애칭으로 많이 쓰인다.[32] 여성의 ~わ, ~なさい를 한국어에서 어째서인지 존댓말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