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7:41:34

인천국제공항/항행 시설

인천공항/항행 시설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천국제공항
파일:인천국제공항공사 영문 로고_좌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여객터미널
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 파일:제주항공 로고.svg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 파일:에어서울 CI.svg
파일:에어부산 CI.svg 파일:에어프레미아 로고.svg 파일:비엣젯 항공 로고.svg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에어캐나다 로고.svg
파일:루프트한자 로고.svg 파일:터키항공 로고.svg 파일:카타르항공 로고.svg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제2여객터미널에서 운항하지 않는 모든 항공사
제2여객터미널
파일:대한항공 로고.svg 파일:진에어 CI_좌우.svg 파일:델타항공 로고.svg 파일:중화항공 로고.svg
파일:에어 프랑스 로고.svg 파일:KLM 네덜란드 항공 로고.svg 파일:가루다 인도네시아 로고.svg 파일:샤먼항공 로고_좌우.svg
공동 운항 항공편(코드셰어)의 경우, 실제 항공기를 운항하는 항공사의 여객터미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제1여객터미널 항공편 중 일부는 탑승동으로 이동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역사 | 운항노선 | 편의시설 | 항행 시설 | 교통 및 주차 | 사건 사고
}}}}}}}}} ||

1. 기본 데이터2. 활주로3. 주기장 및 게이트
3.1. 번호 구분3.2. 리모트 게이트
4. 관제탑5. 관제주파수
5.1. 어프로치 (접근관제)5.2. 디파처 (출발관제)5.3. 타워 (국지관제)5.4. 그라운드 (지상관제)5.5. 딜리버리 (허가관제)5.6. 에이프론(계류장 관제)5.7. ATIS5.8. VOR
6. 시설이용료


1. 기본 데이터

파일:RKSI DIAGRAM.jpg

2. 활주로

2021년 기준 총 4본의 활주로가 완비되어있다. 4개의 활주로 모두 CAT-III 등급이라 시정거리 75m에서도 착륙가능하며 특히 2003년도에 아시아 권역의 국제공항으로는 최초로 CAT-IIIb 인증을 받기도 했다. 2017년 8월까지 계기착륙장치 첨단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2021년 6월부터 2024년 8월 8일까지 4활주로를 제외한 다른 3개의 활주로는 재포장 공사로 인해 2024년 8월 전까지는 3개의 활주로만 운영이 가능하다.[1]제 4활주로 설명회 (1시간)제 4활주로 운영준비 설명회 (1시간 23분)
활주로[2] 제1활주로[3][4] 제2활주로[5] 제3활주로[6] 제4활주로[7]
15R/33L 15L/33R 16L/34R 16R/34L
길이3750m×60m3750m×60m4000m×60m3750m×60m
ILSCAT-III, ILSCAT-III, ILSCAT-III, ILSCAT-III, ILS
추가확정 활주로
현재 2활주로의 재포장 공사가 진행중이므로, 3활주로는 이륙전용, 1활주로는 이/착륙 모두 사용 가능, 4활주로는 착륙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모든 재포장 공사가 완료되면 1, 2 활주로는 이륙전용, 그리고 3, 4 활주로는 착륙전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하지만, 상황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3. 주기장 및 게이트

총 186대의 비행기를 주기할 수 있다.
* 여객 계류장 탑승교 74, 원격주기장 38
* 화물계류장 39(중 경항공기 8)
* 정비계류장 11(중 경항공기 12)
* 제빙계류장 21(중 경항공기 22)
* 격리계류장 1
* Run-Up Pad 2

3.1. 번호 구분

3.2. 리모트 게이트

4. 관제탑

인천공항은 총 3개의 관제탑을 보유하고 있다. 2008년 이전까지는 주 관제탑에서 모든 관제를 담당했으나, 공항의 확장 및 증가하는 항공편으로 인해 2개의 관제탑을 추가로 건설하여 관제 업무를 이원화시켰다. 만약 관제탑 중 1곳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2개의 관제탑에서도 주 관제탑 또는 계류장 관제탑의 업무를 이관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관제탑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추후에 제 3터미널 및 제 5 활주로가 건설되면 제3 터미널 계류장, 그리고 5 활주로를 관제할 관제탑이 추가로 건설 될 가능성이 있으나 현 상황으로는 알 수 없다.
2001년 3월 29일 인천공항이 개항할 때부터 운용했으며, 높이는 100.4m로 대한민국 및 인천공항에서 제일 높은 관제탑이다. 인천공항 부지 정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지상관제 (Ground)와 국지관제 (Tower)를 담당한다.
2008년 4월에 운용을 개시했으며, 탑승동 114와 118번 탑승구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인천공항 관제탑 중 높이가 제일 낮으며, 제1터미널, 탑승동, 화물터미널 계류장 (Apron), 및 일부 주기장 관제를 담당하고 있다.[14]
2017년 11월에 운용을 개시했다. 제2터미널 250과, 251번 탑승구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제2터미널 계류장 (Apron)과 인근 주기장 관제를 담당하고 있다.[15]

5. 관제주파수[16]

5.1. 어프로치 (접근관제)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는 비행기들이 쓰는 주파수.

5.2. 디파처 (출발관제)

이륙하는 비행기들이 쓰는 주파수.

5.3. 타워 (국지관제)

착륙 후 지상 이동 및 이·착륙 허가 관제, 공항 공역 내 관제

5.4. 그라운드 (지상관제)

타워의 관제 공역을 제외한 지상 이동 관제

5.5. 딜리버리 (허가관제)

항공기의 비행 허가를 전달 해주는 곳

5.6. 에이프론(계류장 관제)

게이트 및 주기장 관제

5.7. ATIS

ARS 전화로도 청취할 수 있다. 번호는 032-743-2676. [18]

5.8. VOR

VOR은 북쪽에 NCN(인천) VOR 과 남쪽에 WNG(왕산) VOR 2곳으로, 주파수는 113.8MHz / 112.9MHz이다.

6. 시설이용료

1회 이착륙시 다음과 같은 착륙료, 항행안전시설사용료, 항공기상정보료, 1인당 여객공항이용료를 지불한다. (2017년 8월 22일 기준)
[1] 모든 활주로를 폐쇄시키는게 아니라 제3활주로부터 1개씩 재포장 공사를 한다.[2] 4본 이상의 평행활주로에서 인접활주로의 한 쌍은 자기방위를 10으로 나눈 값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를 번호로 붙이고, 다른 한 쌍은 자기방위를 10으로 나눈 값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정수를 붙인다.(국토교통부 고시 비행장 시설 설치기준).[3] 여객터미널 바로 동쪽에 위치해있다.[4] 16.06.06 UPS 항공 61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계기착륙시설이 파손되어 1방향 3개월간 착륙이 제한된 바 있다. 이륙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5] 제1활주로 바로 동쪽에 있다.[6] 2008년 2단계 확장 공사 당시 신조된 활주로이며, 가장 길다. 현 인천공항 여객터미널(제1터미널, 제2터미널 모두) 바로 서쪽에 있는 활주로이다. 지금은 역사속으로 사라진 An-225가 정상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유일한 활주로였다. 군산공항이 활주로를 4,000m까지 연장할 경우 유일하지 않게 되었으나, 지금은 모두 옛말이 되어버린 상황.[7] 노반 공사는 제3활주로와 함께 진행되었으나 제3활주로가 우선 개통되었다. 2010년대 초반에 이미 아스팔트랑 ILS 깔면 바로 쓸 수 있을 정도로 노반이 잘 정리되어있었다.[8] 4, 13, 44번은 결번. 5, 25, 29번은 리모트 게이트. 1-3은 국내선. 실제 장착된 탑승교는 44대가 된다.[9] 116, 120번은 리모트 게이트. 실제 탑승교는 30대 장착.[10] 244번은 결변. 230, 269, 270번은 리모트 게이트. 실제 탑승교는 37대.[11] 2024년 확장공사가 완료되면 34개의 탑승구가 더 추가된다. 번호는 213~229, 271~288로 배정될 가능성이 높다.[12] 지상으로 내려가 버스타고 비행기까지 가서 스텝카로 탑승하던 리모트 게이트에서 스텝카의 역할을 고정된 탑승구가 대신하게 된 구조. 인천공항에는 헤당 탑승구가 4개소 있으며 이런 식으로 탑승교를 확장한 대형 공항이 전 세계에서 종종 보인다.[13] 위치는 국내선에 있으나 국제선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14] 계류장 관제만 담당하기 때문에 다른 2개의 관제탑보다 높게 올라가지 않는다.[15] 현재 2터미널 크기가 1 터미널 보다 작지만 관제탑의 높이가 주 관제탑하고 비슷한데, 이는 추후에 확장 될 2터미널 계류장을 추가로 관제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높게 설계, 및 건설을 한 것이다.[16] 단위는 MHz.[17] Incheon Arrival[18] 유료 서비스다. 이용 전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9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