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0:40:00

케네스 월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69B52, #27528B 20%, #27528B 80%, #27528B);"<tablewidth=200><tablebordercolor=#27528B><tablebgcolor=#27528B,#27528B> 파일:미국정치학회 로고 흰색.svg파일:미국정치학회 로고 흰색.svg미국 정치학회
역대 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5ba6,#ffc224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프랭크 J. 굿나우 앨버트 쇼 프레더릭 N. 저드슨 제임스 브라이스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애보트 로렌스 로웰 우드로 윌슨 시므온 E. 볼드윈 앨버트 부시넬 하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웨스텔 W. 윌러비 존 바셋 무어 에른스트 프로인트 제시 메이시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먼로 스미스 헨리 존스 포드 폴 사무엘 레인쉬 레오 S. 로우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윌리엄 A. 더닝 해리 A. 가필드 제임스 윌포드 가너 찰스 E. 메리암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찰스 A. 비어드 윌리엄 베넷 먼로 제시 S. 리브스 존 A. 페어리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벤자민 F. 샴보 에드워드 S. 코윈 윌리엄 F. 윌러비 이시도르 로브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월터 J. 셰퍼드 프랜시스 W. 코커 아서 N. 홀콤 토마스 리드 파월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클라렌스 A. 딕스트라 찰스 그로브 헤인즈 로버트 C. 브룩스 프레데릭 A. 오그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윌리엄 앤더슨 로버트 E. 쿠시먼 레너드 D. 화이트 존 가우스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월터 F. 도드 아서 W. 맥마흔 헨리 R. 스펜서 퀸시 라이트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임스 K. 폴록 피터 H. 오데가르드 루터 굴릭 E. 펜들턴 청어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랠프 J. 번치 찰스 맥킨리 해럴드 D. 라스웰 E.E.샤츠슈나이더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V.O. 키 주니어 R. 테일러 콜 칼 B. 스위셔 에멧 레드포드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찰스 S. 하인먼 칼 J. 프리드리히 C. 허먼 프리쳇 데이비드 B. 트루먼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가브리엘 A. 아몬드 로버트 A. 달 멀 파인소드 데이비드 이스턴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칼 W. 도이치 로버트 E. 레인 하인츠 오일라우 로버트 E. 워드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에이버리 레이서슨 오스틴 래니 제임스 맥그리거 번스 사무엘 H. 비어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존 C. 월키 레온 D. 엡스타인 워렌 E. 밀러 찰스 E. 린드블럼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시모어 마틴 립셋 윌리엄 H. 라이커 필립 E. 컨버스 리처드 F. 페노 주니어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애론 B. 윌다브스키 새뮤얼 P. 헌팅턴 케네스 N. 월츠 루시안 W. 파이
제85대 제86대 제87대 제88대
주디스 N. 슈클라 테오도르 J. 로위 제임스 Q. 윌슨 루시우스 J. 바커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찰스 O. 존스 시드니 버바 아렌드 레이파트 엘리너 오스트롬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M. 켄트 제닝스 매튜 홀든 주니어 로버트 O. 코헤인 로버트 저비스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로버트 퍼트 테다 스카치폴 수잔 호버 루돌프 마가렛 레비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아이라 카츠넬슨 로버트 액셀로드 다이앤 핀더휴스 피터 카첸슈타인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헨리 E. 브래디 캐롤 페이트먼 G. 빙엄 파월 제인 맨스브리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존 올드리치 로드니 E. 히어로 제니퍼 호치차일드 데이비드 A. 레이크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6대
캐슬린 텔렌 로저스 스미스 폴라 D. 맥클레인 자넷 박스-스테펜스마이어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존 이시야마 리사 마틴 마크 E. 워렌(현)이태구(예정)}}}}}}}}}}}}
<colbgcolor=#e4541f><colcolor=#fff>
케네스 닐 월츠
Kenneth Neal Waltz
파일:external/static01.nyt.com/19-WALTZ-OBIT-popup.jpg
출생 1924년 6월 8일
미국 미시간 주 앤아버
사망 2013년 5월 12일 (향년 88세)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오벌린 칼리지 (경제학 /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직업 정치철학자, 작가, 교수
주요 경력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학 교수

1. 개요2. 인간, 국가, 전쟁3. 국제정치이론4. 핵확산 안정론5. 비판
5.1. 국가들은 정말 협력하지 않는가?5.2. 제2의 이미지의 역습: 국내정치 변수5.3. 세력균형이론의 취약한 실증적 근거
6. 주요 저작7.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생물학찰스 다윈이 있다면 국제정치학에는 케네스 월츠가 있다.”
- 前 영국 국제정치학회 회장(1995-1996) 켄 부스(Ken Booth) 교수#

미국국제정치학자. 신현실주의(neorealism)의 아버지. 현대 국제정치이론의 기초를 쌓았다고 평가받는다. 월츠 이후 학자들의 이론은 신현실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 혹은 보완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플라톤에 빗대 "월츠 이후의 국제정치이론은 월츠 이론에 대한 주석"이라는 찬사까지 받을 정도로 그의 영향력은 막대하다. 일례로 그를 『헤게모니 이후』로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비판한 로버트 코헤인은 월츠의 전제와 방법론을 거의 그대로 활용해서 그를 반박했고, 구성주의 국제관계학자 알렉산더 웬트도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에서 월츠 이론을 핵심 비판 대상으로 택했다. 뉴욕 타임즈는 그의 부고 기사에서 월츠를 "오늘날의 국제관계 연구를 형성한 다섯 거인 중 한 명"으로 평했다.#[1][2] 미국정치학회(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려 2007년부터 그 해의 가장 우수한 국제안보/군비통제 분야 박사학위논문에 케네스 월츠 박사논문상을 수여한다.

현재 국내에서 번역된 그의 저작들은 저자의 이름을 '월츠'로 표기했지만, '왈츠'라는 표기도 드물지 않다. 실제로 성씨 왈츠나 춤 왈츠나 전부 철자가 Waltz로 똑같다.

2. 인간, 국가, 전쟁

오늘날 국제정치학의 거장으로 추앙받는 월츠지만, 그의 원래 전공은 정치사상이었다. 국제정치학은 부전공. 하지만 대학원생 시절의 중요한 시험 몇 주 전에 하필 국제정치 시험 담당 교수가 이전의 너그러운 교수에서 대학원생의 2/3을 떨어뜨린다는 살벌한 소문의 깐깐한 교수로 변경되면서 장차 학자로서 월츠의 행로가 완전히 바뀐다. 조만간 군대에 재소집될 예정이어서 시험을 연기할 수도 없었기 때문에 이 시험의 당락 여부가 자신의 진로와 직결될 상황이었던 것.[3]

당연히 국제정치 관련 저작을 닥치는대로 읽기 시작한 월츠는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심지어 모순되기까지 하는 관점과 내용의 홍수라는 장벽에 부딪친다. 이 다양한 문헌들의 상충되는 관점과 내용들을 어떻게 이해할까 고민하던 그의 머릿속을 한 가지 생각이 스쳤다. 월츠는 이 아이디어를 메모해뒀다가 군에서 돌아와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로 선택했고, 이 논문은 1959년 '국제정치의 세 가지 분석수준'을 정립한 국제정치학의 고전 『인간, 국가, 전쟁(Man, the State, and War)』이란 이름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인간, 국가, 전쟁』은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분석 수준을 개인[4], 국내 체제[5], 그리고 국제체제라는 세 가지 이미지(혹은 분석수준)로 구분했으며, 궁극적으로 전쟁의 구조적 원인이 되는 것은 '세 번째 이미지'인 국제체제의 무정부 상태(anarchy)[6]라는 점을 지적했다. 즉 분쟁을 조절할 국가보다 상위의 권위체가 없는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자신의 생존과 이익을 위해 경쟁하는 것이 전쟁의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물론 월츠는 첫 번째 이미지인 개인과 두 번째 이미지인 국내 체제 역시 전쟁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았다. 다만 세 번째 이미지가 나머지 두 이미지가 작동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한스 모겐소로 대표되는 냉전 초기의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가 전쟁의 궁극적 원인을 사실상 검증 불가능한 인간 본성에서 찾았던 사실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었다. 즉 월츠는 전쟁의 원인을 국제체제의 무정부성이라는, 검증 가능한 구조적 차원에서 찾으면서 국제정치학에 과학적 방법론을 도입하는 데 앞장 선 것이다[7]. 결국 치열한 논쟁 끝에 고전적 현실주의가 패퇴하면서 『인간, 국가, 전쟁』은 고전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8]. 이 "인간, 국가, 전쟁"은 월츠가 대학원생 시절 정치사상을 공부했던 흔적이 남아 있어서 그와 관련된 논의를 주로 언급하는 편이다. 왜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는 국가간 협력이 힘든가를 설명할 때 장자크 루소인간 불평등 기원론에서 나오는 사슴과 토끼 비유(stag and hare game theory)[9]를 사용하는 등등.

위의 다소 긴 설명을 요약하자면 모겐소가 '국제정치의 무정부성'을 각 국가들이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과"로 파악했던 반면, 월츠는 국가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원인/환경"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3. 국제정치이론

이처럼 월츠는 박사학위 논문부터 일약 고전을 써내며 국제정치학을 논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학자로 화려하게 데뷔했다. 그런 월츠를 명실공히 전설의 반열에 올려놓은 것은 바로 신현실주의 혹은 구조적 현실주의(structural realism)를 정초한 1979년의 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이었다.

월츠는 여기서 국내체제의 차원에서 국제정치를 설명하려는 이론들을 '환원론적'이라고 비판하면서 국제정치의 이해에 가장 중요한 것은 국제체제의 구조라고 주장했다. 상위의 권위체가 없는 국제체제의 무정부성 아래서 각 국가는 생존을 위해 자조(self-help. 혹은 '자력 구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무정부 상태에서의 생존 경쟁이 "인간, 국가, 전쟁"에서 말한 것처럼 궁극적으로 전쟁이 사라지지 않는 원인이기는 해도, 반드시 전쟁이라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개별 국가의 안보 추구 행위는 그 의도와 관계 없이 거의 자동적으로 세력균형(balance of power)을 이끌어내 국제체제의 안정성을 창출하기 때문이다.[10] 그러나 국제체제의 성격에 따라 이러한 안정성, 바꿔 말하자면 전쟁 가능성은 큰 차이를 보인다. 이 때문에 국제체제의 구조가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것이다.

그렇다면 전쟁은 어떤 경우에 더 발발 가능성이 높을까? 국제체제의 안정성은 '극성(polarity)', 곧 체제 내 강대국의 숫자에 따라 좌우되는데, 월츠는 체제 내에 단 두 개의 강대국만이 존재하는 단순양극체제가 셋 이상의 강대국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다극체제보다 안정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유연한 다극체제가 경직된 양극체제보다 안정적이다"라는 고전적 현실주의와 그 이후의 행태주의적 현실주의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긴 평화(The Long Peace)"라고까지 불린 냉전의 안정성을 더 잘 설명한 것은 신현실주의였다. 또한 월츠는 체제의 특성을 단순히 '전체를 구성하는 개별 단위, 즉 국가의 특성의 종합'으로 설명한 행태주의 혁명 이후의 카플란(Morton A. Kaplan)이나 로즈크랜스(Richard N. Rosecrance)의 '체제 이론'이 고전적 현실주의와 마찬가지로 "환원론적"이라고 비판하면서 체제를 구성하는 개체의 특성으로 환원할 수 없는 체제 전체만의 특성, 곧 '무정부성'과 '극성'이 국제체제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신현실주의는 기존 이론들에 대한 치명적인 비판과 견고하면서도 간결한 대안적 이론을 제시하면서 고전적 현실주의와 행태주의적 현실주의를 대체하는 주류 이론으로 떠올랐다.

앞선 『인간, 국가, 전쟁』에서 월츠 이론의 바탕이 깔렸다면, 그로부터 20년 후 발표된 『국제정치이론』에서는 월츠 이론이 완성된 것이다. 바야흐로 신현실주의의 시대였으며, 월츠의 시대였다. 국제정치학에서 월츠의 이론이 곧 현실주의 이론의 기본으로 인식되고 있는 오늘날에는 신현실주의라는 표현 대신 '구조적 현실주의', 혹은 '방어적 현실주의'라는 용어로 통용되는 편이다.[11]

4. 핵확산 안정론

케네스 월츠는 핵확산을 통한 세력균형으로 오히려 국제 평화가 달성될 수 있다는 주장을 했다. 이란의 핵보유에도 이스라엘과 세력균형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공격적 현실주의 학자인 존 미어샤이머는 핵무장한 북한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해서 지역을 안정시킨다고 주장했다.#

5. 비판

월츠의 이론은 현대 국제정치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만큼이나 당대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 왔으며, 오늘날에는 월츠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그대로 수용하는 학자들은 거의 아무도 없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연구를 할 때는 고전적 레퍼런스 이상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월츠에 대한 비판의 요지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5.1. 국가들은 정말 협력하지 않는가?

월츠 이론의 핵심은 폭력을 독점하고 있는 세계정부의 부재(무정부성), 단일 행위자로서의 국가, 그리고 그로부터 발현되는 국가의 유일한 행위원리인 생존을 위한 안보극대화,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자조(self-help) 원칙의 대두, 장기적 협력의 부재, 성공적인 국가에 대한 다른 국가들의 모방, 국제분업의 부재, 세력균형의 "법칙"[12]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정말 국가들의 협력이 그렇게 부족하고 단기적인가? 많은 국가들은 정치적으로(동맹), 경제적으로(무역협정), 사회적으로(각종 인권/환경/규범협약) 협력하며 이 중 상당수는 장기적으로 이어진다. 이는 대표적으로는 로버트 코헤인(Robert O. Keohane)에 의해 지적되고 오늘날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파/반박된 부분으로, 현재의 학계에서는 단순히 협력이 존재한다/존재하지 않는다를 넘어 어떤 조건 하에서(Under what conditions) 협력이 보다 빈번히 발생하고 장기적으로 유지되는가에 대한 실증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5.2. 제2의 이미지의 역습: 국내정치 변수

월츠는 국가를 단일행위자로 상정하고, 모든 국가들의 목표는 생존이므로 국가들을 크기와 성질이 동일한 당구공들의 집합에 비유한 바 있다.[13] 그러나 아주아주아주 간략하게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을 설명할 때나 단순명쾌한 게임 모형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때라면 모를까, 모든 국가들을 균일하게 간주하는 것은 국제관계학을 조금만 파고들어가도 상당히 무리수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단히 생각해도 알 수 있는 것이, 대한민국북한, 그리고 미국의 외교정책은 단일한 국가행위자 가정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국제정치이론에서는 국가의 지도자와 집권정당은 기본적으로 국내정치 행위자의 영향 아래 놓여 있으며[14], 학자들은 대체로 민주주의 국가와 비민주주의 국가의 행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데 일정부분 합의하고 있다.[15] 최근의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비민주주의 국가 중에서도 북한처럼 전권을 틀어쥔 독재자가 존재하는 국가군과 중국처럼 권위주의이기는 하나 일정 규모가 되는 엘리트들의 이너서클이 존재하는 국가군을 분리하여 설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5.3. 세력균형이론의 취약한 실증적 근거

월츠에 따르면 양극체제 하에서 세력균형이 이루어졌을 때 평화가 유지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다극체제 하에서 세력균형이 깨졌을 때가 가장 전쟁에 취약한 때라고 할 수 있다.[16] 그러나 오르간스키(Organski)로부터 시작된 세력전이이론(power transition theory)을 지지하는 학자들과, 국제정치학에 대한 최초의 방대한 통계적 연구를 시작했다고 할 수 있는 데이비드 싱어(J. David Singer)가 이끈 실증주의 그룹은 이에 반론을 제기했는데[17], 이들에 따르면 오히려 강대국 간의 세력균형이 이루어졌을 때가 가장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나폴레옹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 19세기 이후의 대규모의 전쟁들은 오히려 강대국 간 힘이 동등해지면서 발생했으며, 설령 힘이 비슷한 강대국 사이에 평화가 찾아왔다고 해도 그것은 좀 더 세부적인 시대적 특성(벨 에포크)이나 핵무기의 특성(냉전)에서 비롯된 것이지 결코 세력균형 하나에 의해서만 유래한 것은 아님을 주장한다.

특히 냉전 체제의 붕괴와 그 이후 미국의 일극체제 독주는 월츠의 이론과 신현실주의에 심각한 타격을 준 사건이기도 했는데, 안타깝게도 너무 오래 산 나머지[18] 자신의 이론이 틀렸다는 충격을 받은 나머지 근 10년 가까이 학계에 두문불출할 정도였다는 뒷이야기가 전해진다. 탈냉전기 초반에는 아예 국제체제의 변화 자체를 부인하고 여전히 국제체제가 양극체제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하나의 비정상적 예외로서 단 하나의 예외가 이론의 적실성을 부인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이 탈냉전기의 승리감에 도취되어서, 자유주의 패권을 위해서 민주주의 전파라는 터무니 없는 목표를 추구하며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들어가는 과잉팽창을 했다가 스스로 하향세에 접어들게 되면서, 미국의 세력 축소로 인하여 힘의 공백이 초래되고, 세계 곳곳에서 전쟁들이 벌어지는 등 강대국 간의 지정학적 세력 균형이 다시 시작되었다.
앨리슨(Graham Allison), 미어샤이머(John J. Mearsheimer), 월트(Stephen Walt), 슈웰러(Randall Schweller) 등 자유주의적 패권 기획을 비판해 온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자들은 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냉전기의 체제 경쟁, 탈냉전기 미국의 우위 등 특수한 역사적 조건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형성되고 확장될 수 있었던 예외적인 질서라고 주장했다. 이들에게 자유주의 질서의 위기는 역사적 예외가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 불과했다.
공민석. 2023. "미국과 세계질서의 변화: 자유주의 질서의 위기와 미국의 딜레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질서의 변화>, 33p.
공산 진영 소멸과 걸프전 완승 이후를 풍미한 승리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평화와 번영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각종 이론이 세기 전환기에 범람했었다. 미국 유일 패권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이야기와 지구화로 통합된 세계에서 강대국 간의 전쟁은 사라질 것이라는 예언이 넘쳐나고, 아직도 현실주의자가 존재하느냐란 식의 조롱기 섞인 비판마저도 등장했다. 즉, 1990년대 대표적 시대정신으로서 "역사의 종언론"이 잘 예시해주듯 당대의 행복하고 낙관적인 시간이 영원히 계속될 것이며, 나머지 세계가 점점 더 미국을 닮고자 열망하고 그렇게 변화할 것이라는 역사철학적 가정이 이 담론들에 전제되어 있었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는 "전 지구적 시대 전환"을 목도하고 있다. 이 거시 변동의 밑바탕에는 미국 패권 시대의 종료, 즉 단극체제의 종식이라는 극성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다시 말해, 탈냉전 시기의 미국 주도 국제 시스템이 중국·러시아 등과의 강대국 전략 경쟁 체제로 대체됨에 따라 팍스 아메리카나 자유세계질서의 거대한 요동이 나타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이러한 전 지구적 권력균형의 변동 과정을 표현하는 하나의 징후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와 같은 거시 변화가 단극시대 미국의 자유주의적 프로젝트가 야기한 과잉 팽창의 모순적 결과라는 사실이다. 마치 냉전기 소련의 운명과 마찬가지로 미국 역시 자중에 의한 내파 과정을 겪어온 셈이다.
차태서, 30년의 위기 - 탈단극 시대 미국과 세계 질서, 323~324p

6. 주요 저작

7. 관련 항목


[1] 참고로 다른 넷은 한스 모겐소, 헨리 키신저, 새뮤얼 헌팅턴,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냉전 이후 '문명충돌론'으로 유명해진 새뮤얼 헌팅턴, 지정학자이며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백악관 안보보좌관을 역임했던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를 제외한 한스 모겐소와 헨리 키신저 모두 케네스 월츠 이전의 고전적 현실주의 학자들이다.[2] 그러나 이 명단은 굉장히 자의적인 것이, 이 5명 중 실제로 현대 국제정치학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학자는 한스 모겐소케네스 월츠 정도이다. 헨리 키신저도 『회복된 세계(A World Restored)』와 같은 훌륭한 저작을 남겼지만 이론가로서보다는 외교관으로서 업적을 쌓은 인물이고,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역시 학자라기보다는 전략가로 볼 수 있으며, 새뮤얼 헌팅턴은 정치학의 거장이기는 하나 국제관계학보다는 비교정치학에서 금자탑을 쌓은 인물로 봐야 한다. 오늘날 국제정치학의 형성에 큰 기여를 한 로버트 코헤인, 데이비드 싱어, 브루스 러셋, 알렉산더 웬트 등의 인물이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전공자들 아니면 잘 모르는 사람들이니까, 뉴욕 타임즈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고워싱턴 정가와 가까이 있는 학자 셋 + 아무래도 뺄 수 없을 만큼 큰 영향을 끼친 거인 둘 정도의 조합을 뽑은 것으로 봐야 한다.[3] 월츠는 2차 대전 말기인 1944년부터 2년 동안 육군에서 복무했고, 이후 미국의 6.25 전쟁 참전으로 1950년대 초에 다시 2년간 미 육군 예비역으로 복무했다. 최종 계급은 육군 소위.[4] 인간 개개인의 본능적인 공격성, 정복욕구, 정치지도자 본인의 성향 등에서 전쟁이 비롯된 것이라는 논리.[5] 국가별 정치체제의 특징에 따라 전쟁이 발생, 혹은 예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논리. 한 보기로 레닌은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 국가들에 의한 '제국주의 전쟁론'을 주장했다. 냉전 이후에는 민주주의 체제가 평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민주주의 국가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쟁이 예방된다는 '민주평화론'이 등장했다.[6] 여기서 '무정부'는 단순히 정부가 없는 상태라는 의미가 아니라 권위적 위계질서(authoritative hierarchy)가 부재한 상태를 의미한다. 하필 '무정부'라는 번역어만 두고 보면 폭동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쉽사리 떠오르다 보니 일부는 아예 번역하지 않고 '아나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월츠는 국제체계가 순수한 무정부 상태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주요 가정 중 하나지만 오르간스키나 길핀 등은 국제체계가 어느 정도의 위계질서가 존재하는 무정부 상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7] 이는 1950-60년대 미국 정치학계에 몰아닥친 행태주의 혁명(behavioral revolution)의 직접적 반영이었다[8] 20세기 말까지만 해도 국제정치학에서 현실주의 이론이라면 모겐소의 고전적 현실주의를 의미했지만, 오늘날에는 월츠의 구조적 현실주의를 뜻하는 경향이 강하다.[9] 원시인 부족이 사냥을 나갔다고 가정하자. 이들은 사슴을 잡기로 했다. 사슴을 잡는 것은 힘들지만 한 번 잡으면 부족 전체를 먹일 수 있다. 그런데 그 중 한 명이 눈 앞에 살찐 토끼가 지나가는 것을 발견했다. 토끼를 잡으면 사슴 사냥은 수포로 돌아가지만 최소한 그 원시인의 가족은 먹일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선택을 하는가?[10] 이 점에서 월츠는 "세력균형은 국제정치학에서 '법칙'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특징"이라고 주장했다.[11] 방어적 현실주의는 2000년대 초 미국 시카고 대학교의 존 미어샤이머가 자신이 주창한 '공격적 현실주의'와의 대비를 위해 붙인 표현이다. 여담으로 미어샤이머는 이 용어를 주창하며 현실주의의 3대 거두로 모겐소, 왈츠, 미어샤이머 자신을 꼽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모겐소와 왈츠라면 모를까 미어샤이머 당신까지는 글쎄" 같은 회의적인 반응도 적지 않은 편이다(...)[12] 따옴표를 붙인 이유는 세력균형은 현재로서는 법칙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실증적인 입지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13] 이를 이른바 '당구공 이론'(billiard theory)라고 한다. 당구공 속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고 무슨 재질로 만들어져 있든 당구공은 겉으로 보기에 전부 같아 보이며 서로 공을 치고 받는 과정에서 움직인다는 것. 모겐소도 당구공 이론을 주장했는데, 모겐소가 공(국가)에 주목했다면 월츠는 당구대(국제구조)가 더 주목했다는 차이점은 있다.[14] 이런 논지를 편 대표적인 학자로 부에노 데 메스키타(Bueno de Mesquita)가 있다.[15] 이를 강하게 주장하는 이론이 바로 민주주의 국가는 다른 민주주의 국가와 전쟁을 하지 않지만 비민주주의 국가와는 전쟁을 한다는 브루스 러셋(Bruce Russett)의 민주평화론이다.[16] 월츠의 저서를 보면 초반에는 제1이미지부터 제3이미지까지 모두 고려하되 제3이미지가 제일 중요하다 정도의 논지를 주장했다면, 후반부로 갈수록 제3이미지가 최우선적이며 그 중에서도 극성에 기반한 국제체제 구조가 가장 핵심적이라는 식으로 논지가 강화되는 모습을 보인다.[17] 이들의 데이터베이스는 구글에서 correlates of war로 검색해 보면 확인할 수 있다.[18] 월츠는 2013년 88세의 나이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