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임병직 | 제2대 임창영 | 제3대 이수영 | 제4대 김용식 | 제5대 한표욱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6대 박동진 | 제7대 문덕주 | 제8대 윤석현 | 제9대 김경원 | 제10대 최광수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1대 박근 | 제12대 박쌍용 | 제13대 현홍주 | 제14대 노창희 | 제15대 유종하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16대 박수길 | 제17대 이시영 | 제18대 선준영 | 제19대 김삼훈 | 제20대 최영진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21대 김현종 | 제22대 박인국 | 제23대 김숙 | 제24대 오준 | 제25대 조태열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26대 조현 | 제27대 황준국 | }}}}}}}}} |
이시영 관련 틀 |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제17대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이시영 李時榮 | Lee Si-young | |
출생 | 1937년 1월 31일 ([age(1937-01-31)]세) |
경기도 경성부 (현 서울특별시) | |
학력 |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정치학 / 학사) |
경력 | 외무부 입부[1] 외무부 주사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3등 서기관 외무부 유엔과장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참사관 외무부 국제기구국장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 겸 주미 공사 주세네갈대사 외무부 외교정책실장 APEC 서울 각료회의 사무총장 주오스트리아 대사 외무부차관 주프랑스대사 주유엔대사 전주대학교 총장 한동대학교 석좌교수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외교관. 주로 대유엔 외교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외무부차관, 주프랑스대사, 주유엔대사 등을 역임하였다.2. 생애
1937년 경기도 경성부 출생으로 경기중학교, 고등학교 및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1961년 4.19 혁명으로 집권한 장면 내각에서 실시한 외교관보 특채 시험에 합격하여 외무부 주사로 공직에 입문하였다.[2] 외무부에서는 유엔과장, 국제기구국장 등 유엔을 중심으로 한 다자외교 분야의 요직을 역임하였으며, 재외 공관 역시, 유엔 대표부, 제네바 대표부, 오스트리아 등 국제기구 대상 외교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 근무하였다.1995년 외무부차관에 임명되었으며, 1996년에는 주프랑스대사를, 1998년에는 주유엔대사를 역임하였다. 2001년 정년 도달로 외교통상부에서 은퇴하였고, 이후에는 한동대 석좌교수, 아시아기독교대학연합 집행위원 등 기독교 학술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