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3a23d><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33a23d;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3a23d> 영암터미널/서리등 출발 | 101 | 102 | 103 | 104 |
107 | 108 | 109 | 116 | ||
117 | 122 | 123 | 124 | ||
125 | 126 | 126-1 | 127 | ||
128 | 128-1 | 138 | 222 | ||
222-1 | 223 | 223-1 | 224 | ||
225 | 226 | 227 | 227-1 | ||
228 | 229 | ||||
독천터미널 출발 | 105 | 105-1 | 106 | 130 | |
131 | 132 | 133 | 134 | ||
135 | 137 | 137-1 | 212 | ||
213 | |||||
신북터미널 출발 | 118 | 119 | 120 | 121 | |
206 | 207 | 208 | 209 | ||
210 | 210-1 | 211 | 231 | ||
시종터미널 출발 | 110 | 111 | 112 | 113 | |
114 | 115 | 129 | 136 | ||
201 | 202 | 203 | 204 | ||
205 | 230 | ||||
금정면사무소/용흥 출발 | 215 | 216 | 217 | 218 | |
219 | 220 | 221 | |||
학파 출발 | 214 |
| |
영암교통 차량 | 낭주교통 차량 |
1. 개요
전라남도 영암군 지역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업체는 영암교통과 낭주교통이 있으며, 2025년 2월 기준으로 69개 노선에 35대를 운행하고 있다.2. 특징
- 모든 노선이 공동 배차로 운행된다.
- 중형 차량의 경우 두 업체 다 전비형으로 출고하며, 전체적으로 옵션이 비슷하다.
- 광고의 경우 정부나 영암군과 관련된 광고만 붙인다. 즉 상업광고를 붙이지 않는다.
- 아직까지도 다른 지역은 다 신형으로 교체하면서 버린 삼원FA 초기 단말기를 마지막까지 사용했었다.[1] 그러다가 2023년 12월 기준으로 일부 차량이 삼원FA 신형으로 교체된 것이 확인되었다.
- 2024년 9월 1일 전라남도에서 완도(2023년 9월 1일), 진도(2024년 7월 1일)에 이어 3번째로 전면 무료화됐다. 다만 관외구간에서만 이용할 경우 관외지역 면허의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요금을 징수한다. 즉 목포-목포, 나주-나주 구간만 이용하면 유료, 이외엔 모두 무료다.
- 2024년 12월 9일부터 101번 시작으로 전노선에 LED 을 설치하여 노선번호을 표시하면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25년에 영암군 농어촌버스 노선 전면 개편이 있을 예정이며, 2024년 말부터 용역을 계획하여 25년 내로 용역 시행 후 적용할 예정이다. 사업 용역 결과에 따라 영암월출역 등 새로 생기는 경유지점을 지나는 노선 역시 신설을 검토 중에 있다.
3. 노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3a23d><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33a23d;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3a23d> 영암터미널/서리등 출발 | 101 | 102 | 103 | 104 |
107 | 108 | 109 | 116 | ||
117 | 122 | 123 | 124 | ||
125 | 126 | 126-1 | 127 | ||
128 | 128-1 | 138 | 222 | ||
222-1 | 223 | 223-1 | 224 | ||
225 | 226 | 227 | 227-1 | ||
228 | 229 | ||||
독천터미널 출발 | 105 | 105-1 | 106 | 130 | |
131 | 132 | 133 | 134 | ||
135 | 137 | 137-1 | 212 | ||
213 | |||||
신북터미널 출발 | 118 | 119 | 120 | 121 | |
206 | 207 | 208 | 209 | ||
210 | 210-1 | 211 | 231 | ||
시종터미널 출발 | 110 | 111 | 112 | 113 | |
114 | 115 | 129 | 136 | ||
201 | 202 | 203 | 204 | ||
205 | 230 | ||||
금정면사무소/용흥 출발 | 215 | 216 | 217 | 218 | |
219 | 220 | 221 | |||
학파 출발 | 214 |
2023년에 노선이 크게 개편되어 나무위키에 있는 정보가 실제와 맞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노선은 BIS, 시간표는 영암군청 사이트를 보는 것을 추천함.
100번대는 일반노선, 200번대는 벽지노선이다. 주요 거점은 동부 영암읍-덕진면-도포면의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및 도포면사무소 인근 서리등 정류장, 서부 삼호읍-학산면-미암면의 독천터미널, 북부의 시종터미널, 신북터미널 등이 있다. 금정면은 산이 많아 외딴 마을들을 잇는 지선버스가 많은 관계로 이들 지선버스는 따로 금정면사무소 앞 용흥 정류장을 거점으로 한다.
간선 노선(100번대)은 서리등과 학림마을을 잇는 123번을 제외하면 대체로 터미널에서 출발하거나 회차한다. 대체로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 독천터미널 - 목포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101번, 102번을 중심으로 영암 관내의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 기점 터미널이 소재하는 읍면 인근의 주요 거점, 인근의 목포종합버스터미널, 영산포터미널, 나주버스터미널 등으로 가는 노선들이 많다.
지선 노선(200번대)은 대체로 해당 터미널이 소재하는 읍면 관내를 오가며, 가끔 이웃 읍면까지 오는 노선이나 아예 나주시까지 나가는 노선도 있다.
4. 둘러보기
<colbgcolor=#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color=#ffffff><colbgcolor=#38b243><tablebgcolor=white,#191919> 철도 | 남해선 |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2번 국도, 13번 국도, 23번 국도 | ||
지방도 | 49번 지방도, 801번 지방도, 806번 지방도, 819번 지방도, 820번 지방도, 821번 지방도, 827번 지방도, 835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영암군 농어촌버스,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 독천터미널 | |
항구 | 목포항 남단 | ||
전라남도의 교통 |
전면 무료 승차 시내·농어촌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강원특별자치도 | 양구군 |
충청북도 | 진천군, 음성군1 | |
전라남도 | 영암군2, 완도군, 진도군 | |
경상북도 | 문경시, 봉화군3, 청송군, 의성군 | |
1: 진천군은 진천여객 차량 한정으로 청주, 진천 버스 711번 하대음↔진천 구간만 무료. 증평군 이동시 1,500원(카드 1,400원), 청주시 이동시 1,700원(카드 1,650원) 수취 2: 영암군은 시계외 구간만 이용 시 유료 3: 봉화군은 29번으로 영주시 이동시 2,000원 |
[1] 영암군이 교통카드 승차가 가능해진것이 2011년이므로 해당 단말기는 2011년부터 사용중이니 무려 12년동안 사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