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 오주 황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rowcolor=#FFFFFF> 초대 | 추존 | 제2대 | |
태조 고황제 | 공황제 | 말황제 | ||
<colbgcolor=#000> 관련 직위: 명말청초 주요 세력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오주 제2대 황제 오세번 | 吳世璠 | |
<colbgcolor=#000000> 묘호 | 없음 |
시호 | 없음 |
제호 | 말제(末帝) |
연호 | 홍화(洪化, 1678년 ~ 1681년) |
성 | 오(吳) |
휘 | 세번(世璠) |
부황 | 공제(恭帝) |
생몰 | 1663년 ~ 1681년 12월 7일 |
재위 | 1678년 ~ 1681년 |
1. 개요
청나라의 반란자이자 오주의 1대 황제인 오삼계의 손자이다.2. 생애
오세번은 오응웅의 아들로, 오응웅은 오삼계의 서자였다. 오세번은 할아버지인 오삼계의 황위를 이었으나 그가 즉위했을 때 오주는 오삼계가 사망한 뒤 점점 쇠퇴하고 있었다.삼번의 난(오주)의 세력을 진압하려는 청군의 전굉렬 등이 한중(漢中), 중경(重慶), 성도(成都)를 수복하고 운남으로 진격하자, 오세번은 곤명으로 도망가는 도중 1681년 10월 쿤밍(昆明, 곤명)에서 청군에 포위되어 자살했다.
3. 가계도
4.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 명(明) | ||||||
제13대 만력제 | 제14대 태창제 | 제15대 천계제 | 제16대 숭정제 | ||||
틈왕 정권 | |||||||
초대 고영상 | 제2대 이자성 | ||||||
순(順) | 서(西) | ||||||
초대 이자성 | 제2대 이자경 | 임시 이과 | 초대 장헌충 | ||||
명나라 부흥군 | |||||||
초대 홍광제 | 제2대 융무제 | 제3대 영력제 | |||||
비정통 주이해 · 주형가 · 주율오 · 주상청 · 주본립 | |||||||
동녕국(東寧國) | |||||||
초대 조무왕 | 제2대 조문왕 | 제3대 조왕 | |||||
삼번(三藩) | |||||||
오주(吳周) | 평남왕(平南王) | 정남왕(靖南王) | |||||
초대 태조 고황제 | 제2대 오세번 | 초대 상지신 | 제2대 경정충 | ||||
후금(後金) → 청(淸) | |||||||
초대 천명제 | 제2대 숭덕제 | 제3대 순치제 | 제4대 강희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