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00:59:43

주걸륜

파일:JVR MUSIC..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RTISTS
주걸륜 구개위 파위준 황원
선패근 엽회패 조양
}}}}}}}}} ||
파일:주걸륜 로고.svg

{{{#!folding [ 음반 목록 ]
{{{#!folding [ 싱글 목록 ]
{{{#!folding [ 투어 목록 ]
{{{#!folding [ 관련 문서 ]
<colbgcolor=#FFC0CB><colcolor=#000> 주걸륜
周杰倫 | Jay Chou
파일:jaychou222.jpg
이름 저우제룬 ([ruby(周杰倫, ruby=Chōu Chiéh Lún)])
출생 1979년 1월 18일 ([age(1979-01-18)]세)
중화민국 타이베이현 린커우 향[1]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대만}}}}}}]]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대만}}}}}}]]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대만}}}}}}]]
신체 173cm, 60kg, O형
학력 타이베이시 충효초등학교
타이베이시 금화중학교
타이베이현 담강고등학교[2](음악과 / 졸업[3])
직업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음반 제작자, 영화감독, 배우, 시나리오 작가, 사업가
가족 어머니 예회이메이[4], 아버지 저우야오중[5]
배우자 쿤링(2015년 결혼~ 현재)
장녀 해서웨이 추(2015년생)
장남 제일런 로메오 추(2017년생)
차녀 저신다 추(2022년생)
데뷔 1997년 TVBS-G 신인 발굴 프로그램 '초급신인왕' 출연[6]
레이블 알파 뮤직(1999-2007)
JVR 뮤직(2007-현재)[7]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2023-현재)[8]
소속사 JVR 뮤직
병역 병역면제 (강직성 척추염)
종교 개신교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0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C0CB"[9]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서명 파일:주걸륜 서명1.png파일:주걸륜 서명2.png

1. 개요2. 생애 및 활동3. 음악성 & 작법 및 스타일4. 영향력
4.1. 주걸륜의 팬이라고 밝힌 유명인
5. 디스코그래피
5.1. 대표곡
6. 필모그래피
6.1. 영화
6.1.1. 실사 영화6.1.2. 애니메이션
6.2. 드라마
7. 방송
7.1. 예능7.2. 라디오
8. 투어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대만싱어송라이터, 배우, 프로듀서, 사업가.

2. 생애 및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걸륜/생애 및 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걸륜/생애 및 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걸륜/생애 및 활동#|]][[주걸륜/생애 및 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음악성 & 작법 및 스타일


주걸륜의 작곡은 크게 음악으로 분류되며 작품 중 많은 부분이 컨템포러리 R&B, 힙합, 장르에 속한다.

중국의 전통 악기와 스타일로 R&B 또는 락과 융합하여 "중국풍"(中國風)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형성했고, 중국풍 음악은 문자 그대로 "중국 스타일 음악"을 의미하며 그 중 일부는 동양 스타일을 강조하기 위해 일반적인 7음표 스케일과 반대되는 Pentatonic Scale로 써졌다. 또 그 외에 그는 또한 "Red Imitation"(紅模仿)에서 스페인 기타를 연주했고, "Herbalist's Manual"(本草綱目)에서는 미국의 테크노 / 일렉트로니카를 도입, "Reverse Scales"(逆鱗)에서는 클래식 음악과 랩을 접목했고, "Free Tutorial Video"(免費教學錄影帶)에서는 블루스를, "Rosemary" (迷迭香)에서는 보사노바를 도입했다. 또 몇 가지 예를 들자면 탁구 공을 튕기거나, 전화 걸기, 헬리콥터 날개, 떨어지는 비, 라디오 정적 잡음(Musique concrète)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음향 효과도 종종 음악에 반영한다.

그의 작곡은 클래식의 많은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Perfection"(完美主義)과 "Sorry"(對不起)에서 대위법이 사용되었고, 다선율 음악은 "The Wound That Ends War"(止戰之殤) 와 "Twilight 's Chapter Seven"(夜的第七章)에서 발견된다.

자신의 곡들은 모두 작곡을 하고 악기 연주도 직접 한다. 곡을 하나하나 따져보면 중압감 넘치는 비트에 동양적인 색채가 묻어나오는 힙합스타일의 곡에서 일반적인 팝적인 느낌이 물씬 풍기는 발라드, 록, 중국 전통음악 등 폭넓은 장르를 소화하는 데다 심지어 탱고, 클래식 등도 다룬다. 그중에서도 학창시절에 갈고 닦았던 클래식은 그의 음악적 역량의 바탕이 됐다.

모든 곡을 훌륭히 소화해 내는 것 또한 특징이다. 대신에 어디까지나 자기곡을 훌륭히 소화해 낸다는 것이지, 가창력이 엄청나게 뛰어난 가수는 아니라는 것이 평단이나 팬들의 의견이다. 힙합 스타일의 곡에서는 랩도 곧잘 하기는 하는데, 곡 절반 이상의 가사가 대필가사나 합작가사가 많아서 래퍼 자체로서의 평가보다는 프로듀서 및 작곡자로서의 평가가 더 높은 편.

또 주걸륜의 앨범들은 작품들에 변화가 없다는 걸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들은 내가 변화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내가 원하는 음악이다. 나는 앞으로 나아가면 내가 원하는 것을 보지 못한다."

4. 영향력

King of Mandopop
주걸륜은 중화권 음악시장에서 혁명적, 독창적, 상징적인 싱어송라이터, 연예인으로 꼽힌다.

그의 대중성과 실험성을 두루 갖춘 음악은 중화권에 충격을 가져다줬다. 중화권에서는 흔치 않은 R&B라는 장르를 주 무기로 한 데다가 창작인으로서의 강한 이미지까지 더해져 선배인 대만 R&B의 거장 도철(陶喆)과 종종 비교되기도 하였지만, 도철은 하지 않는 신선한 효과음의 사용이라든가 힙합과의 자유자재의 믹스, 보다 광범위한 장르의 혼합 등 점점 주걸륜만의 색깔로 대중들에게 어필하게 되었다. 특히 미국에서 오랜 생활을 했던 도철과는 달리 외국에는 가본 적 없는 철저한 국내파였다는 점 때문에, 그의 능수능란한 R&B음악의 소화는 더욱 큰 이슈였다.

데뷔 초부터 어마어마한 팬덤을 구축했고, 아티스트이자 아이돌을 겸한 새로운 시대의 싱어송라이터로 자리매김했다. 주걸륜의 성공 이후 대만을 중심으로 20대 초반의 남성 싱어송라이터 가수들이 꾸준히 양성됐다. 중화권 음악과 서양 R&B 음악을 접목하여 음악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R&B의 음악적 형태를 완전히 현지화 했고 그 당시 발표 된 주류 중화권 음악의 형식을 깨고 새로운 노래 스타일을 창조했다. 또 그가 만든 노래들이 줄줄이 대히트치면서 힙합, R&B가 중화권 대중 음악 장르의 주류가 되도록 만들었다. 작곡가로서도 대성공을 거두며 중화권 음악 산업의 작곡가의 지위를 크게 향상 시키기도 했다.

4.1. 주걸륜의 팬이라고 밝힌 유명인

※ 너무 많기 때문에 여러 번 언급한 인물만 서술.
파일:701566E5-1C05-4095-8E3C-9F347EC576D9.gif

중화권에서 연예인들의 연예인이다. 중화권 스타들이 그의 콘서트를 직접 가서 볼 정도이다. 젊은 가수, 배우 중에서 그를 존경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5. 디스코그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걸륜/디스코그래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걸륜/디스코그래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걸륜/디스코그래피#|]][[주걸륜/디스코그래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대표곡

파일:Hit FM.png
대만 hit FM 연간 TOP 100 싱글
<rowcolor=#000><rowkeepall> 연도 순위 제목 수록 음반
2000년 74위 可爱女人 周杰倫
2001년 2위 簡單愛 范特西
17위 開不了口
80위 星晴 周杰倫
2002년 1위 暗號 八度空間
5위 回到過去
42위 最後的戰役
2003년 2위 晴天 葉惠美
15위 她的睫毛
41위 東風破
2004년 1위 七里香 七里香
10위 藉口
69위 斷了的弦 尋找周杰倫
88위 止戰之殤 七里香
2005년 1위 夜曲 11月的蕭邦
7위 珊瑚海
31위 髮如雪
2006년 2위 千里之外 依然范特西
8위 聽媽媽的話
53위 白色風車
90위 霍元甲 霍元甲
2007년 2위 不能說的秘密 不能說的秘密
11위 牛仔很忙 我很忙
28위 彩虹
59위 陽光宅男
2008년 3위 稻香 魔杰座
17위 給我一首歌的時間
56위 說好的幸福呢
2010년 2위 超人不會飛 跨時代
10위 雨下一整晚
39위 跨時代
2011년 1위 水手怕水 驚嘆號
10위 Mine Mine
24위 驚嘆號
2013년 3위 明明就 12新作
27위 公公偏頭痛
35위 哪裡都是你
2015년 8위 算什麼男人 哎呦, 不錯哦
44위 手寫的從前
88위 鞋子特大號
2016년 5위 不該 床邊故事
34위 愛情廢柴
53위 床邊故事
2018년 12위 不愛我就拉倒 最偉大的作品
52위 等你下課
2019년 2위 說好不哭
2020년 52위 Mojito
2022년 57위 最偉大的作品
94위 還在流浪
2023년 47위 聖誕星 -

6. 필모그래피

6.1. 영화

6.1.1. 실사 영화

<rowcolor=#000> 연도 국가 제목 배역 비고
2003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ruby(심조주걸륜, ruby=尋找周杰倫)] [ruby(주걸륜, ruby=周杰倫)] 카메오
2005 [ruby(이니셜D, ruby=頭文字D)] [ruby(후지와라 타쿠미, ruby=藤原拓海)] 주연
200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황후화, ruby=滿城盡帶黃金甲)] [ruby(원걸, ruby=元杰)]
200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말할 수 없는 비밀, ruby=不能說的·秘密)] [ruby(예샹룬, ruby=葉湘倫)] 주연, 감독, 각본, 음악감독
2008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ruby(쿵푸 덩크, ruby=功夫灌籃)] [ruby(팡시지에, ruby=方世杰)] 주연
200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트레져 헌터, ruby=喬飛)] [ruby(챠오페이, ruby=喬飛)]
[ruby(소걸아: 취권의 창시자, ruby=蘇乞兒)] [ruby(무신, ruby=武神)]
201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그린 호넷 Kato
201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ruby(바이럴 팩터, ruby=逆戰)] [ruby(존, ruby=萬飛)]
201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천태, ruby=天台)] [ruby(랑자고, ruby=浪子膏)] 주연, 감독, 각본, 음악감독
201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나우 유 씨 미 2, ruby=Now you see me 2)] 조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청춘로드, ruby=一萬公里的約定)] [ruby(시우룬, ruby=小倫)] 카메오, 제작
2018 [ruby(고보형제, ruby=靠譜兄弟)]
2021 [ruby(스피드: 레이스 1, ruby=叱吒風雲)] Showy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트리플 엑스 4편 주연

6.1.2. 애니메이션

<rowcolor=#000> 연도 국가 제목 배역 비고
201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십만개냉소화, ruby=十萬個冷笑話)] [ruby(태을진인, ruby=太乙真人)] 특별출연
201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쿵푸팬더3, ruby=Kung Fu Panda 3)] [ruby(몽키, ruby=金猴)] [10]

6.2. 드라마

<rowcolor=#000> 연도 국가 제목 배역 비고
199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백리향전어, ruby=百里香煎魚)] [ruby(거리 음악가, ruby=葉湘倫)] 카메오
2000 [ruby(스타 러브 가든, ruby=星情花園)] [ruby(주걸륜, ruby=周杰倫)] 주연
2001 [ruby(블루 스타, ruby=藍星)] 카메오
2002 [ruby(일요일 아이돌 기록 - 옥타브 스페이스, ruby=周日偶像誌-八度空間)] [ruby(주걸륜, ruby=周杰倫)]
201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판다맨, ruby=熊貓人)] [ruby(레오, ruby=李奧)] 주연, 감독
20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Our Shiny Days, ruby=閃光少女)] Chen Jing 주연

7. 방송

7.1. 예능

<rowcolor=#000> 연도 국가 제목 방송국 비고
201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미스터 J 채널, ruby=Mr.J頻道)] CTi Entertainment
중국 텔레비전 공사
호스트
201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최강대뇌 시즌1, ruby=最強大腦 第一季)] 파일:장쑤위성 로고.png 관전자
[ruby(대마술사, ruby=大魔術師)] CCTV-1 특별 게스트
[ruby(최강대뇌 시즌2, ruby=最強大腦 第二季)] 파일:장쑤위성 로고.png 관전자
2015 [ruby(The Voice China 시즌4, ruby=中国好声音 第四季)] 파일:저장위성TV 로고.png 심사위원
2016 [ruby(최강대뇌 시즌3, ruby=最強大腦 第三季)] 파일:장쑤위성 로고.png 관전자
[ruby(New Voice of China 시즌1, ruby=中國新歌聲 第一季)] 파일:저장위성TV 로고.png 심사위원
2017 [ruby(최강대뇌 시즌4, ruby=最強大腦 第四季)] 파일:장쑤위성 로고.png 관전자
[ruby(New Voice of China 시즌2, ruby=中國新歌聲 第二季)] 파일:저장위성TV 로고.png 심사위원
2020 [ruby(저취시관람, ruby=这!就是灌篮)]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周游记(주유기)
2023 周游记2(주유기2)

7.2. 라디오

<rowcolor=#000> 연도 국가 제목 방송국 비고
200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푸른밤 MBC FM4U 게스트
201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Aiyo DJ, ruby=哎喲DJ)] Hit FM 호스트

8. 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걸륜/투어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걸륜/투어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걸륜/투어 목록#|]][[주걸륜/투어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10. 둘러보기

주걸륜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금곡장
파일:금곡장.png
올해의 앨범
제11회
(2000년)
제12회
(2001년)
제13회
(2002년)
범효훤
<我要我们在一起>
주걸륜
<周杰倫>
주걸륜
<范特西>
제12회
(2001년)
제13회
(2002년)
제14회
(2003년)
주걸륜
<周杰倫>
주걸륜
<范特西>
진혁신
<Special Thanks To...>
제14회
(2003년)
제15회
(2004년)
제28회
(2017년)
진혁신
<Special Thanks To...>
주걸륜
<葉惠美>
상포이
<桠干>
올해의 노래
제17회
(2006년)
제18회
(2007년)
제19회
(2008년)
도철, 채의림
<今天你要嫁给我>
주걸륜
<青花瓷>
주걸륜
<稻香>
제18회
(2007년)
제19회
(2008년)
제20회
(2009년)
주걸륜
<青花瓷>
주걸륜
<稻香>
장혜매
<好胆你就来>
최우수 중국 앨범
제21회
(2010년)
제22회
(2011년)
제23회
(2012년)
장혜매
<阿密特>
주걸륜
<跨時代>
오월천
<第二人生>
최우수 중국 남자 가수
제19회
(2008년)
제20회
(2009년)
제21회
(2010년)
이구철
<Super Sunshine>
주걸륜
<魔杰座>
도철
<六九乐章>
제21회
(2010년)
제22회
(2011년)
제23회
(2012년)
도철
<六九乐章>
주걸륜
<跨時代>
란탄아상
<把我换成你>
최우수 작곡가
제12회
(2001년)
제13회
(2002년)
제14회
(2003년)
이시숭
<天黑黑>
주걸륜
<爱在西元前>
진효연
<爱>
제16회
(2007년)
제17회
(2008년)
제18회
(2009년)
오청봉
<小情歌>
주걸륜
<青花瓷>
루광중
<100种生活>
기악 부문 최우수 작곡가
- 제19회
(2008년)
제29회
(2009년)
- 주걸륜, Terdsak Janpan
<琴房>
진효연
<森林的呼唤>
최우수 앨범 프로듀서
제12회
(2001년)
제13회
(2002년)
제14회
(2003년)
리종성
<十二楼的莫文蔚>
주걸륜
<范特西>
류소희
<野放客>
기악 부문 최우수 앨범 프로듀서
제18회
(2007년)
제19회
(2008년)
제20회
(2009년)
진건년
<东清村3号>
주걸륜
<不能說的秘密>
오서제
<倒影 吴书齐爵士乐团>
최우수 싱글 프로듀서
- 제18회
(2007년)
제19회
(2008년)
- 주걸륜
<霍元甲>
아제자
<特务J>

hito 유행음악상
파일:hito.png
최우수 남자 가수
- 제1회
(2003년)
제2회
(2004년)
- 주걸륜 주걸륜
제1회
(2003년)
제2회
(2004년)
제3회
(2005년)
주걸륜 주걸륜 주걸륜
제2회
(2004년)
제3회
(2005년)
제4회
(2006년)
주걸륜 주걸륜 왕리훙
제6회
(2008년)
제7회
(2009년)
제8회
(2010년)
왕리훙 주걸륜 왕리훙
제13회
(2016년)
제14회
(2017년)
제15회
(2018년)
임준걸 주걸륜 진혁신
제19회
(2022년)
제20회
(2023년)
제21회
(2024년)
루광중 주걸륜 샤오징텅
최고 인기 남자 가수
제1회
(2003년)
제2회
(2004년)
제3회
(2005년)
왕리훙 주걸륜 주걸륜
제2회
(2004년)
제3회
(2005년)
제4회
(2006년)
주걸륜 주걸륜 라지상

파일:Hit FM.png
대만 hit FM 연간 TOP 100 싱글 1위
2002년 - 暗號
2004년 - 七里香
2005년 - 夜曲
2011년 - 水手怕水

CASH 금범음악장
파일:CASH金帆音樂獎.png
최우수 남자 가수
제1회
(2001년)
제2회
(2002년)
제3회
(2003년)
장학우
<有病呻吟>
주걸륜
<開不了口>
진혁신
<明年今日>
진혁신
<K歌之王>

싱가포르 금곡장
파일:싱가포르금곡장.png파일:싱가포르 금곡장.png
베스트 앨범
제8회
(2001년)
제9회
(2002년)
제10회
(2003년)
손연자
<我要的幸福>
주걸륜
<范特西>
도철
<黑色柳丁>
제10회
(2003년)
제11회
(2004년)
제12회
(2005년)
도철
<黑色柳丁>
주걸륜
<葉惠美>
오월천
<神的孩子都在跳舞>
제15회
(2009년)
제16회
(2010년)
제17회
(2011년)
오월천
<后青春期的诗>
주걸륜
<跨時代>
임유가
<美妙生活>
최우수 남자 가수
제17회
(2011년)
제18회
(2013년)
제19회
(2014년)
샤오징텅 주걸륜 진혁신
최고 인기 남자 가수
제9회
(2002년)
제10회
(2003년)
제12회
(2004년)
진혁신 주걸륜 주걸륜
제10회
(2003년)
제11회
(2004년)
제12회
(2005년)
주걸륜 주걸륜 주걸륜
제11회
(2004년)
제12회
(2005년)
제13회
(2007년)
주걸륜 주걸륜 주걸륜
제12회
(2005년)
제13회
(2007년)
제14회
(2008년)
주걸륜 주걸륜 양종위

전구화어방중방
파일:전구화어방중방.png
대상
제8회
(2001년)
제15회
(2011년)
제16회
(2012년)
장혜매 주걸륜 진혁신

화어금곡장
파일:화어금곡장ㅡ.png
올해의 아티스트
제14회
(2023년)
제15회
(2024년)
제16회
(2025년)
주심 주걸륜 -

전금음악연맹
파일:전금음악연맹.png
최우수 남자 가수
제1회
(2011년)
제2회
(2012년)
제3회
(2013년)
임준걸 주걸륜 도철
최고 인기 남자 가수
- 제1회
(2011년)
제3회
(2013년)
- 주걸륜 판웨이보
최우수 중국 앨범
- 제1회
(2011년)
제2회
(2012년)
- 주걸륜
<跨時代>
오월천
<第二人生>

전구화어가곡배행방
파일:전구화어가곡배행방.png
최고 인기 남자 가수
제3회
(2003년)
제4회
(2004년)
제5회
(2005년)
유덕화 주걸륜 왕리훙
최우수 가수
제1회
(2001년)
제2회
(2002년)
제2회
(2003년)
- 주걸륜 주걸륜
제2회
(2002년)
제3회
(2003년)
제4회
(2004년)
주걸륜 주걸륜 주걸륜
제3회
(2003년)
제4회
(2004년)
제5회
(2005년)
주걸륜 주걸륜 주걸륜
제4회
(2004년)
제5회
(2005년)
제6회
(2006년)
주걸륜 주걸륜 채의림

남방음악성전
파일:남방음악성전.png
올해의 아티스트
제1회
(2001년)
제2회
(2002년)
제3회
(2003년)
- 주걸륜 주걸륜
제2회
(2002년)
제3회
(2003년)
제4회
(2004년)
주걸륜 주걸륜 도랑

금마장
파일:금마장 로고.svg
최우수 주제가
제43회
(2006년)
제44회
(2007년)
제45회
(2008년)
금성무, 저우쉰, 고세장, 잠위종
<十字街头>
(퍼햅스 러브)
주걸륜, 방문산
<不能說的秘密>
(말할 수 없는 비밀)
범일신, 엄운농, 증지호
<国境之南>
(해각7호)

금상장
파일:Hong_Kong_Film_Award_Trophy.png
최우수 주제가
제25회
(2006년)
제26회
(2007년)
제27회
(2008년)
장성규
<如果·爱>
(퍼햅스 러브)
주걸륜
<菊花台>
(황후화)
오우비
<逼得太紧>
(십분애)

{{{#!wiki style="display:none;display:2022"
파일:Ifpi.svg
IFPI Hong Kong Albums 홍콩 앨범
2002년 1위
2003년 1위
2004년 1위
2005년 1위
2006년 1위

파일:포브스(기업) 로고 화이트.svg
포브스 선정 2012년 중국 유명 인사 1위
주걸륜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기네스
세계 기록
}}}
Most Golden Melody Awards won for Album of the Year
(금곡장 올해의 앨범상 최다 수상)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주걸륜
3회 수상
중국
2021년 9월 18일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China’s best-selling physical album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실물 앨범)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주걸륜 - 七里香
약 260만장
중국
2021년 9월 19일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

[1]신베이시 린커우구[2] 현 신베이시 담강고등학교. 인문계 고등학교지만 음악과가 있다.[3] 주전공 피아노/부전공 첼로[4] 전 미술 교사[5] 전 생물 교사[6] # 해당 프로그램에서 준우승하며 작곡가로 데뷔한 후, 2000년에 1집 '周杰倫'을 발매하며 가수로 데뷔했다. 여담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우승자인 황위쉰은 현재 주걸륜 콘서트에서 음악감독을 맡고있다.[7] 주걸륜이 설립한 연예 기획사.[8] JVR 뮤직과 파트너십 체결[9] 주걸륜이 가장 좋아하는 색이자 공식적으로 주장하는 상징 색으로, 개인 마이크의 색과 응원봉의 색도 핑크색이다.# #[10] 최초의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 더빙 (중국어 버전).[11] 1,746억 [12] 이러한 견해는 강직성척추염 환자 입장에서 다소 불편할 수도 있다. 꾀병으로 오인 받으며 수년을 허비한 뒤에야 병의 원인을 찾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강적성 척추염 환자의 경우 겉보기에는 괜찮지만 실제로는 극심한 통증의 고통 속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 많다. 참고로 한국에서도 강직성척추염이면 경증인 경우는 사회복무요원이고 그 외에는 전시근로역을 받아 군대를 가지 않는다.[13] 대륙에서 보통화라고 하는 표준 중국어대만에서는 '국어(國語)'라고 칭한다. 참고로 보통화의 옛 명칭이 국어이다.[14] 다만, 한국어 랩은 주걸륜이 아닌 작곡가 임매가가 피처링으로 참여해서 불렀다.[15] 한국어 번역 가사가 기재되어있는 버전이다.[16] 한국의 영화/노래를 알고 있냐는 성시경의 질문에 영화는 '올드보이', 노래는 신승훈의 'I Believe'가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콘서트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본인의 바람을 말했다.[17] 배우가 없으면 본인이 출연하겠다는 농담도 했다.[18] 본인도 그 평가에 대해 인정했다. 다만, 본인의 생각을 솔직하게 말하다보니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