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한국환경공단 역대 이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박승환 | 제2대 이시진 | 제3대 전병성 | 제4대 장준영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최상목 대행 | |||
제5대 안병옥 | 제6대 임상준 | }}}}}}}}} |
임상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통령비서실 국정과제비서관 | ||||||||||||||||||||||||||||||||||||||||||||||||||||||||||||||||||||||||||||||||||||
윤석열 정부 | |||||||||||||||||||||||||||||||||||||||||||||||||||||||||||||||||||||||||||||||||||||
신설 | → | 초대 임상준 | → | 2대 김종문 |
대한민국 제20대 환경부차관 | |
<colbgcolor=#007db6><colcolor=#fff> 제6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임상준 任相駿 | Lim Sang-jun | |
출생 | 1965년 5월 18일 ([age(1965-05-18)]세) |
충청남도 아산군 탕정면 권곡리 (현 충청남도 아산시 권곡동)[1] | |
현직 |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
재임기간 | 제20대 환경부차관 |
2023년 7월 3일 ~ 2024년 6월 23일 | |
제6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 |
2025년 1월 31일 ~ 현직 | |
학력 | 온양동신국민학교 (졸업) 아산중학교 (졸업) 천안중앙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 83 / 학사)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석사) |
병역 | 육군 병장 만기전역 (1985년 11월 18일 ~ 1988년 2월 25일) |
약력 | 제37회 행정고시 합격 국무총리실 공보총괄행정관 국무조정실 공공갈등관리지원관 국무조정실 영유아교육보육통합추진단 부단장 국무조정실 농림국토해양정책관 국무조정실 기획총괄정책관 대통령비서실 국정과제비서관 (윤석열 정부) 제20대 환경부차관 (윤석열 정부) 제6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現 공공기관인, 前 정무직 공무원.현재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이며 공직 재임 시절 환경부차관을 지냈다.
2. 생애
1965년 5월 18일 충청남도 아산군 탕정면 권곡리(現 아산시 권곡동)에서 태어났다. 온양 동신초등학교, 아산중학교, 천안중앙고등학교 졸업 후 1983년 3월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83학번)에 진학했다. 1985년 11월 18일 육군에 입대하여 1988년 2월 25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 1990년 2월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1993년 12월 제37회 행정고시 일반행정직렬에 합격하여 1994년 4월 공직에 입직했다. 1999년 8월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공직 생활의 대부분을 국무총리실 및 국무조정실에서 보냈다. 국무조정실 영유아교육보육통합추진단 부단장을 거쳐 2001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국무조정실 인사팀장, 2004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 2005년 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국무총리실 국제협력과장·정책공보과장·의정과장, 2009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주싱가포르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 등으로 재직했다. 2012년 2월 국무조정실로 복귀하여 2013년 4월까지 공보총괄행정관, 2013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갈등관리지원관, 2018년 2월부터 2020년 5월까지 농림국토해양정책관, 2020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기획총괄정책관 등 과장 및 국장급 보직을 거쳤다.
2022년 3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기획조정분과 전문위원으로 활동했고,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022년 7월 대통령비서실 국정과제비서관으로 발탁되어 실장급으로 승진하였다.
2023년 6월, 윤석열 정부의 첫 개각에서 차관급으로 승진 발탁될 것이 전망되었는데 본 부처인 국무조정실의 차장이 아닌 환경부의 차관으로 발령이 나 2023년 7월 3일 영전하였다.
2023년 9월부터는 대통령비서실 소속으로 첫 개각에서 차관으로 동시에 발탁된 박성훈 해수차관과 김오진 국토차관과 함께 총선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
다만 총선 출마를 위해 차관직을 내려놓은 박 전 차관, 김 전 차관과 달리 총선에 불출마하며 내각에 잔류하였다.
2024년 6월 20일, 환경부 출신인 이병화 대통령비서실 기후환경비서관이 후임 환경부차관으로 임명되면서 일요일인 6월 23일을 끝으로 공직에서 퇴임하였다.
2025년 1월 24일,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의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