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5 16:38:55

왕 게임(소설)/미디어 믹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왕 게임(소설)

1. 출판 소설2. 만화3. 영화4. 모바일 게임5. 애니메이션
5.1. 공개 정보
5.1.1. PV
5.2. 캐스팅5.3. 주제가5.4. 회차 목록5.5. 평가

[clearfix]

1. 출판 소설

소설판의 경우 휴대폰 소설을 직접 쓴 카나자와 노부아키가 집필하여 책으로 출판하였고 현재 1권부터 11권과 외전인 기원까지 합해 12권이 발매된 상황이다. 한국에선 AK커뮤니케이션즈에서 정발. 9800원에 판매 중이다. 현재 한국에는 1권부터 11권까지 나와 있다. 역자는 소설, 만화 모두 천선필.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 하나 있는데, 왕게임은 단편이 아니다. 인터넷의 번역본으로 먼저 왕 게임을 접해보고 나서 이후의 전개를 알기 위해 소설을 읽어보고 나서 아리송한 기분이 드는 것은 이 때문. 이렇기에 소개 항목에서 '시리즈 누계'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2. 만화


소설판 정발을 맡았던 AK커뮤니케이션즈에 의해 코믹스판도 모두 정발되였다. 한글 번역은 모두 천선필이 담당.

참고로 렌다 히토리의 경우 맨 첫번째 작품인 '왕 게임'만 맡았고 그 이후 작품은 전부 다른 작화가가 그렸다. 이는 본래 렌다 히토리가 그린 '왕 게임'은 소설이나 만화 시리즈와는 무관한 별개의 독립적인 작품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렌다 히토리 코믹스는 왕 게임 - 종극 이후나 원작 소설과는 다른 스토리 라인으로 결말이 났다. 따라서 코믹스판은 같은 시리즈로 나온게 아니다.

참고로 한국 일부 스트리밍 서비스리디에서는 어째서인지 '왕 게임, 왕 게임 - 종극, 왕 게임 - 기원' 이 3개를 한데 묶어 같은 '왕 게임'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있다[3]. 거기다 각 작품마다 모두 작화가가 다른데 작화가 이름은 렌다 히토리 하나로만 표기되어 있다.[4]

그림체 작화 자체는 렌다 히토리의 '왕 게임'이 크게 호평받고 있는 반면 쿠리야마 렌지의 '왕 게임 - 종극'은 그림체 면에서 꽤나 혹평받고 있다. 무섭지 않고 그냥 야망가 같다는 평. 거기다 스토리 역시 왕 게임 - 종극은 그냥 막장이다. 이는 원작 소설 스토리 문제라 작화가들의 잘못은 아니지만.

여담이지만 코믹스를 오바타 타케시가 그렸다고 착각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렌다 히토리의 그림체와 오바타 타케시 그림체가 살짝 비슷해서 착각한 사람이 꽤 있는 모양

그나마 코믹스 중에선 '왕 게임 - 기원'이 제일 좋게 평가받고 있다. 스토리 자체도 크게 막장도 아니고 작화도 준수한 편.[5]

3. 영화

파일:157190_01.jpg

2011년, 1권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화되었다. 츠루타 노리오 감독에 하로프로젝트의 아이돌이 대거 투입되었다. 카나자와 노부아키역에 사쿠라다 도리. 혼다 치에미 역에 쿠마이 유리나가 캐스팅되었고, 이와무라 리아 역은 스즈키 아이리가 맡았다. 그 외, 베리즈코보츠구나가 모모코, 스가야 리사코 등과 하로프로젝트 에그의 멤버 등이 대거 투입되었다.

원작의 경우, 특별한 전개나 내용보다 자극적인 미션과 잔인하게 제거되는 친구들의 모습이 주요했다. 그런데 아이돌들을 대거 캐스팅하고, 연령대를 낮춰야 되었기 때문에 잔인한 장면이 전혀 없다. 친구들이 죽는 모습은 죽는 것이 아니라 투명해지며 존재가 말소되는 것으로 처리. 즉, 명령을 어긴 사람은 게임 참가자 이외의 사람의 기억에서 없어지는 것, 쉽게 말해서 원래부터 없었던 사람이 된다.

4. 모바일 게임

모바일 트레이딩 카드 게임.

왕게임 소설 1권의 배경에서 원작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신문부원들이 왕 게임에 엮이는 내용이다. 스토리는 원작자가 감수했다고 한다.

2015년 12월 16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5. 애니메이션

왕 게임 The Animation (2017)
王様ゲーム The Animation
King's Game
파일:왕_게임_애니_키비주얼.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렌다 히토리
쿠리야마 렌지(栗山廉士)
카나자와 노부아키
감독 사사키 타다요시
조감독 호시노 미스즈(星野美鈴)
시리즈 구성 코누타 켄지
캐릭터 디자인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
이토 요스케
총 작화감독 소라모토 칸
프롭 디자인 노지리 미나미(野尻美波)
시미즈 미호(清水美穂)
미술 감독 나카하라 히데노리(中原英統)
미술 설정
색채 설계 콘도 나오토(近藤直登)
촬영 감독 하야시 코지로(林コージロー)
편집 호리카와 카즈토(堀川和人)
음향 감독 오오무로 마사카츠(大室正勝)
음악 오사다 나오유키(長田直之)
음악 제작 SPACEY MUSIC ENTERTAINMENT
프로듀서 오누마 토시유키(小沼利行)
코바야시 야스히사(小林泰久)
하시라야마 타이스케(柱山泰佐)
모리타 타케시(森田 剛)
이시하라 나오키(石原直樹)
아베 나오키(阿部直樹)
야스다 spacey 타카유키(安田spacey尊行)
이토 타이가(伊藤大河)
타케우치 타카마사(竹内崇剛)
스즈키 히데아키(鈴木英昭)
미츠에다 토시미츠(三枝俊光)
요시다 유지(吉田裕二)
키쿠지마 노리후미(菊島憲文)
이소가이 노리토모(礒谷徳知)
애니메이션 제작 세븐
제작 왕 게임 The Animation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7. 10. 05. ~ 2017. 12. 2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AT-X / (목) 23: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 (목) 01: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선정성, 폭력성, 언어, 주제)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2017년 8월 1일,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감독은 사사키 타다요시, 방영 시기는 2017년 10월.

5.1. 공개 정보

주인공은 미야노 마모루. 호리에 유이, M.A.O, Pile, 사사키 유스케, 타치바나 신노스케, 우에하라 아카리 등 신인과 베테랑 성우가 골고루 배정되었다.

애니메이션의 시작 시점은 2부. 1부 내용은 과거 회상으로 나오지만, 그 분량이 2부와 비슷한 정도이기 때문에 사실상 1, 2부가 동시에 애니화 된 것이라 보면 된다.

또한 애니메이션 12화에서는 후속작 관련 떡밥을 내놓았다. 만들 생각인지는 불명이지만 시간을 뒤로 되돌린 것을 보면 임장 편으로 보인다.[6]

이와는 별개로 원작에서의 전개를 바꿔놓았는데 1권의 명령 5를 비롯한 일부 명령이 삭제되었고 2권 부분에서도 코믹스에서는 바이러스에 관련된 설명을 미야자와가 해주는데 이것도 스킵되었지만 최종적인 결과는 종극 마지막 편과 같다.

5.1.1. PV

티저 PV

5.2. 캐스팅

5.3. 주제가

5.3.1. OP

OP
FEED THE FIR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coldrain
작사 Masato
작곡 Y.K.C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사사키 타다요시
연출
작화감독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
원화 이마자키 이츠키(いまざきいつき)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3.2. ED

ED
Lost Paradise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Pile
작사 야스다 타카유키(安田尊行)
작곡 미라이 료(ミライショウ)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사사키 타다요시
연출
작화감독 소라모토 칸(そらもとかん)
}}}}}}}}} ||

5.4.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10]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再壊
재괴
코누타 켄지 사사키 타다요시 소라모토 칸
(そらもとかん)
日: 2017.10.05.
韓: 2017.10.12.
제2화 痕乱
흔란
타카다 마코토
(たかだ誠)
오가와 유키 호시노 미스즈
(星野美鈴)
이토 요스케
한다 다이키
(半田大貴)
日: 2017.10.12.
韓: 2017.10.19.
제3화 融情
융정
오카 아츠시
(岡 篤志)
사사키 타다요시
토노카츠 히데키
(殿勝秀樹)
한다 다이키
바바 류이치
(馬場竜一)
황영식
日: 2017.10.19.
韓: 2017.10.26.
제4화 解冥
해명
이시노 아츠오
(イシノアツオ)
타츠와 나오유키 사토 요지
(佐藤洋二)
안도 타카시
(安藤貴史)
토쿠다 유메노스케
(徳田夢之介)
日: 2017.10.26.
韓: 2017.11.02.
제5화 業泣
업읍
타니무라 다이시로
(谷村大四郎)
오가와 유키 치바 타카유키
(千葉孝幸)
오가와 코지
(小川浩司)
요시다 하지메
(吉田 肇)
카라타니 아야코
(柄谷綾子)
츠보타 신타로
(坪田慎太郎)
치바 타카유키
日: 2017.11.02.
韓: 2017.11.09.
제6화 反虐
반학
코누타 켄지 마츠조노 히로시
(松園 公)
호시노 미스즈 미야 히데아키
(宮 秀暁)
한다 다이키
바바 류이치
니시무라 모토히데
(西村元秀)
황영식
日: 2017.11.09.
韓: 2017.11.16.
제7화 永厭
영염
타카다 마코토 미야하라 슈지
(宮原秀二)
이토 요스케
한다 다이키
타니구치 시게노리
(谷口繁則)
日: 2017.11.16.
韓: 2017.11.23.
제8화 血断
혈단
오카 아츠시 토노카츠 히데키 김봉덕 日: 2017.11.23.
韓: 2017.11.30.
제9화 楔束
설속
이시노 아츠오 아리에 유키
(有江勇樹)
이성재
김봉덕
황영식
日: 2017.11.30.
韓: 2017.12.07.
제10화 凶走
흉주
타니무라 다이시로 니시모리 아키라 사토 요지 핫토리 켄지
코다이라 하지메
(小平はじめ)
츠지 하츠키
이이즈카 요코
(飯塚葉子)
코야마 료
(小山りょう)
타나카 마사키
(田中誠輝)
日: 2017.12.07.
韓: 2017.12.14.
제11화 前侵
전우
타카다 마코토 오가와 유키 치바 타카유키 오가와 코지
요시다 하지메
츠보타 신타로
日: 2017.12.14.
韓: 2017.12.21.
제12화 終怨
종원
코누타 켄지 사사키 타다요시
호시노 미스즈
호시노 미스즈 이토 요스케
한다 다이키
황영식
日: 2017.12.21.
韓: 2017.12.28.

5.5.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2 / 5.0



평가는 한국 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나쁘다. 일본에서는 5ch 투표에서 2017년 최악의 애니 중 하나라고 평해질 정도고, 한국에서도 애니맥스와 라프텔의 애니 평가란에 대다수 악평이 적혀 있다. 억지로 만든 작위적인 스토리와 일부러 만든 자극의 극치, 야애니를 연상시키는 쓰레기 작화 및 색감, 보기 안쓰러운 연출 등 작품성이 최악이라는 말이 많다.


[1] 참고로 이게 렌다 히토리의 첫 데뷔작이다.[2] 소설과 같이, 마지막에 치에미와 노부아키 두 명이 살아남았고 명령내용도 똑같았지만 살고 싶다는 의지가 같으면 왕을 이길 수 있다는 것을 알게돼 두 명 다 살지만 치에미는 아베 토시유키의 칼에 찔렸던 상처로 인해 결국 죽게 된다,[3] 이런 경우 1~5권까지는 왕 게임, 6~10권까지 왕 게임 - 종극, 11권~16권까지 왕 게임 - 기원에 해당한다. 각 권 표지에는 표시되어있으니 표지 보고 확인할 것.[4] 다만 앞서 언급했다 싶이 렌다 히토리의 '왕 게임'은 독립 개별 세계관이고 그 이후에 나온 코믹스는 원작 세계관을 따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세계관이다. 그래서 같은 시리즈 코믹스라고 착각하고 본 사람은 일부 스토리 라인을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5] 아무래도 다른 코믹스는 '휴대폰을 통해 바이러스가 퍼진다'는 막장 설정을 사용한 현대 배경이라지만 '왕 게임 - 기원'은 휴대폰이 아닌 마을에 퍼진 바이러스고, 이 바이러스가 사람을 조종해 편지로 왕 게임을 진행한다는 설정이라 설정 자체도 크게 막장이 아니여서 괜찮은 편.[6] 작중에서 사다케 마이나 야스다 켄타로를 비롯한 임장 편의 애들의 모습이 잠깐 나왔다.[7] 동명의 성우인 우에다 카나가 있다. 다만, 한자는 다르다.[8] 가면라이더 디케이드2호 라이더 디엔드 장착자 카이토 다이키 역을 연기한 배우로 알려져 있다.[9]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로 추정.[10]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