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이치바타 전차 2100계 전동차 一畑電車 2100系 電車 Ichibata Electric Railway 2100 Series (EMU) | }}} | |||
| |||||
▲ 외부 | |||||
| |||||
▲ 내부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대수 | 2량 1편성 | ||||
운행노선 | 키타마츠에선, 타이샤선 | ||||
제작시기 | 1967년 ~ 1968년 | ||||
도입시기 | 1994년 ~ 1995년 | ||||
제작회사 | 도큐차량제조 일본차량제조 히타치 제작소 | ||||
소유기관 | 이치바타 전차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1994년 ~ 현재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 18,000㎜ | |||
전폭 | 2,874㎜ | ||||
전고 | 4,100㎜ | ||||
궤간 | 1,067㎜ | ||||
정원[1] | 124명(48명) | ||||
대차 | 코일스프링 대차 FS-510 | ||||
차중 | 35.0t | ||||
차체 | 탄소강 | ||||
신호장비 | ATS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제어방식 | 약계자 직병렬 저항제어 | ||||
제동방식 | HSC-D 발전제동 병용 전자직통제동[2] | ||||
동력장치 (주전동기) | 직류 직권 전동기 HS-833Grb | ||||
동력전달장치 | 중공축 평행 카르단 | ||||
기어비 | 98 : 15 | ||||
주전동기 출력 | 75kW | ||||
최고속도 | 영업 | 85km/h | |||
설계 | 105km/h | ||||
가속도 | 2.5㎞/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0㎞/h/s | ||||
MT 비 | 1M1T | }}}}}}}}} |
[clearfix]
1. 개요
- 이치바타 전차에서 1994년부터 현재까지 운행 중인 전동차이다.
2. 도입
<colcolor=#e50012,#fa5858> | <colcolor=#e50012,#fa5858> |
구 도색 | 2101편성 |
| |
2103편성 | 2104편성 |
- 도색은 기존 차량과 동일하다. 노란색을 베이스로 측면 창 아래가 하양, 문이 파랑, 아래부분이 회색이다. 현재는 전부 다른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 차체는 당시 생산 차량이 그렇듯 탄소강제이며, 전면 창문에는 파노라믹 창문을 채용하고, 전면과 측면에 롤지식 행선기를 장비하였다. 이치바타 전차에서는 1인 승무를 실시하기 때문에, 사이드미러를 새로 설치하였다.
- 1994년 도입 차량은 3비차이나, 1995년 도입 차량은 차내 좌석 수 확보를 위해 3개의 문 중 중앙의 문을 없애고 벽으로 바꾸어 2비차로 도입되었다.
3. 특징
- 이치바타 전차에서 차량 근대화를 목적으로 도입되었기에 이후에 도입된 7000계와 같이 이치바타 전차에서의 최초 타이틀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이기도 하다.
- 같은 회사에서 같은 차량을 개조하여 다른 형식으로 도입한 5000계가 존재한다.
4. 폐차
- 7000계의 도입으로 점차 폐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 1월 기준으로 4편성 중 2102편성이 폐차되었다.
5. 관련 문서
- 이관 전
- 자사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