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10 08:46:06

우메즈 카즈오

우메즈 카즈오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앙굴렘 국제만화제
파일:angouleme-logo.jpg
유산상
2017년 2018년 2019년
카미무라 카즈오
(이혼구락부)
우메즈 카즈오
(나는 신고)
귀스타브 도레
(헤라클레스)
}}} ||
우메즈 카즈오
楳図かずお | Kazuo Umez
파일:20110704_umezz_v.jpg
이름 우메즈 카즈오 ([ruby(楳図一雄, ruby=うめず かずお)])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출생 1936년 9월 3일 ([age(1936-09-03)]세)
일본 제국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초
직업 만화가, 방송인
수상 문화청 장관상 (2019년)
서명 파일:우메즈 카즈오 서명.jp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력 <colbgcolor=#fff,#1f2023>고죠 고등학교 (졸업)
혈액형 O형
거주지 도쿄도 무사시노시 기치조지 미나미초
데뷔 숲의 형제 (1955년)
장르 호러 만화, SF 만화, 개그 만화
활동 기간 1955년 – 현재
만화가는 1995년 은퇴
}}}}}}}}} ||

1. 개요2. 커리어3. 작품 목록4. 여담5.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가. 일본 만화계의 거장이자 히노 히데시, 모로호시 다이지로와 함께 일본의 3대 공포 만화가로 불린다.

일본 만화를 보다보면 멀쩡하던 인물이 갑자기 경악하는 표정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선 이걸 괴짜가족의 패러디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실은 우메즈 카즈오의 그림이 원조.[1] 괴짜가족, 절대가련 칠드런등의 만화는 우메즈 카즈오의 그림체를 페러디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그림체를 통틀어서 '우메즈 쇼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2. 커리어

본래는 소녀 취향의 순정만화를 주로 연재하는 만화가였으나 1965년 <입 찢어진 여자>의 히트 직후 공포 만화를 주로 그리게 된다. [2] 1960년대부터 시작된 일본의 공포 만화 붐을 주도한 작가이며 일본에서는 '공포 만화'하면 떠오르는 작가로 우메즈 카즈오가 뽑힌다. 호러 만화 말고도 SF나 개그 만화[3]를 그리기도 했으며 공포 만화를 제외하고 유명한 만화로는 70년대 소년 선데이지에 연재한 개그 만화 마코토짱이 있다. 가장 히트한 작품은 표류교실이지만 우메즈는 마코토짱에 더 애정이 깊다고 한다. 사인을 부탁하면 마코토짱을 그려주기로 유명하다. 우메즈 카즈오 사진을 찾아보면 가끔 연예인들이 일정한 모양의 손동작을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포즈도 마코토짱에서 나온 속칭 '구와시'포즈. 참고로 실제 손가락으로는 불가능한 포즈라고 한다.

만화가로서 표정 연출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약점이 있었다. 얼굴은 대부분 무표정하며 놀라는 표정에는 특정한 패턴이 있다. 그의 특정 표정을 '우메즈 페이스', '우메즈 쇼크' 라고 해서 따라 그리고 오마주하는 후배 작가가 넘쳐났을 정도이다. [4][5] 하지만 우메즈는 뛰어난 발상력의 스토리로 이를 커버하고 거기에 배경과 불안정한 구도, 효과선 등을 활용해 표정 이외의 연출로 공포를 유발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공포 만화계의 거장이 되었다. 독자가 감히 상상도 못할 기발한 시츄에이션을 만드는 능력이 굉장히 탁월하다.

이렇게 흡입력이 뛰어나서 한 번 읽으면 멈출 수 없는 작가로 유명하다. 우메즈는 "내 작품이 겉보기가 기괴해서 안 보려고 하는 사람이 많지만 한 번 본 사람들은 끝까지 본다." 라고 흡입력 하나는 자신이 있다고 하기도 했다.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면서 명작 만화들을 다수 배출했으나 어깨에 이상이 생겨 1995년 이후론 사실상의 절필 상태에 있다. 하지만 2022년 발언에 따르면 그것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만화를 혹평하고 공포 만화는 끝났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어 만화에 흥미를 잃었고 다른 방향으로 예술을 하고 외국어 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2018년 프랑스의 앙굴렘 국제만화제에서 우메즈의 만화 나는 신고를 영구히 보존해야 하는 만화로 선정한 것을 보고 용기를 얻어서 [6] 아무에게도 말 안 하고 4년 동안 몰래 그린 신작을 2022년 발표했다. 신작의 제목은 'ZOKU-SHINGO'. 나는 신고의 속편이며 101점의 연작 회화 작품이라고 한다. 그림 101개로 이루어졌고 대사도 없지만 스토리가 이어지는 작품이라고 한다. #

절필 이후는 예능인으로서 방송에 많이 출연했다.[7]

일본의 문화인, 연예인들 중 상당수가 우메즈 카즈오를 거의 신처럼 모신다. 대표적인 건 아야츠지 유키토, 나카가와 쇼코, 우스타 쿄스케, 타카하시 요스케 등등. 국내에선 우메즈 카즈오보다 더 잘 알려진 이토 준지 역시 유치원 때부터 이 작가의 팬이었다고 한다.

3. 작품 목록

4. 여담

파일:external/cdn2.natalie.mu/news_large_umezu_02.jpg

* 2013년 꽁트로 찍은 마이클 잭슨의 스릴러 커버인데...77세인데 춤이 굉장하다.

* 2020년 일세의 괴담가 이나가와 쥰지와. 84세의 카즈오 옹은 그대로인데 이나가와는 검은 콧수염에서 염색머리 덮수룩 잔털 흰수염으로 이미지가 엄청나게 바뀌었다.

5. 외부 링크



[1] 실제로 괴짜가족의 작가는 우메즈 카즈오의 팬이라고 한다. 괴짜가족이 똥으로 개그하는 게 많은 것도 우메즈의 작품 마코토짱의 영향이다.[2] 이 작품은 일본 전역에 큰 인기를 끌어서 70년대 말, 일본 내에서 빨간 마스크 괴담이 크게 확산되는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3] 웃음과 공포는 얼핏 보기에 이질적임에도 우메즈의 논리는 인식론적이다. 우메즈는 “뒤쫓아가는 경우라면 개그, 쫓김을 당하는 경우라면 공포” 라고 말한 적이 있다. 세상의 일들은 그것을 보는 입장에서 무서움을 느끼는지, 이상함을 느끼는지, 그것뿐이라고 생각한다. 공포의 경우를 보면, 쫓는 자와 쫓기는 자 두 가지가 있다. 쫓기는 쪽은 자신을 다치게 할 수 있는 것에 쫓기면서 무서운 생각을 하게 되지만, 쫓는 쪽에서는 절박한 이유가 없는 한, 너무나 재미있지 않은가. 도망치고 있는 사람을 보면서, 쫓기는 자가 미끄러지거나 넘어지거나 하는 모습을 보고 웃을 수도 있다. 아니면 쫓기는 자가 도망치면서 부딪치거나 넘어지거나 하는 걸 이상하다고 생각하며 볼 수도 있다. 그래서 개그인가 공포인가 여부는 그 부분이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공포에의 초대『恐怖への招待』1988년)[4] 한국에서는 이걸 괴짜가족이나 이토 준지를 따라하는 거라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5] 나중엔 아예 우메즈 본인이 이런 것만 모아서 캐릭터 상품으로 팔아서 쏠쏠하게 돈을 벌기도 했다.[6] 2022년 기준 일본인 중 상을 받은 사람은 미즈키 시게루, 타카하시 루미코, 우메즈 카즈오 3명뿐이라고 한다.[7] 사실 절필 이후라기보단 만화가로서 활동할때도 예능이나 CM등에 자주 얼굴을 내비치곤 했기에 본격적으로 그쪽으로 활동한다고 봐야할듯.[8] 1976년에 애니메이션, 2006년에 영화로 나온 작품이다.[9] 본래 크레용 신짱은 성인물 작가인 우스이 요시토가 '신혼부부가 어린 아이를 키우는 것에 대한 고뇌'를 소재로 삼은 성인물이었지만 애니화되면서 국민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하자 작품이 너무 선정적이라면서 항의가 들어왔고 애니와 비슷하게 전연령층에 어필하는 이야기를 짜내려고 하다보니 '마코토짱과 유사하지 읺느냐' 라는 비판이 나오게 된 것. 참고로 마코토짱은 할아버지가 나중에 먹으려고 놔둔 모나카 속의 단팥을 마코토가 몰래 먹어버렸는데 이를 들키면 할아버지에게 혼날까봐 모나카 속에 자신의 똥을 넣는다'는 에피소드에서 볼 수 있듯이 오히려 크레용 신짱 보다는 괴짜가족의 웃음코드와 비슷한 만화다.[10] 만화가 아닌 실사영화이다. 본인이 직접 감독했으며 작중 주인공은 우메즈 카즈오 본인의 명의와 직업을 그대로 따왔다. 배역은 카타오카 아이노스케.[11] 자신의 개그 만화 마코토짱의 애니 오프닝을 부르거나 엔카를 작곡해서 앨범을 내기도 하였다.[12] 알사람들은 알고 프로필에도 나와있지만 이게 작가의 상징이기도 하다. 매번 저런옷을 입고 매체에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