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9:04:31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잉창지배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가장 최근에 진행된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baduk_test3.png 주요 국제 바둑 기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종합 기전
(상금순)
응씨배 · 몽백합배 · 란커배 · 북해신역배 · 삼성화재배 · LG배 · 난양배 · 춘란배
제한 기전 국수산맥배
단체전 농심신라면배 · 농심백산수배
여자 기전 센코배 · 오청원배 · 황룡사배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應氏杯世界職業圍棋錦標賽
Ing Cup/Ying Shibei World Professional Go Championship
주최 응창기 바둑 교육 기금회
주관 중국바둑협회
상금 우승 40만 달러, 준우승 10만 달러
대회 방식 2+56명 단판 토너먼트[1], 준결승 3번기 및 결승 5번기
대국 규정 제한시간 각자 2시간~2시간 30분 (결승 이전) / 3시간 30분 (결승)
- 제한시간 소진 시 벌점 2점 공제를 대가로 전체 시간 1/6 추가 부여
- 추가 시간은 총 세 번(최대 벌점 6점)까지 사용 가능
- 추가 시간 3회를 모두 소진 시간패로 처리
계가 응씨룰(전만법), 덤 8점 / 빅이 될 경우는 흑 승
최근
우승자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九단 (제10회 대회)
1. 개요2. 창설자 잉창치3. 운영 방식4. 우승컵5. 역대 우승자6. 대회 이력
6.1. 1988~89년 1회 대회6.2. 1992~93년 2회 대회6.3. 1996년 3회 대회
6.3.1. 24강/16강전6.3.2. 8강전6.3.3. 준결승6.3.4. 결승
6.4. 2000~01년 4회 대회
6.4.1. 24강/16강전6.4.2. 8강전6.4.3. 준결승6.4.4. 결승
6.5. 2004~05년 5회 대회
6.5.1. 24강/16강전6.5.2. 8강전6.5.3. 준결승6.5.4. 결승
6.6. 2008~09년 6회 대회
6.6.1. 24강/16강전6.6.2. 8강전6.6.3. 준결승6.6.4. 결승
6.7. 2012~13년 7회 대회
6.7.1. 24강/16강전6.7.2. 8강전6.7.3. 준결승6.7.4. 결승
6.8. 2016년 8회 대회
6.8.1. 개요6.8.2. 8강 및 준결승 진출자6.8.3. 결승전
6.9. 2020~23년 9회 대회6.10. 2024년 10회 대회
7. 창작물에서

[clearfix]

1. 개요

응씨배는 1988년, 대만의 부호이자 열렬한 바둑 애호가인 잉창치(應昌期)가 창설한 국제 바둑 기전이다. '잉창치배', '잉씨배'라고도 불리며, 4년마다 개최되기 때문에 '바둑 올림픽' 혹은 '바둑 월드컵'이라는 별명도 있다. 타이페이·상하이 응창기 바둑교육기금회가 주최 및 후원한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국제 기전[2]이며, 위상 면에서도 세계 최고 기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응씨배의 우승 상금은 40만 달러(약 5억 5천만원)며 전체 상금 규모는 115만 달러(약 15억 8천만 원)니 총상금 규모도 크다. 대회가 창설된 1회부터 쭉 같은 금액을 유지하는데, 당시의 화폐 가치를 환산하면 어마어마한 거액이었다.[3]

대한민국과 관련해선 조훈현의 세계 제패로 한국 바둑계의 급성장을 불러온 대회이며[4], 한국의 4대 천왕[5]이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우승한 대회라는 점 등에서 여러모로 한국 바둑계와 연관이 많고 뜻깊은 대회이기도 하다.

국제 바둑 기전 중에서 유일하게 봉수가 있다. 점심시간을 공식적으로 60분 제공하기 때문에, 점심시간 직전에 봉수한다.

2. 창설자 잉창치

파일:external/a3.att.hudong.com/01300000044935129068423429608.jpg
잉창치(應昌期, 응창기) (1917.10.23.~1997.08.27.)

절강성 자계현(慈谿縣)[6] 출신의 외성인으로, 상하이시복건성에서 은행업에 종사하다가 국부천대 때 대륙을 등지고 대만으로 넘어와 대만은행 부총재까지 역임했다. 1960년대 이후 사업가로 성공한 그는 당시 양안관계 때문에 가고 싶어도 고향을 갈 수 없어 이렇게 응씨배 결승을 통해서라도 고향을 방문하고 싶어했고[7], 응씨배를 바탕으로 양안 간의 관계가 개선되기를 바랐다. 그리고 잉창치씨는 결승 제5국 후 조훈현에게 우승컵을 전달하면서도 시상식 내내 웃음과 미소, 그리고 축하 메시지로 조훈현에게 진심 어린 축하를 건넸다.

3. 운영 방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규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회 대회에서는 초청된 16명의 기사가 출전했으며, 제2회 대회부터 24명의 기사가 출전하게 되었다.

8강전을 치른 8명한테 다음 대회 16강전 직행 자격을 주는 방식에서, 2008년 대회부터 직전 대회 우승, 준우승자만 다음 대회 자동 출전 자격 부여로 변경되었다.

8강전까지는 단판, 준결승은 3번기, 결승은 원래 5번기로 일정을 나눠 두 군데에서 진행했으나 9회 대회는 3번기로 진행된다.

4. 우승컵

파일:응씨배_우승컵.jpg
제1회 대회 당시 주최자 잉창치로부터 조훈현 九단이 커다란 우승컵을 수여받는 모습. 다만 기사에게 실제로 수여되는 트로피는 아니고, 역대 우승자들을 기록해 보관하는 세레머니 트로피이다.

파일:0307-e12.jpg
실제 수여하는 트로피는 아래쪽에 나와 있는 작은 사이즈의 물건이다. 가운데가 세레머니 트로피, 좌측이 우승 트로피, 우측이 준우승 트로피.

5. 역대 우승자

{{{#!wiki style="margin:0px;margin-top:-10px;margin-bottom:-10px;padding:0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2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9,#3233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9,#323300> 파일:ESB-.png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tablebordercolor=#fffff9,#3233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9,#3233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회차 연도 우승 준우승 점수
1 1988~89 조훈현 녜웨이핑 3-2
2 1992~93 서봉수 오타케 히데오 3-2
3 1996 유창혁 요다 노리모토 3-1
4 2000~01 이창호 창하오 3-1
5 2004~05 창하오 최철한 3-1
6 2008~09 최철한 이창호 3-1
7 2012~13 판팅위* 박정환 3-1
8 2016 탕웨이싱 박정환 3-2
9 2020~23 신진서 셰커 2-0
10 2024 이치리키 료 셰커 3-0
* 우승 당시 三단이었으나, 중국기원의 규정에 따라 즉시 九단이 되었다. }}}}}}}}}


보면 알겠지만 바둑의 한국 천하 치세 이후 쟁쟁한 기사들이 한번씩 우승하고 이후 포스트 이창호 세대의 선두주자 중 하나인 최철한이 우승한 기록이다. 하지만 이창호 이후 2000년대 최강자로 군림하던 이세돌은 이상하다 싶을 정도로 응씨배에 약한 모습을 보였으며[8], 2010년대 선두주자인 박정환도 내내 2등으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그러다가 2020년대 들어 제9회 응씨배에서 신진서가 우승을 차지하며 14년 만에 한국 선수가 우승을 차지하게 됐다.

10회 대회까지 열 명의 우승자가 모두 다르다.

6. 대회 이력

6.1. 1988~89년 1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1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1992~93년 2회 대회

이전 대회에서 갑작스레 한국 바둑의 위상이 높아진 덕을 본 것인지 해당 대회에선 한국 선수들의 처우는 제법 나아졌다. 주최측은 한국에 출전권을 얼마나 더 주느냐를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와 동시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장주주, 루이나이웨이[9]의 출전을 주최측이 허용하자 이에 중국기원측이 반발하며 불참을 선언해 버린 것이다. 결국 이 여파로 한국과 일본에 출전권이 대폭 늘어나며, 한국에서는 조훈현, 서봉수, 이창호, 유창혁, 양재호 5명이 출전하게 되었다.[10] 중국 기사들의 대거 불참으로 인해 대회는 한국기원, 일본기원 위주의 선수층으로 진행하게 되었으니 한국 기사의 대량 출전도 이런 해프닝 덕을 봤다고도 할 수 있다.

한국의 호재와는 별개로 대륙의 관심을 잃게 된 2회 응씨배는 흥행을 걱정할 처지가 되었으나, 아래 서술할 갖가지 반전들이 터져나오며 주목을 받는 데 성공하긴 했다. 우선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조훈현의 16강 조기 탈락과 함께[11] 당시 유망주를 막 벗어난 이창호, 유창혁 또한 16강에서 맥없이 떨어지며 바둑계에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그것도 이창호를 꺾은 기사는 루이나이웨이로서 그녀는 4강까지 안착하면서 최강의 여류기사임을 입증하기도 했다.[12]

이렇다 보니 한국은 8강에선 양재호서봉수 2명만이 진출한 상황. 상대적으로 약체로 평가받던 양재호는 결국 루이의 4강 제물이 되었으며,[13] 서봉수만이 다케미야 마사키를 꺾고 준결승 진출에 성공한다. 그리고 4강에서 맞붙은 조치훈과의 대결은 대회의 백미 중의 백미. 중반까지만 해도 조치훈의 완승으로 굳어가던 반상에서 서봉수의 끊어치기 묘수로 대마를 궤멸시켜 승세는 순식간에 역전, 결승 티켓은 서봉수가 가져가게 된다. 그리고 조치훈의 자학도 어김없이 터져나왔다

파일:응씨배 2회.jpg

결승 최종국의 서봉수 vs 오타케 히데오. 이전 대회의 조훈현은 승패패승승인 반면, 서봉수는 패승승패승으로 이긴다. 최종국에도 중반까지 절망적인 상황까지 밀리다 초강수를 연거푸 두면서 바둑을 혼전으로 몰아갔고, 결국 오다케가 흑의 선수 되는 자리를 깜빡하며 하변 사활에서 실수를 범했고, 행운의 선수를 잡은 서봉수가 대마를 잡아내는 데 성공하며 우승하게 된다. 여러모로 서봉수의 끈질긴 기풍이 빛을 발휘했던 대회였다.[14]

[[일본|]][[틀:국기|]][[틀:국기|]] 오타케 히데오

[[일본|]][[틀:국기|]][[틀:국기|]] 오타케 히데오

[[일본|]][[틀:국기|]][[틀:국기|]] 오타케 히데오

[[일본|]][[틀:국기|]][[틀:국기|]] 오타케 히데오
2-1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3-2

[[틀:국기|]][[틀:국기|]][[틀:국기|]] 천자루이

[[틀:국기|]][[틀:국기|]][[틀:국기|]] 천자루이

[[일본|]][[틀:국기|]][[틀:국기|]] 하시모토 쇼지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린하이펑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린하이펑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호주|]][[틀:국기|]][[틀:국기|]] 우쑹성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창호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루이나이웨이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루이나이웨이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루이나이웨이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루이나이웨이

[[일본|]][[틀:국기|]][[틀:국기|]] 고마쓰 히데키

[[틀:국기|]][[틀:국기|]][[틀:국기|]] 장주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양재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양재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양재호

[[미국|]][[틀:국기|]][[틀:국기|]] 마이클 레드먼드

[[일본|]][[틀:국기|]][[틀:국기|]] 후지사와 히데유키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2-1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정밍황

[[일본|]][[틀:국기|]][[틀:국기|]] 다케미야 마사키

[[일본|]][[틀:국기|]][[틀:국기|]] 다케미야 마사키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왕밍완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왕밍완

[[일본|]][[틀:국기|]][[틀:국기|]] 이시이 구니오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치훈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치훈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치훈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펑징화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훈현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와지 슈조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와지 슈조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와지 슈조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왕리청

6.3. 1996년 3회 대회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봉수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2-1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3-1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일본|]][[틀:국기|]][[틀:국기|]] 요다 노리모토

[[미국|]][[틀:국기|]][[틀:국기|]] 마이클 레드먼드

[[일본|]][[틀:국기|]][[틀:국기|]] 아와지 슈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훈현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훈현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훈현

[[중국|]][[틀:국기|]][[틀:국기|]] 장원둥

[[일본|]][[틀:국기|]][[틀:국기|]] 조치훈

[[일본|]][[틀:국기|]][[틀:국기|]] 조치훈

[[일본|]][[틀:국기|]][[틀:국기|]] 조치훈

[[틀:국기|]][[틀:국기|]][[틀:국기|]] 장주주

[[틀:국기|]][[틀:국기|]][[틀:국기|]] 장주주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저우쥔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양재호

[[중국|]][[틀:국기|]][[틀:국기|]] 마샤오춘

[[중국|]][[틀:국기|]][[틀:국기|]] 마샤오춘

[[중국|]][[틀:국기|]][[틀:국기|]] 마샤오춘

[[일본|]][[틀:국기|]][[틀:국기|]] 천자루이

[[일본|]][[틀:국기|]][[틀:국기|]] 오타케 히데오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2-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유창혁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왕리청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루이나이웨이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창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창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창호

[[중국|]][[틀:국기|]][[틀:국기|]] 위빈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린하이펑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린하이펑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린하이펑

[[중국|]][[틀:국기|]][[틀:국기|]] 차오다위안

[[중국|]][[틀:국기|]][[틀:국기|]] 차오다위안

[[중화 타이베이|]][[틀:국기|]][[틀:국기|]] 왕밍완

[[일본|]][[틀:국기|]][[틀:국기|]] 다케미야 마사키

[[일본|]][[틀:국기|]][[틀:국기|]] 다케미야 마사키

[[중국|]][[틀:국기|]][[틀:국기|]] 류샤오광

[[중국|]][[틀:국기|]][[틀:국기|]] 류샤오광

[[일본|]][[틀:국기|]][[틀:국기|]] 후지사와 히데유키

6.3.1. 24강/16강전

저우쥔쉰 vs 장주주 → 장주주 vs 조치훈
천자루이 vs 마샤오춘마샤오춘 vs 양재호
마이클 레드먼드 vs 요다 노리모토요다 vs 서봉수
장원둥 vs 조훈현조훈현 vs 아와지 슈조
왕리청 vs 유창혁 → 유창혁 vs 오다케 히데오
위빈 vs 이창호 → 이창호 vs 루이나이웨이
후지사와 히데유키 vs 류샤오광 → 류샤오광 vs 다케미야 마사키
왕밍완 vs 차오다위안 → 차오다위안 vs 린하이펑

6.3.2. 8강전

조치훈 vs 마샤오춘
요다 노리모토 vs 조훈현
유창혁 vs 이창호
다케미야 마사키 vs 린하이펑

6.3.3. 준결승

조치훈 vs 요다 노리모토 : 1국 조치훈 백 3점 승 / 2국 요다 백 불계승 / 3국 요다 백 불계승
유창혁 vs 린하이펑 : 1국 유창혁 흑 9점 승 / 2국 유창혁 백 1점 승

6.3.4. 결승

요다 노리모토 vs 유창혁 : 1국 요다 백 3점 승 / 2국 유창혁 백 3점 승 / 3국 유창혁 흑 5점 승 / 4국 유창혁 백 5점 승

6.4. 2000~01년 4회 대회

6.4.1. 24강/16강전


장주주 vs 창하오창하오 vs 다케미야 마사키
루이나이웨이 vs 샤오웨이강 → 샤오웨이강 vs 요다 노리모토
차오다위안 vs 최명훈 → 최명훈 vs 린하이펑
저우쥔쉰 vs 아와지 슈조 → 아와지 슈조 vs 마샤오춘
서봉수 vs 위빈 → 위빈 vs 조치훈
카탈린 타라누 vs 오다케 히데오오다케 히데오 vs 유창혁
양재호 vs 왕밍완왕밍완 vs 조훈현
류샤오광 vs 왕리청 → 왕리청 vs 이창호

6.4.2. 8강전


창하오 vs 린하이펑
왕밍완 vs 마샤오춘
이창호 vs 요다 노리모토
위빈 vs 오다케 히데오

6.4.3. 준결승


창하오 2 vs 왕밍완 1
이창호 2 vs 위빈 0

6.4.4. 결승

6.5. 2004~05년 5회 대회

6.5.1. 24강/16강전


이세돌 vs 쿵제쿵제 vs 린하이펑
왕리청 vs 펑취안펑취안 vs 요다 노리모토
류싱 vs 유창혁 → 유창혁 vs 창하오
구리 vs 야마시타 게이고 → 야마시타 게이고 vs 이창호
하네 나오키 vs 최철한최철한 vs 마샤오춘
차민수 vs 저우허양저우허양 vs 오다케 히데오
장쉬 vs 송태곤송태곤 vs 위빈
알렉산더 디너스타인 vs 저우쥔쉰 → 저우쥔쉰 vs 왕밍완

6.5.2. 8강전


최철한 vs 이창호
펑취안 vs 저우허양
창하오 vs 쿵제
송태곤 vs 왕밍완

6.5.3. 준결승


창하오 2 vs 송태곤 1
최철한 2 vs 펑취안 0

6.5.4. 결승

6.6. 2008~09년 6회 대회

6.6.1. 24강/16강전


후야오위 vs 이세돌이세돌 vs 저우허양
야마시타 게이고 vs 구리 → 구리 vs 최철한
장밍주 vs 류싱류싱 vs 왕밍완
장쉬 vs 조치훈조치훈 vs 창하오
저우쥔쉰 vs 박영훈박영훈 vs 펑취안
타라누 카탈린 vs 퍄오원야오퍄오원야오 vs 송태곤
이영구 vs 셰허 → 셰허 vs 이창호
다카오 신지 vs 왕레이 → 왕레이 vs 쿵제

6.6.2. 8강전


최철한 vs 퍄오원야오
류싱 vs 박영훈
이창호 vs 조치훈
이세돌 vs 쿵제

6.6.3. 준결승


이창호 2 vs 이세돌 0
최철한 2 vs 류싱 0

6.6.4. 결승

6.7. 2012~13년 7회 대회

6.7.1. 24강/16강전


왕위안쥔 vs 탄샤오탄샤오 vs 최철한
다카오 신지 vs 판팅위판팅위 vs 이세돌
천야오예 vs 원성진 → 원성진 vs 구리
타라누 카탈린 vs 셰허셰허 vs 장웨이제
양후이런 vs 박정환박정환 vs 퍄오원야오
유키 사토시 vs 류싱 → 류싱 vs 조치훈
김지석 vs 추쥔 → 추쥔 vs 장쉬
하네 나오키 vs 쿵제 → 쿵제 vs 이창호

6.7.2. 8강전


판팅위 vs 탄샤오
셰허 vs 구리
박정환 vs 조치훈
이창호 vs 장쉬

6.7.3. 준결승


판팅위 2 vs 셰허 1
박정환 2 vs 이창호 0

6.7.4. 결승

6.8. 2016년 8회 대회

6.8.1. 개요

기본 시간 3시간, 추가 시간 20분 2번(1번에 2집씩 차감)으로 시간이 줄었다. 점심시간은 전처럼 바둑 시작하고 3시간 뒤, 1시간 동안 주어진다.

4월 18일~ 25일까지 개막식,[15] 본선 1회전(각국 대표 28명 참가. 대진표에서 2-3, 4-5, … , 28-29가 대결), 16강(대진표 1을 받은 전기 대회 우승자, 대진표 30을 받은 준우승자, 1회전 승자 14명 참가), 8강전이 열린다. 6월 8일~ 15일까지 3번기로 4강전이 열린다. 결승 1, 2국이 8월 8일부터 13일, 결승 3~5국과 시상식 폐막식이 10월 21일부터 27일에 열린다. 예전에는 적어도 결승 2차전은 해를 넘겨서 열곤 했는데 이번에는 일정을 빨리 진행하고 있다.

본선 1 라운드에는 한국 6명, 중국 10명, 일본 6명, 대만 2명, 미주 2명, 유럽 2명, 총 28명이 출전해 절반인 14명이 16강에 합류하게 된다. 직전 대회 우승자와 준우승자 2명은 시드를 적용하여 16강에 직행한다.

한국에서는 직전 대회 준우승자 자격으로 박정환 九단이 본선 2회전에 직행했다. 6장의 출전권은 랭킹 시드를 통해 이세돌박영훈에게, 국가대표 시드는 김지석나현에게 주어졌다. 또한 국내 선발전을 치러 강동윤원성진이 나머지 자리를 차지했다.

6.8.2. 8강 및 준결승 진출자

4월 22일에 8강 진출자들이 가려졌다.

- 한국 : 이세돌, 강동윤, 김지석, 박정환
- 중국 : 커제, 스웨, 탕웨이싱
- 일본 : 고노 린

4월 24일 4강 진출자들이 가려졌다.

- 한국 : 이세돌, 박정환
- 중국 : 스웨, 탕웨이싱

6.8.3. 결승전

6월 14일 결승 진출자들이 가려졌다. 두 기사 모두 준결승에서 상대를 2-1로 이기고 진출했다.

- 한국 : 박정환
- 중국 : 탕웨이싱

참고로 박정환-탕웨이싱은 2014년부터 7번 만났으며, 역대 전적은 박정환 기준 4승 3패다.

8회 응씨배는 3승 2패로 탕웨이싱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박정환은 2회 연속 준우승을 기록했다.

6.9. 2020~23년 9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9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0. 2024년 10회 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10회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창작물에서


[1] 전기 시드 두 명은 16강부터 시작[2] 1988년 응씨배 창설 당시, 일본에선 응씨배 창설 움직임이 일자, 서둘러 전자 회사 후지쯔의 후원을 받아 후지쯔배를 만들면서, 후지쯔배가 '최초의 국제 기전'이라는 타이틀을 잽싸게 가져가 버린 에피소드가 있다. 하지만 2011년 후지쯔배가 폐지되면서 응씨배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국제 기전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3] 하지만 토요타덴소배가 있었을 때에는 토요타덴소배보다 기전 규모가 작았다. 토요타덴소배는 1회 대회 때 렉서스 자동차(LS430)를 우승자 부상으로 제공하고, 2회 대회 때부터는 렉서스 자동차 출고가에 상당하는 현금을 부상으로 지급했으므로 우승자의 실제 상금은 4300만엔이었기 때문이다.[4] 반대로 일본 바둑계는 1990년대부터 내리막을 걷게 되었다.[5] 조훈현, 서봉수, 유창혁, 이창호[6] 현 영파시 강북구 자성진(慈城鎭)[7] 그렇게 성사된 영파 방문이 잉창치씨 개인에게는 50년 만의 고향 방문이었다.[8] 매 대회마다 광탈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다, 2016년 8회 대회서 돌연 4강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지만, 박정환에 밀려 아쉽게 결승에 진출하진 못했다.[9] 천안문 사건으로 인해 해외로 망명했다. 한국으로는 1999년부터 활동하기 시작했다.[10] 조훈현은 전 대회 우승자이니 당연히 포함되었고, 서봉수, 이창호, 유창혁 3명은 당시 랭킹에 따라 참가권이 부여되었다. 양재호는 동양증권배 우승자였기 때문에 포함될 수 있었다.[11] 특히 일본 내에서조차 7대 기전 도전기에 4번 올라 모두 패한 것 외의 대단한 성적이 없었던 아와지 슈조에게 패한 것이 상당한 이변.[12] 4강에서 오다케 히데오에게 패한 루이 나이웨이는 어쩌면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기전에서 하얗게 불태운 후 자리에서 울었다는 후문도 있으며, 같이 망명하며 교제하던 장주주와는 대국을 위해 머물던 일본에서 결혼한 후 다시 망명길을 떠났다.[13] 재밌게도 양재호가 16강에서 꺾은 기사가 루이의 남편 장주주였다. 부인이 대신 설욕[14] 아이러니한 것은 이 우승을 끝으로 서봉수가 하락세에 돌입했다는 것.[15] 24명일 때는 1회전 뒤 16강전 대진표를 짜는 제비뽑기를 또 했지만, 이번에는 제비뽑기를 개막식에서만 하고 대진표가 끝까지 간다. 지난 대회 우승자는 1번, 준우승자는 30번.[16] 제1회 대회 결승에서 시작하고 제2회 대회 결승에서 끝이며 중간에는 김옥균의 암살 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