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기능별 국가행정조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가나다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건설부 | 공안부 | 과학부 | 교육부 | 교통부 | ||||
국방부 | 내무부 | 노동부 | 농업부 | 문화부 | |||||
법무부 | 보건부 | 복지부 | 상공부 | 수산부 | |||||
식민지부 | 여성부 | 외무부 | 이민부 | 자원부 | |||||
재무부 | 체신부 | 환경부 | }}}}}}}}} |
1. 개요
자원부(資源部, Ministry of Resource)는 기능별 국가행정조직 중 하나로 국가의 자원 및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부처이다. 경우에 따라 동력부(動力部)나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 혹은 범위를 좁혀 천연자원부, 핵자원부(원자력부) 등으로도 명명된다.1970년대 오일 쇼크를 전후하여 에너지 수급이 중요한 경제 문제로 떠오르며 여러 국가에서 자원부나 에너지부가 신설되기도 했다. 작은 정부를 표방하는 국가의 행정부에서는 에너지 산업의 규모가 다른 산업보다 압도적으로 크진 않기 때문에 상공부나 환경부와 통폐합되어 있는 경우도 보인다. 대한민국에서도 한때 에너지 업무를 관장하는 동력자원부가 존재했다.
2. 업무
- 전력 관리
- 석유 자원 관리
- 원자력 및 핵무기 관리: 미국, 러시아, 중국 등 핵보유국에선 원자력 및 핵무기 전문가들이 에너지/자원부에 포진하여 국방부/외무부와 협력한다.
- 광업 관련 중공업: 농업부가 농자원의 수확 및 가공에 관련된 경공업도 담당하는 것처럼, 자원부는 자원을 채굴 및 가공하는 중공업을 맡기도 한다.
3. 국가별 자원부
- 러시아 에너지부
-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 중국 자연자원부
- 태국 에너지부
- 필리핀 에너지부
- 라오스 에너지광산부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
- 일본 자원에너지청
- 미국 에너지부
- 북한 전력공업성/석탄공업성/원자력공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