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2:47:55

존 미어샤이머

미어샤이머에서 넘어옴
존 조셉 미어샤이머
John Joseph Mearsheimer
파일:Mearsheimer.jpg
<colbgcolor=#e4541f><colcolor=#fff> 출생 1947년 12월 14일 ([age(1947-12-14)]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현직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 교수
학력 파일:미국육군사관학교 문장.svg 미국육군사관학교 (학사)
파일:USC logo.png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 (국제관계학 / 석사)
파일:코넬 대학교 문장.svg 코넬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와 경력3. 공격적 현실주의4. 주요 정견5. 기타

[clearfix]

1. 개요

[1]

미국정치학자. 시카고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스티븐 월트와 함께 현존하는 현실주의 계통 국제정치학 연구, 이론의 대표적 인물들 중 한명이며, 특히 2000년대 초에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를 주창했다. 이를 통해 앞서 활동한 현실주의 이론의 선구자 한스 모겐소, 케네스 월츠 등과는 구별되는 독창성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 생애와 경력

1947년 12월 14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나이 17세에 미 육군에 입대했고, 이듬해에는 미국육군사관학교 입교, 1970년에 졸업하였다. 이후 5년 동안 미 공군[2]에서 장교로 복무한 후, 1974년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리고 1980년 코넬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2년부터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3. 공격적 현실주의

"무정부적 상태의 국제정치에서는 밤비보다 고질라가 되는 편이 낫다.”(In the anarchic world of international politics, it is better to be Godzilla than Bambi.)
- <포린 폴리시> 2005년 1-2월호 기고문 중에서 #
파일:tragedy.jpg

그의 대표적인 연구 업적으로 손꼽히는 '공격적 현실주의'는 2001년에 출간된 저서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이 책에서 미어샤이머가 제시하는 공격적 현실주의의 주요 논리는 다음과 같다.파일:realism1.jpg

미어샤이머의 논리는 앞선 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의 선구자 모겐소, 월츠의 주장이 혼재된 듯한 특징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국가의 최우선적 이익'으로 스스로의 안전을 규정하고, 그 배경으로 '국제정치의 무정부적 상태'를 지목한 것은 월츠의 기존 구조적 현실주의와 일맥상통한다.[5] 하지만 미어샤이어는 여기에 '불확실성'이라는 변수를 적용시켜 안전을 위해서도 최대한의 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이 부분은 단순히 상대방과의 세력균형을 달성할 수 있는 최소한도의 힘이면 충분하다는 월츠의 주장과 상반되며, 도리어 모겐소의 전통적 현실주의에서 주장하는 바와 더 가깝다.[6]

이러한 미어샤이머의 논리는 국제질서의 향방에 대해 다분히 비관적인 관점, 전망을 상정한다. 각국이 단순히 경쟁, 적대 국가에 대한 세력균형으로 만족하지 않고, 최대한의 힘을 갖추기 위해 행동한다면, 그 결과는 '끊임없는 경쟁'과 '강자에 의한 지배'로 대표되는 살벌한 국제질서의 연속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의 저서명에 '비극'이라고 쓴 이유도 이 점을 반영한 것이다.

눈여겨 볼 점은 미어샤이머가 그러한 국제정치의 '비극적'인 특징을 잘못된 것, 혹은 바로잡아야 할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불편하지만 어쩔 수 없다. 그게 현실이다."라는 식의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이론은 소수지만 국제질서를 실질적으로 움직일 힘이 있는 강대국들의 행동을 설명, 예측하는 데 결코 적지 않은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바로 이 점에서 그의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을 마냥 외면, 무시할 수도 없는 것이다.

4. 주요 정견


(2018년 3월 한국고등교육재단 초청으로 열린 미어샤이머의 특별강연 영상)

이런 그의 냉정한 국제정치관은 주요 국제적 현상들에 대한 주장들에서도 나타난다.

1991년의 걸프 전쟁 당시 여러 학자, 언론들이 베트남 전쟁에서와 같은 다수의 사상자 발생을 우려했지만, 그는 뉴욕 타임즈 등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미국이 적은 희생으로 단기간 내에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예측은 현실화되었다. #

반면 2003년 이라크 전쟁이 불필요한 전쟁이라고 반대했고, 이라크의 위협은 봉쇄 정도로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의 동맹 이론 연구 권위자인 스티븐 월트 교수와의 공동 기고를 2003년에 발표하여 이라크 전쟁을 비판했다.
이라크를 공격하는 것은 테러와의 전쟁을 저해하고, 알카에다와의 전쟁에서 인력과 자금과 관심을 돌릴 것입니다. 이라크를 점령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1달러는 해외에서 테러 네트워크를 해체하거나 국내 보안을 개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1달러입니다. 침공과 점령은 이슬람 세계에서 반미주의를 증가시키고, 오사마 빈 라덴이 더 많은 추종자들을 얻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방전쟁은 또한 미국이 불량배라는 인식을 강화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글로벌 테러를 물리치기 위해 필요한 국제적 통합을 위태롭게 할 것입니다.
Keeping Saddam Hussein in a Box

이후 스티븐 월트와는 2006년 이스라엘 로비라는 책을 함께 쓰기도 했다.[7]

미어셰이머는 2009년에 스티븐 월트와 함께 foreignpolicy에 공동 기고한 글에서 이라크 전쟁은 불필요한 전쟁이라고 비판하면서, 사담 후세인은 비이성적이고 무모하며 침략적인 잔혹한 살인마가 아니라, 나름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정책 결정을 한 독재자이며, 사담 후세인은 걸프전에서 쿠웨이트를 침공하기 전에도 미국 대사인 에이프릴 글래스피 대사에게 미국의 의사를 확인하였으나, 미국은 사담의 쿠웨이트 침공에 개입하지 않을 것처럼 답변했고, 이것이 설령 미국이 의도한 것은 아니더라도, 사담 후세인이 쿠웨이트를 침공하는 오판을 내리도록 만든 것은 분명하다고 말한다.
Saddam reportedly decided on war sometime in July 1990, but before sending his army into Kuwait, he approached the United States to find out how it would react. In a now famous interview with the Iraqi leader, U.S. Ambassador April Glaspie told Saddam, “[W]e have no opinion on the Arab-Arab conflicts, like your border disagreement with Kuwait.” The U.S. State Department had earlier told Saddam that Washington had “no special defense or security commitments to Kuwait.” The United States may not have intended to give Iraq a green light, but that is effectively what it did.
An Unnecessary War

미어샤이머는 2016년에 스티븐 월트와 공동으로 역외 균형전략에 대해서 포린 어페어즈에 기고하였다.The Case for Offshore Balancing

2000년대에 Foreign Policy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의 부상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하여,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와 논쟁하였다. 미어샤이머는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에 따라서 중국과 충돌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브레진스키는 중국이 경제성장을 추구하므로 군사적 충돌을 피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Clash of the Titans

스티븐 월트를 비롯한 다른 현실주의 학자들처럼,# 미어샤이머 역시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 세계 질서가 붕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이 자유주의적 패권이라는 불가능한 꿈을 추구하다가 수렁에 빠지고 약화되었으며, 더 이상 미국 유일패권의 단극 질서가 아니라, 세계가 다극 질서로 접어들고 있다면서 미국 쇠퇴론의 논지를 주장한다. 다극 질서의 3개의 주요 강대국으로 미국, 중국, 러시아를 지목한다.Bound to Fail: The Rise and Fall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앨리슨(Graham Allison), 미어샤이머(John J. Mearsheimer), 월트(Stephen Walt), 슈웰러(Randall Schweller) 등 자유주의적 패권 기획을 비판해 온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자들은 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냉전기의 체제 경쟁, 탈냉전기 미국의 우위 등 특수한 역사적 조건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형성되고 확장될 수 있었던 예외적인 질서라고 주장했다. 이들에게 자유주의 질서의 위기는 역사적 예외가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 불과했다.
공민석. 2023. "미국과 세계질서의 변화: 자유주의 질서의 위기와 미국의 딜레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의 변화>, 33p.

동아시아 질서에 대해서는 중국이 자연스럽게 지역 패권을 추구하려 할 것이고, 그 과정은 평화로운 것이 아닌 주변국들과의 충돌을 수반하는 불안정한 양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또한 미국도 이에 대응해서 중국을 겨냥하는 봉쇄 정책을 실행하려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같은 맥락에서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에 관해서도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북한의 입장에서 핵무기 보유는 당연한 결과이며, 이는 상대국을 믿을 수 없는 불신에서 비롯된다고 말했다.#

1990년대 초 우크라이나가 구 소련에서 독립한 후 자국 영토에 배치한 핵무기를 자발적으로 포기하자, 거의 드물게 우크라이나의 결정을 비판했다. 바로 국경을 인접한 러시아가 핵무기를 앞세울 경우 대응할 억지 수단을 잃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이러한 그의 우려는 2014년 크림 반도 합병, 동부 우크라이나 내전을 비롯한 러시아의 개입으로 입증되었다. # 이후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도 우크라이나의 핵 문제를 언급, 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면서 물려받은 핵무기를 포기했기 때문에 재래식 무기의 우위를 앞세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동부 침공이나 크림 반도 합병에 대처할 수단이 없다”고 지적했다.#[8]

그러나 한편으로 미어샤이머는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은 미국, 서유럽을 위시한 NATO의 동유럽 확장에 따른 위협 인식의 증대 때문이라면서 서방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크림 반도 합병의 이유로, 크림 반도의 세바스토폴에는 소련 시절부터 해군기지가 있어왔는데 우크라이나와 임대협정을 맺은 상태로 러시아 병력이 주둔해 있었다. 우크라이나가 NATO에 가입하게 되면 러시아 병력은 철수해야하고, 해군기지를 서방에 준다는 것은 러시아에게는 절대 허용할 수 없는 일이었기에 강제 합병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언론인 블라디미르 포즈너도 같은 얘기를 하고 있다.

포린어페어 기고문#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이 전쟁은 NATO가 우크라이나를 가입시키려 하여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했기 때문에 발발한 것이며 따라서 전쟁의 궁극적 책임은 푸틴이 아니라 NATO에게 있고, 미국과 서방의 과도한 경제 제제는 러시아를 물러서게 하기는 커녕 핵전쟁의 위협만 높이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 판단의 객관성을 떠나 미어샤이머는 서방진영 친러주의자[9]들과 현실론자[10]의 근거가 되어버렸고, 가치판단을 배제하려는 그의 성향과 별개로 가치판단의 최전선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어버렸다. 이코노미스트 지 기고문

이후로도 "중국을 억제하기 위해 러시아를 협력자로 둬야 한다"고 강변하며[11][12] 인도가 중립을 표방하며 대러 제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않는 데 대해 미국과 조 바이든 대통령은 당연히 서운한 마음이 있겠지만 인도가 러시아 손을 놓지 않는 이유는 인도와 중국 간 국경 분쟁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를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이는 중국을 억제하려는 미국의 이해와도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있고 "미국이 인도와 러시아 사이 틈을 벌리는 것은 전략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면서 "오히려 그들(인도와 러시아)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실에 기뻐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차 학살 이후인 2022년 4월 9일에도, "미국이 민간인을 무장시켜 러시아군을 공격하게 만들었으므로, 러시아군이 어쩔 수 없이 민간인을 공격할 수밖에 없었단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다" 라는, 정치학과 전혀 무관한,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을 옹호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을 빚었다. (1:01:00~)

파일:delusion.jpg

2010년대 말에 들어서 탈냉전 이래 20년이 넘도록 지속되어 온 민주평화론, 자유무역 등을 비롯한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적 국제질서(liberal international order)가 위기를 맞은 것에 대해서도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란 거대한 환상일 뿐이었다"라고 냉소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그의 이러한 관점은 2018년 출간된 저서 <거대한 환상>(The Great Delusion)에서 잘 나타난다. # 국내에선 <미국 외교의 거대한 환상>이라는 아주 직설적인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북한의 핵무기 포기 가능성에 대해서 냉소적으로 바라보며 # ##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이유가 무엇이냐고 되물으면서 북한이 핵무기를 스스로 포기할 가능성은 매우 낮거나 아예 없다고 밝혔고 그 이유로 핵무기가 궁극적인 억지력을 제공하기 때문임을 거론했다.# 오히려 북한의 핵무장이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에서 충돌할 가능성을 줄이는 등 한반도의 안정에 기여한다고 주장하였고 이 주장은 여러 사람의 반발을 받았다.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해서는 이제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팔레스타인을 강제 합병하려고 할 것이며 때문에 팔레스타인이 독립된 국가로 수립되는 것을 절대 찬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했다.

5. 기타



[1] 미어샤이머가 출연한 인터뷰 영상[2] 미 육사 졸업생이 미 육군이 아닌 미 공군이나 미 해군에서 복무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3] 일반적인 국제정치학에서 쓰이는 '이성적', '합리적'이라는 표현과 같은 의미다.[4] 여기까지는 월츠와의 주장과 상통한다.[5] 미어샤이머는 월츠의 구조적 현실주의를 '방어적 현실주의'라고 지칭한다.[6] 모겐소도 국가가 최대한의 힘을 추구한다고 주장하지만, 그 배경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힘든 '인간의 본성적인 정복 욕구'로 규정했다.[7] 월트는 '위협균형'(balance of threat) 개념에 기반을 둔 방어적 현실주의를 주장하는 인물로 학문적으로는 미어샤이머보다 케네스 월츠에 더 가깝다. 그러나 월트는 하버드로 옮기기 전인 1989~1995년 시카고대 교수로 재직하며 미어샤이머와 동료로 일했고, 이후에도 자주 공동으로 저작을 발표하고 있다.[8] 다만 반론도 있는데 우크라이나의 핵무기는 Permissive Action Link처럼 실제 운용에 필수적인 시스템과 장비가 전부 모스크바에 있었기에 실제로는 우크라이나가 사용할 수 없는 물건이었다.[9] 이전부터 친러성향이 있던 대안우파들이 주를 이룬다.[10] 도덕적 논리가 국제정치 공간에서 통하지 않는다고 보거나 안보는 경제적 번영보다 중요한 생존의 문제라고 보며 국제 정세에 대해 현실주의 측면에서 접근한다.[11] 반박하는 측에서는 이는 장기적으로 대단히 위험한 전략으로 보는데 실제로도 중소분쟁 당시 미국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을 도왔으나 그 결과 중국이 미국을 위협하는 패권국이 되었다. 중국을 견제한답시고 러시아를 돕는다면, 안그래도 반미감정이 매우 심한 중국과 러시아가 중러관계를 갈라치기하려는 서방의 음모를 굉장히 꺼리는데다 지금의 러시아보다 훨씬 강력한 전력을 갖추게 되어 제2의 소련을 부활시키는거나 다를게 없다.[12] 긍정하는 측에서는 미국이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과거 냉전때와 달리 양면전을 해야한다는 추가 부담을 지적한다. 또한 중국이 본격적으로 강해진 것은 소련을 견제하면서 도운게 아니라 소련 해체 이후 미국이 판단착오로 인한 실책들을 잇따라 했기 때문이였다. 대표적인게 중국을 견제할 시기에 엉뚱하게도 중동 국가들을 공격하며 쓸데없는 확전을 강행한 테러와의 전쟁, 중국의 성장을 우려하는 지적들을 무시한채 강행한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에 대한 미국의 협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