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02:10:52

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이좡T1선에서 넘어옴

베이징 지하철 운행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17호선 아이콘.svg 18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 28호선
교외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창핑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선 아이콘.svg 핑구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팡산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옌팡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아이콘.svg
자기부상열차
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
노면전차
파일:베이징 현대유궤전차 시자오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아이콘.svg
공항철도
파일:베이징 지하철 다싱국제공항선 아이콘.svg 파일: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 아이콘.svg
}}}}}}}}} ||
파일:BeijingPublicTransport_white.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아이콘.svg T1线
T1선
T1 Line
}}}
파일:Yizhuang_T1_tram_at_Rongchang_Dongjie_(02).jpg
베이징 공교 유궤전차 BQK02형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노선도.png
노선 정보
분류 노면전차
기점 취좡역
종점 딩하이위안역
역 수 14
노선기호 T
노선번호 T1선
개업일 2020년 12월 31일
소유자 베이징시
운영자 베이징 공교 유궤전차
차량기지 취장임시차장
사용차량 베이징 공교 유궤전차 BQK02형 전동차
노선 제원
노선연장 11.9㎞
궤간 1435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750V 가공전차선
최고속도 45㎞/h
개통 연혁 2020. 12. 31. 취좡딩하이위안
개통 예정 2024. 라오관리취좡

1. 개요2. 노선

[clearfix]

1. 개요

베이징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다싱구(大兴区)와 퉁저우구(通州区)에서 운영중이다. 노선색은 적색이다. 시자오선 다음으로 개통된 노면전차를 이용하는 노선이다. 취좡역~주하오춘역 구간은 벤츠 공장이 있어 각각 번츠[1]난(奔驰南), 번츠베이(奔驰北)라는 부역명이 붙었다.[2]

총 15개 역이 있는 13.255km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나, 최남단의 라오관리역이 개통하지 않아 일단 14개역 11.9km만 운영 중이다.

대표적인 적자 노선이다. 2022년 기준 연간 운영비용으로 1.21억위안이 발생한 반면 탑승객 수는 고작 49.68만명으로, 승객 1명 운송할때마다 242위안을 지출한 셈. 베이징 지하철 전체 노선의 승객 1인당 평균 지출 금액이 14위안, 일반 버스가 11위안인것과 비교하면 적자 덩어리 그 자체다. 출처

2. 노선

파일:베이징 이좡 신청 현대유궤전차 T1선 노선도.png
한국어 역명 중국어 역명 승강장 행정구역 환승노선
라오관리역 老观里 │■│ 다싱구
취좡(번츠난) 屈庄 ■││■
룽싱제 融兴街 ■││■
루이허좡 瑞合庄 ■││■
타이허차오베이 太和桥北 │■│
쓰하이좡 四海庄 │■│
주하오춘(번츠베이) 九号村 │■│
타이허루 泰河路 │■│
루쥐안둥 鹿圈东 │■│
이좡퉁런 亦庄同仁 │■│
룽창둥제 荣昌东街 │■│ 파일: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아이콘.svg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이촹후이잔중신 亦创会展中心 │■│
징하이이루(징둥팡) 经海一路 ■││■ 퉁저우구
딩하이위안시 定海园西 ■││■
딩하이위안 定海园 │■│

[1] 벤츠의 중국식 명칭[2] 참고로 그 두 역은 베이징에서 첫 번째로 부역명을 단 역이다. 한국과 달리, 베이징은 부역명을 쓰질 않았다. 이외에도 부역명을 단 역은 징둥팡 공장이 인근에 있는 징하이이루역(징둥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