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555,#aaa | 초대 김의택 | 권한대행 김정두 | 2대 임채홍 |
권한대행·3대 최인영 | 권한대행 조기항 | 4대 김응조 | |
신한민주당 총재 ▶ | }}}}}}}}}}}}}}}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임채홍 林采洪 | |
| |
<colbgcolor=#4CA459><colcolor=#fff> 출생 | 1936년 10월 7일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1] 서평마을 302번지[2] | |
사망 | 2017년 6월 1일 (향년 80세) |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 영락동산 |
본관 | 나주 임씨[3] |
호 | 사산(舍山) |
학력 | 함양수동초등학교 (졸업) 함양중학교 (졸업) 진주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정치학 / 학사) |
종교 | 개신교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1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사산(舍山), 종교는 개신교이다.2. 생애
1936년 10월 7일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에서 아버지 후암(後菴) 임형택(林馨澤, 1885.3.4. ~ 1935.2.20.)[4]과 어머니 밀양 박씨(1900 ~ 1951.11.28.)[5] 사이에서 5남 3녀 중 다섯째 아들, 유복자로 태어났다. 함양수동초등학교, 함양중학교, 진주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에서 고위지도자과정을 수료하였다.이후 재건국민운동 충청남도교육원 교수, 경상남도 부산시장 비서관, 서울지방국세청 징세과장, 국토통일원장관 비서관, 국토통일원 연수소 교무과장, 국토통일원 정세분석과장, 국토통일원 상임위원 등을 지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에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정우식에 밀려 탈락하였다. 이후 국토통일원 상임연구위원을 지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에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다가 노인환에 밀려 탈락하였고, 이후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노인환 후보와 신민당 김동영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권익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3년 민권당 김의택 총재가 별세하자 전당대회에서 후임 총재로 선출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권익현 후보와 신한민주당 김동영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1986년 유한열이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민중민주당을 창당할 때 참여하였다. 1987년 통일민주당 분당 이후 민중민주당이 신한민주당에 흡수되자 신한민주당에 있다가 같은 해 치러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신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노인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서 노인환에 밀려 탈락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노인환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권익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대중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강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김을동과 함께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강두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연합을 탈당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2017년 6월 1일(목), 10:30 쯤에 사망했다. 장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에 위치한 영락동산이다.
3.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민주공화당| | 1973 - 1978 | 정계 입문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78 - 1981 | 탈당[6] |
| 1981 - 1985 | 창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85 - 1986 | 정당 해산 |
| 1986 - 1987 | 창당 |
| 1987 | 합당[7]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87 | 탈당[8] |
[[신민주공화당| | 1987 - 1990 | 창당 |
[[민주자유당| | 1990 - 1992 | 합당[9]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2 | 탈당[10] |
[[통일국민당| | 1992 | 창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2 - 1997 | 탈당[11] |
[[새정치국민회의| | 1997 - 2000 | 입당 |
[[새천년민주당| | 2000 - 2002 | 합당[12]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2 | 탈당[13] |
| 2002 - 2004 | 입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4 | 탈당[14] |
[[자유민주연합| | 2004 | 입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4 - 2017 | 탈당 정계 은퇴 사망 |
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거창·산청·함양[15]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554 (17.43%) | 낙선 (3위)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거창·산청·함양[16] | | 23,103 (18.25%) | 당선 (2위) | 초선 [17]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11,373 (8.78%) | 낙선 (3위)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산청·함양 | [[신민주공화당| | 17,117 (25.87%) | 낙선 (2위)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통일국민당| | 15,623 (25.54%) | 낙선 (3위)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989 (30.23%) | 낙선 (2위)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함양·거창 | [[새천년민주당| | 11,003 (18.26%) | 낙선 (2위)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산청·함양·거창 | [[자유민주연합| | 2,399 (3.20%) | 낙선 (3위) |
역대 선거 벽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9구 - 거창군·산청군·함양군)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10구 - 거창군·산청군·함양군) |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거창군·산청군·함양군)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산청군·함양군)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산청군·함양군)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산청군·함양군)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함양군·거창군)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마산 | 울산·울주 | 진주·진양·삼천포·사천 | 창원·진해·의창 |
조정제 백찬기 | 이규정 고원준 | 안병규 조병규 | 배명국 김종하 | |
충무·통영·거제·고성 | 의령·함안·합천 | 밀양·창녕 | 김해·양산 | |
이효익 조형부 | 유상호 조일제 | 신상식 노태극 | 이재우 신원식 | |
하동·남해 | 거창·산청·함양 | |||
박익주 이수종 | 권익현 임채홍 | |||
◀ 제10대 제12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박정수 | 심헌섭 | 이규정 | 이용택 | 임재정 |
임채홍 | }}} }}}}}} |
[1] 나주 임씨 집성촌이다. 임채호 전 경상남도 행정부지사도 이 마을 출신이다.[2]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공보물[3] 도정공파(都正公派)-교수공계(敎授公系) 31세 채(采) 동(東) 근(根) 항렬.[4] 자는 여경(汝卿).[5] 박병기(朴炳琪)의 딸이다.[6]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7] 신한민주당으로 흡수 합당.[8]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9]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10]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11]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2] 새천년민주당으로 흡수 합당.[13] 한나라당 입당을 위한 탈당.[14] 자유민주연합에서의 출마를 위한 탈당.[15] 제9선거구[16] 제10선거구[17]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