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17:00:54

이경수(정치인)

이경수(1956)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과학기술혁신본부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2004~2008)
<nopad> 참여정부
초대
임상규
제2대
박종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 (2015~2017)
<nopad> 박근혜 정부
초대
최종배
제2대
김주한
제3대
홍남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2017~현재)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박기영
제2대
임대식
제3대
김성수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대
이경수
제5대
주영창
제6대
류광준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과학기술혁신본부장|{{{#fff 대한민국 제4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이경수
李京洙 | Lee Gyung-su
파일:이경수 박사.jpg
출생 1956년 6월 7일 ([age(1956-06-07)]세)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학력 경북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 / 학사)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 석사)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대학원 (물리학 / 박사)
소속 정당
파일:zsdkl3gasdg.svg
경력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연구원
플라스마 연구 한빛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
국제핵융합실험로 한국사업단 단장
국제원자력기구 국제핵융합연구평의회 의장
KSTAR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
국제핵융합실험로 경영자문위원회 의장
국제핵융합실험로 이사회 부의장
국제핵융합실험로 부총장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특별위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제4대 / 문재인 정부)

1. 개요2. 생애
2.1. 정치 활동
3. 여담4. 상세 소개
4.1. 학력4.2. 주요 경력
5.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물리학자, 정치인. KSTAR 건설을 주도하였고 국제핵융합실험로 사무차장을 지낸 핵융합 전문가.

2. 생애

미국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물리학 박사(1981.1.~1986.5.)로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무차장 출신이며,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이사회 부의장 등의 자리를 역임했다.

30년 넘게 핵융합을 연구하였으며, KSTAR[1] 건설을 주도한 핵융합의 전문가다. #
이경수 소개 영상

2.1. 정치 활동

2020년 2월 11일 더불어민주당 영입인재 19호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18번을 배정받았으나 17번까지 당선되면서 안타깝게 떨어졌다. 민주당 지지자들의 비례 표심이 시민당과 열린민주당으로 분산된 데다가 비례대표제가 개정된 탓이었다.[2]

2020년 4월 28일, 더불어시민당이 재산 증식 과정 관련 의혹이 제기된 양정숙 의원을 제명하겠다고 밝혔고 이후 실제로 제명되었다. 그러나 양정숙이 스스로 사퇴하거나 탈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원직을 승계받지 못했다.

2021년 6월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임명되었다. 임기는 6월 14일부터 시작.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기 만료 후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2심에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은 무소속 윤미향 의원이 2024년 1월 30일 이전 대법원에서 의원직 상실에 해당하는 확정판결을 받게 된다면 의원직을 승계받게 된다. 그러나 1월 30일까지 판결이 내려지지 않았다.

결국 21대 국회의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17명 모두 끝까지 의원직을 유지하면서 국회 입성이 좌절되었다.[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받을지 귀추가 주목되었으나 비례대표 명부에조차 들지 못했다.

3. 여담

공교롭게도 핵융합을 결사 반대해온 양이원영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이 더불어시민당 비례 9번으로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최고의 핵융합 전문가와 핵융합반대운동가가 함께 비례대표에 공천된 것이다. 그런데, 양이원영 의원은 원래는 녹색당 지지자로 더불어시민당 창당과, 더불어민주당을 날세게 비판하던 인사였으나 시민당의 시민사회공천을 준다기에 바로 넘어와 녹색당, 환경연합에 '기회주의자'라는 비판을 받은 인물이다. 양이원영 당선자는 매우 안정권이던 9번으로 당선됐으나, 이경수 박사는 열린민주당과의 표가름 때문에 0.5%차이로 낙선했기 때문에 더더욱 안타까워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낙선 이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21대 국회에서는 과학자 출신 국회의원이 단 한 명도 없게 됐다는 것에 대해 큰 안타까움과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낙연 지도부 하에서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특별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4. 상세 소개

4.1. 학력

학교명 기간 전공 학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1975.  3. - 1979.  2. 물리학 학사 (B. S.)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9.  3. - 1980.  8. 물리학
Univ. of Chicago 대학원 1980.  9. - 1980. 12. 물리학
Univ. of Texas at Austin 1981.  1. - 1986.  5. 플라즈마 물리학 박사 (Ph. D.)

4.2. 주요 경력

1981.  1. - 1986.  5.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esearch Assistant)
1986.  6. - 1989.  9. 미국 Oak Ridge 국립연구소 (Research Staff Member)
1989. 10. - 1991.  1. 미국 M.I.T. 대학, Plasma Fusion Center (Research Physicist)
1991.  2. - 1996. 1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형공동연구기기부장 (책임연구원)
1992.  1. - 1996. 12. 『한빛』플라즈마 공동연구시설 개발.운영사업 총괄사업책임자
1992. 10. - 1994. 10. 한국물리학회(KPS) 플라즈마물리학 분과위원장
1996.  8. - 2006. 1. 『KSTAR』핵융합연구장치 개발.운영사업 총괄사업책임자
1998. 12. - 2005. 9.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 단장
2000.  1. - 2007. 12. 국제원자력기구(IAEA) 국제핵융합연구평의회(IFRC) 위원
2008.  1. -  국제원자력기구(IAEA) 국제핵융합연구평의회(IFRC) 의장
2005. 10 - 2007. 4. 국가핵융합연구소 선임부장
2007.  9. - 2008. 8. 국가핵융합연구소 ITER 한국사업단 단장
2008.  9. - 2011. 9. 국가핵융합연구소(NFRI) 소장
2010.  1. - 2011. 12. ITER 이사회(Council) 이사 겸 경영자문위원회(MAC) 의장
2014.  1. - ITER 이사회(Council) 부의장 겸 경영자문위원회(MAC) 위원
2015.  3. - ITER 사무차장
이경수 박사 소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5.9)

5. 선거 이력

<rowcolor=#fff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9,307,112 (33.35%) 낙선 (18번) [4]

[1] 1억도 상태의 플라즈마를 30초간 유지해 세계 기록을 세운, 초전도핵융합 연구장치를 칭한다.[2] 만약 기존의 비례대표제가 적용됐다면 더불어시민당은 최대잉여법으로 18석의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하게 된다.[3] 참고로 19명이 당선된 미래한국당은 3명의 입각과 1명의 탈당으로 낙선자 4명이 의원직을 승계받았다.[4] 딱 17번까지가 당선권이었다. 승계 전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