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transparent>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802224><colcolor=#fff> 국내선 | ||
| 아시아 | <colbgcolor=#802224><colcolor=#fff> 일본 | ||
| 중국 | |||
| 홍콩·마카오 | |||
| 대만 | |||
| 동남아 | |||
| 태평양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1. 개요
제주-쿠알라룸푸르 항공노선은 제주국제공항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잇는 항공노선이었다.2. 특징
과거에 존재했던 제주-동남아 직항 노선으로 제주도민들의 말레이시아 관광 및 말레이시아인들의 제주 관광 수요가 주를 이루었던 노선이었다. 그리고 제주~싱가포르 노선를 이용해 싱가포르 관광도 연계되기도 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단항됐다. 단항된 이후에는 인천-쿠알라룸푸르 노선, 제주공항의 싱가포르 노선과 홍콩 노선을 경유해서 가야 한다.3. 역사
3.1. 2010년대
2013년 4월 22일, 에어아시아 엑스 대표가 제주~쿠알라룸푸르 노선에 취항한다고 밝혔다.#2017년 12월 13일, 에어아시아 엑스가 제주~쿠알라룸푸르 노선에 신규 취항했다.# 당시 에어아시아 엑스는 주 4회(월/화/수/토)로 운영한 적이 있었다.#
2018년 3월 19일, 제주도가 말레이시아 국제관광전에 참가해 제주 관광을 홍보했다.#
3.2. 2020년대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 팬데믹이 퍼지자 에어아시아에서 제주 노선을 3월부터 감축했다.# 3월 이후부터는 에어아시아의 제주-쿠알라룸푸르 노선이 중단됐다.#2022년 12월 13일, 제주관광공사가 말레이시아에서 제주 관광을 홍보하면서 제주-말레이시아 직항 노선 개설을 하겠다고 밝혔다.# 제주관광설명회에서 말레이시아 측이 제주 직항 노선이 조속히 개설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2024년 2월 25일, 오영훈 지사가 제주~쿠알라룸푸르 직항 노선 구축이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7월 13일, 에어아시아 엑스에서 제주-쿠알라룸푸르 노선 재취항을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12월 3일, 바틱 에어 말레이시아 CEO가 제주-쿠알라룸푸르 노선에 취항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2025년 9월 6일, 제주도가 말레이시아 관광객 유치 및 직항 노선 개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4. 운항했던 항공사
2025년 현재 운항하는 항공사는 없다. 과거에는 에어아시아 엑스에서 제주-쿠알라룸푸르 노선을 운항했다.- 에어아시아 엑스: 주 4회로 운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