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 인천 | ↔간사이 | ↔나리타 | ↔하네다 | ↔후쿠오카 |
↔기타큐슈 | ↔나가사키 | ↔시즈오카 | |||
↔가고시마 | ↔나고야 | ↔삿포로 | ↔오키나와 | ||
김포 | ↔간사이 | ↔하네다 | |||
부산 | ↔간사이 | ↔나리타 | ↔삿포로 | ↔후쿠오카 | |
제주 | ↔간사이 | ↔나리타 | |||
대구 | ↔간사이 | ↔나리타 | ↔후쿠오카 | ||
청주 | ↔후쿠오카 | ||||
한국-일본 간 선박편 둘러보기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1. 개요
제주-후쿠오카 항공노선은 제주국제공항과 후쿠오카 공항을 잇던 항공노선이었다.2. 역사
1990년 8월 28일, 제주도에서 열린 한일항공회담에서 제주-후쿠오카 노선을 주5회로 신설하기로 합의했다.#1991년 4월 24일, 아시아나항공에서 주4회(화/목/금/일)로 운항한다고 밝혔고 당시에 B737-400로 운항했다.#1#2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후쿠오카에 첫 취항한 항공사였다.
2006년 3월 27일, 대한항공이 주2회(금/일)로 후쿠오카 노선 운항을 한다고 밝혔다.# 당시 대한항공은 A300기종으로 운항했다.#
2008년 1월, 대한항공이 제주-후쿠오카 노선을 단항했다.#
2014년에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후쿠오카 노선을 단항했다.
2016년 8월 8일, 제주관광공사 측이 후쿠오카 노선 재개를 위해 규슈관광추진기구와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1#2
2017년 5월 11일, 진에어가 제주-후쿠오카 노선을 부정기로 운항했다.#
2018년 8월 16일, 제주항공이 9월에 주4회(월/수/금/토) 일정으로 부정기편을 취항한다고 밝혔다.#
2019년 5월 13일, 제주항공이 7월부터 후쿠오카 노선 재개를 한다고 밝혔다.#
6월 11일, 제주항공에서 제주-후쿠오카 노선을 재개한다고 밝히자 제주관광공사 측에서는 후쿠오카 노선 홍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7월 2일, 제주항공이 주3회(화/목/토)로 운영하는 후쿠오카 노선을 재개하면서 환영식을 가졌다.#1#2 제주-후쿠오카 노선 복항은 4년 8개월만에 열렸다.#
12월 20일, 제주항공이 후쿠오카 노선 운항을 잠시 중단한다고 밝혔다.#1#2
2022년, 단항되었던 제주-후쿠오카 노선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주3회 슬롯을 배정받았다.#1#2
8월 30일,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다케다 가츠토시 영사와 만나 제주와 오사카, 후쿠오카, 나리타, 나고야 직항노선 재개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