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20:46:11

제주극동방송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지상파
겸영국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표준FM_신로고.svg파일:MBC라디오_White.svg | 파일:MBCFM4U_신로고.svg파일:MBCFM4U_White.svg) | 파일:EBS 로고.svg (파일:EBS FM 로고.svg)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파일:KNN 로고.svg (파일:KNN 파워FM.png | 파일:KNN 러브FM.pn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 라디오 로고.png (독립)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표준FM | 음악FM)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파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파일:가톨릭평화방송 로고.svg (파일:cpbc FM 로고.svg)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보도전문방송
파일:YTN 라디오.png
교통방송
파일:TBS FM 로고.svg | 파일:TBN 교통방송 로고.png
국군방송
파일:국방홍보원 MI.svg (파일:KFN 로고.png)
공동체 라디오
파일:관악FM.png | 파일:마포FM.png | 파일:성남FM.png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 단원FM | SoneFM | 파일:금강FM.gif |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파일:연제FM 로고.png | 전주FM
국내유관단체 운영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 파일:TBS eFM 로고.svg |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 | 파일:GGN 글로벌광주방송 로고.png
주한미군 직영
파일:AFN The Eagle.jpg | 파일:AFN Thunder AM.png
DMB
인터넷
파일:U-KBS MUSIC 로고.svg | 파일:올댓뮤직.jpg | 파일:SBS V-Radio.png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관련 틀과 문서
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 공동체 라디오 | 라디오 주파수/대한민국
방송 프로그램 문서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

파일:극동방송 아이콘.svg 네트워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파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수도권
파일:영동극동방송 로고.svg파일:영동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강원 영동
파일:대전극동방송 로고.svg파일:대전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대전, 충청
파일:부산극동방송 로고.svg파일:부산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부산
파일:창원극동방송 로고.svg파일:창원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경남
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svg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대구, 경북 일부
파일:울산극동방송 로고.svg파일:울산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울산
파일:포항극동방송 로고.svg파일:포항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경북 동해안
파일:광주극동방송 로고.svg파일:광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광주, 전남 중북부
파일:목포극동방송 로고.svg파일:목포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전남 서남부
파일:전남동부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전남동부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전남 동부
파일:전북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전북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전북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제주
}}}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의언론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신문 제주일보 한라일보
지상파 방송 KBS제주 제주MBC JIBS 제주방송
종교방송 제주CBS febc 제주극동방송 BBS 제주불교방송
기타 방송사 TBN 제주교통방송 KCTV제주방송
}}} ||

제주권의 지상파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V방송 Ch5 JIBS | Ch9 KBS1 제주 | Ch11 제주MBC
라디오방송 KBS제주(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 제주MBC(표준FM/FM4U) | JIBS 뉴-파워FM
제주CBS | febc제주극동방송 | TBN 제주교통방송 | BBS제주불교방송 | 제주국악방송 | 서귀포국악방송 | Arirang Radio
}}}}}}}}} ||

<colbgcolor=#221e1f><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제주극동방송
FEBC jeju
극동방송제주지사
}}}
대한민국 선교중심
명칭 국문 <colbgcolor=#fff,#2d2f34>FEBC제주극동방송
한문 FEBC濟州極東放送
설립 1971년 12월 8일 ([age(1971-12-08)]주년)
개국 라디오 1973년 6월 30일
채널 제주극동방송
지사장 채평기
링크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
위치 및 소재지

FEBC 제주극동방송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가문동상4길 67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 화이트.svgfebc 제주극동방송
극동제주AM방송국
(극동제주표준FM방송국)
}}}
개국
<colbgcolor=#6e6063> 1973년 6월 30일 (아세아방송)([age(1973-06-30)]주년)
1998년 1월 19일 (아세아표준FM방송)([age(1998-01-19)]주년)
호출
부호
HLAZ (제주도)[1]
HLAZ-SFM (제주도)
주파수
156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21e1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제주도)]
101.1㎒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21e1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서귀포)]|104.7㎒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21e1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제주)]
방송
품질
'''
모노럴 사운드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21e1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언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방송구역 제주특별자치도 지역[2]
운영주체 파일:제주극동방송 로고.svg 편성국
방송책임
편성
채평기 (극동방송제주지사장)
소유 (재)극동방송
1. 개요2. 역사3. 현황4. 송신소

[clearfix]

1. 개요

제주극동방송은 극동방송의 지역 지사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및 부속 도서를 가청권으로 삼고 있다.

2. 역사

파일:舊 오키나와 극동방송 로고.png
오키나와 극동방송 로고(1972~1984, 일반 민영방송 시기)

지금의 제주극동방송은 옛 오키나와 극동방송의 종교방송 기능을 대체할 목적으로 세워졌다. 오키나와가 미국령이던 시절인 1958년에 개국했는데, 지리적인 이점을 이용해 일본어 방송(호출부호 KSDX)과 영어 방송(호출부호 KSAB), 중국어 방송(호출부호 KSBU)을 송출했다. 당시도 그랬지만, 지금도 일본에서는 종교전문방송을 금지하고 있다.[3] 이후 1972년에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넘어가면서 오키나와 극동방송 중 일본어 방송은 종교방송을 중지하고 일반 민영방송으로 전환했다. 당시 주파수는 1251KHz, 호출부호는 JOTF. 그러다가 1984년 8월 31일을 끝으로 중파방송을 중단하고 9월 1일에 FM 방송을 개시하면서 이름을 FM 오키나와[4]로 바꿨다. 한편 중국어 방송은 1972년 일본의 오키나와 복귀와 함께 폐지됐으며 영어 방송은 JOFF라는 새 호출부호를 부여받고 5년 간 방송을 계속하다가 1977년 폐지됐다.

1970년에 아세아방송으로 창립되었으며, 1973년 6월 30일에 호출부호 HLDA로 개국하여 1980년 1월 1일에 호출부호를 HLAZ로 변경, 2001년에 이름을 제주극동방송으로 변경했다.

3. 현황

파일:FEBC 라디오 이유 로고.png 파일:FEBC 라디오 테오스 로고.png
중국어 방송(라디오 이유) 러시아어 방송(라디오 테오스)
중파방송은 야간에 멀리서도 수신이 가능한 특성을 이용해 외국어 방송을 한다. 한국시각으로 오후 8시부터 9시 30분과 10시 45분부터 익일 오전 1시 30분까지는 중국어 방송(이유 라디오[5]), 오후 9시 30분부터 10시 45분까지는 일본어 방송, 오전 1시 30분부터 2시 정각까지는 러시아어 방송(라디오 테오스[6])을 송출한다.

현재 극동방송의 일본어 프로그램은 일본 도쿄에 있는 종교법인 일본 FEBC에서 제작하며, 제주극동방송 중파방송에서 오후 9:30에서 오후 10:45 사이에 편성하고 있다. 다만 일본어 프로그램 방송시에는 한국향이 아닌 일본향으로 송출하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수신 감도가 다소 약하거나 불안정하며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룡정시에서 송출하는 연변인민방송 중국어 뉴스종합방송 전파[7]와 겹쳐 수신이 곤란한데 중국향으로 송출하는 중국어 프로그램 방송시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중국 정부가 기독교탄압하고자 연변인민방송을 제주극동방송(특히 중국어 방송)에 대한 전파 방해 역할로 하기 위해 주파수를 고의로 설정한 것.

중파방송의 경우 중국 동북지역 뿐만 아니라 북한에서도 청취 가능하며, 1990년대에 제주극동방송을 듣고 탈북한 북한 고위 장교(탈북 당시 중좌)도 있다.관련 영상 이 사연의 주인공인 심주일 씨가 탈북 이후 실제 제주극동방송 스튜디오를 방문하자 제작진 전부 눈물바다가 되었다고 한다. 심주일씨는 지금도 목회자 일을 하시며 극동방송에서 대북방송 일을 하고 있다.

중파방송에서의 한국어 방송은 매일 오전 2시부터 오후 8시까지 송출하며 오전 2시 정각부터 3시 정각까지는 미국의 소리, 오후 7시 정각부터 7시 55분[8]까지는 자유아시아방송 한국어 방송을 재송출하므로 표준FM방송과 동일한 편성은 일 16시간 송출한다. 표준FM방송은 24시간 한국어로 방송한다.

2023년 어떤 시기부터 공식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중파방송 온에어와 편성표가 제공되지 않게 되었다.

현재 제주시 송신소가 견월악에 위치하지 않은 유일한 제주권 FM방송이다.[9]

시보에서 호출부호를 고지할 때 Z는 미국식 발음인 지로 읽는다. #

4. 송신소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소재지 비고
애월 1566㎑ D250㎾ 제주시 지향성 송출
한국어, 러시아어 방송시 지향각: 352도(KST 0130-2000)
중국어 방송시 지향각: 265도(KST 2000-2130, 2245-0130)
일본어 방송시 지향각: 80도(KST 2130-2245)
연동 104.7㎒ 1㎾
삼매봉 101.1㎒ 서귀포시 출력 증강(90W → 1kW, 출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clearfix]
[1] 1980년 전까지는 HLDA를 부여받였으며 변경 이후 HLDA는 현재 FM방송 대역만 부산불교방송이 사용 중이다.[2] 중파방송은 남해안 일대를 포함하며, 야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일부,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 일부, 일본 일부, 대한민국 이북 5도와 중부 지방도 목표 가청권에 포함된다.[3] 종교 편성의 경우는 분카 방송에서 아침 시간대에 종교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걸 보면 암흑 시간대에 한해 그렇게 철저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4] FM 도쿄를 중심으로 한 전국 FM 네트워크인 일본 FM 방송 협의회 소속이며 주파수는 오키나와의 현청 소재지인 나하 기준으로 87.3MHz이다. 호출부호는 JOIU-FM.[5] 필리핀 송출의 단파방송인 량유 라디오(良友电台)도 송출하고 있으며 홈페이지 명칭은 단파방송 명칭인 량유 라디오로 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홍콩에서 제작 중이다.[6] 필리핀 송출의 단파방송(9920KHz)도 송출한다.[7] 다만 출력은 제주극동방송보다 훨씬 약한 25kW인 점이 다행.[8] 7시 55분부터 8시까지는 한국어 방송 종료를 안내한다.[9] BBS 제주불교방송, TBN 제주교통방송, 제주국악방송은 개국 초기엔 KT한라산(관음사) 송신소에서 송출했으나 현재는 모두 견월악으로 송신소를 이전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