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逆 | 鱗 |
거스를 역 | 비늘 린 |
1. 개요
역린(逆鱗)은 "용의 목에 거꾸로 난 비늘"을 말하는 것으로, 이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극도로 분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비롯하여, 군주의 민감한 부분을 건드려서 그 군주가 크게 노했을 때, '역린을 건드렸다'고 말한다.2. 출전
夫龍之為蟲也,柔可狎而騎也,然其喉下有逆鱗徑尺,若人有嬰之者則必殺人。人主亦有逆鱗,說者能無嬰人主之逆鱗,則幾矣。
무릇 용이란 동물은, 유순하여 매우 친해지면 탈 수 있다. 그러하나 용의 목 아래에는 지름이 한 척인 거꾸로 난 비늘(역린)이 있어서, 만일 사람이 그것을 건드린다면 반드시 사람을 죽이고 만다. 임금에게도 역시 역린이 있으니, 유세[1]하는 자가 임금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을 수 있다면 (유세에) 가까워질 것이다.
『한비자(韓非子)』세난(說難)
역린(逆鱗)은 용목에 거꾸로 난 비늘을 의미한다. 출전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법가사상서 한비자의 "세난" 중 역린지화(逆鱗之禍)의 고사다. 용의 몸에 붙어 있는 81개 비늘들 중 딱 하나, 목 아래에 거꾸로 붙어 있다는 비늘이다. 동아시아의 용은 서구의 드래곤과 달리 선한 구석이 있어서 비를 내려주거나 타고 다닐 수 있지만 목 아래에 거꾸로 붙은 비늘(역린)을 만지면 대노해서 그 역린을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전해진다.무릇 용이란 동물은, 유순하여 매우 친해지면 탈 수 있다. 그러하나 용의 목 아래에는 지름이 한 척인 거꾸로 난 비늘(역린)이 있어서, 만일 사람이 그것을 건드린다면 반드시 사람을 죽이고 만다. 임금에게도 역시 역린이 있으니, 유세[1]하는 자가 임금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을 수 있다면 (유세에) 가까워질 것이다.
『한비자(韓非子)』세난(說難)
여기에서 의미가 확장되어, 보통은 윗사람의 콤플렉스, 흑역사 등 민감한 주제를 건드리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3. 목록
3.1. 창작물의 제목
- 게끼린; 신의 진노: 원제는 「게끼린~잃어버린 보검~」으로 일본 중소게임개발사인 일본애플리케이션(Nihon Application)이 FM-TOWNS용으로 개발한 로그라이크 성향이 있는 던전 액션 RPG게임이다. DOS 버전이 한글화되어서 LG 소프트웨어에서 정발한 적이 있다. 특이하게도 역린의 일본어 독음을 그대로 쓴 '게끼린'이라는 제목으로 출시하였다. (잠뿌리)
- 역린탄: 타이토에서 1990년대에 개발출시한 종스크롤 STG. 여러모로 레이포스와 비슷한 게임(?)
- 逆鱗: 주걸륜의 노래
- 역린(영화): 2014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사극 영화.
3.2. 서브컬처
단어의 특수성 때문인지 서브컬처 등의 일부 기타 매체에서는 역린이라는 단어를 기술명에 붙이기도 한다.- 진삼국무쌍 시리즈: 진삼국무쌍 3 조운의 최종병기 이름은 '역린'이다. 진삼국무쌍 7 문앙의 지상무쌍난무 2번기 명칭은 '오의 역린섬'.[2]
-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기술 중 하나. 역린(포켓몬스터) 참조.
-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소재. 역린(몬스터 헌터 시리즈) 참조.
- 머나먼 시공 속에서 3의 아이템. 머나먼 시공 속에서 3에 등장하는 아이템. 백룡과 흑룡의 목에 붙어 있다. 용신의 힘이 응축되어 있어 떼면 용신이 사라진다고 한다. 3의 백룡은 한 번 소멸된 백룡이 역린에 남은 힘을 통해 다시 태어난 것.[3] [4]
- 바람이 머무는 난에서의 역린. 리옌나스 참조.
4. 유사 표현
4.1. 발작버튼
상대방의 심리적 약점을 건드려서 상대방이 과민반응을 하는 것을 보며 '얘 발작버튼 눌렸네 ㅋㅋㅋ' 하며 조롱하는 것을 '발작버튼'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발작버튼이 눌려진 상대방의 상태를 '급발진했다'라고 한다.발작버튼은 건드리면 예민한 부위라는 점에서는 역린과 유사하나, 역린은 상대와의 체급 혹은 지위 격차 때문에 절대로 건드려선 안 되는 것을 뜻하며 발작버튼은 오히려 건드려야 상대방을 조롱할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겉 뜻은 비슷하나 사용되는 맥락과 속 뜻이 정반대인 단어라고 할 수 있다.
5. 여담
- 역린 고사의 용을 드래곤과 혼동하여 역린을 찌르는 행위를 약점을 공략한다는 의미로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용의 급소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으나 역린을 건드리면 용이 큰 피해를 입는다는 등의 얘기는 없다. 즉, 약점이 아니라 단지 용에게 매우 예민한 부위일 뿐이다. 반대로 서구 드래곤의 전설에는 역린에 대한 이야기는 없고 약점에 대한 이야기만 있다.[5][6] 역린과 약점은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그것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완전히 다르다. 동아시아의 용은 영험하고 성스러운 동물이기 때문에 역린은 살려면 건드리지 말아야 할 곳이고, 서구의 드래곤의 흉폭하며 사악한 존재이기에 약점이 있을 경우 살려면 찔러야 한다. 즉, 찔러서 돌아오는 결과가 완전히 다르다.
[1] 유세(遊說): 자기 의견 또는 자기 소속 정당의 주장을 선전하며 돌아다님.[2] 지상난무 1번기는 '팔십일린'이다. 용의 81개 비늘을 뜻한다. 이 캐릭터가 이렇게 용과 관련 깊은 기술명을 가진 이유는 그가 조운을 동경한다는 설정이 붙어서인 듯.[3] 하루카3는 1주차 플레이시 무조건 배드엔딩으로 직행하게 되어있다. 이때 백룡이 주인공(카스가 노조미)을 살리기 위해 시공을 넘는 힘을 가진 자신의 역린을 빼주고 사라진다. 이렇게 얻은 백룡의 역린을 이용해 주인공이 운명을 덧쓰는 것. 루트에 따라 깨졌다가 복구되기도 한다. 아리카와 유즈루 루트에서 깨졌다가 무녀의 눈물로 복구되었다. 본편에서는 시공 도약 정도에서나 쓰였으나, 이자요이키에서 후지와라노 야스히라가 사용하면서, 제대로 쓰면 흑룡의 역린 못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4] 한편 흑룡의 역린은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손에 있다. 키요모리는 이 역린을 이용해 흑룡의 힘을 써 원령을 만들거나 폭풍우를 부르는 등 주로 파괴와 관련된 일을 하고 있다. 적에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인지 이쪽은 거의 모든 루트에서 박살난다. 깨지면 흑룡이 다시 부활하는 듯.[5] 대표적인 사례로는 지크프리드가 용을 쓰러뜨리면서 무적의 신체를 얻었으나 딱 그 시점에 보리수 나뭇잎 하나가 등에 붙어서 등 한 부분에 약점이 생긴 것이 대표적이다. 이 사례를 그대로 적용한 사례로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드래곤인 스마우그 또한 강철보다 강한 드래곤 비늘과 보석으로 무장했지만 딱 한 군데 빈 틈이 있었다.[6] 사실 서구에서는 드래곤뿐만 아니라 아킬레우스의 아킬레스건이나 발드르의 미스틸테인처럼 유명한 대형 괴수나 신조차 이런 약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그렇지 않으면 이야기 진행이 안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