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8:48:43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출현 좀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좀비고등학교/스토리 모드/리부트
파일:ZHS_Logo_Normal.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71717,#010101><colcolor=#fff,#ddd> 스토리 스토리(비판) · 설정 · 불새재단 · 좀비고등학교
등장인물 · 역할군 · 출현 좀비
스토리 모드 클래식(진격의 좀비 · 히어로즈 · 아포칼립스 · 디비전)
리부트(진격의 좀비)
콘텐츠 모드 · 래더 · 스킨 · 광장 · 장소
N주년 콘텐츠 엘프고 · 학교생활 · 은하고 · 마법고 · 가든파티
부가 기능 상점 · 연구실 · 클랜 · 갤러리 · 업적
이벤트 메인 이벤트(할로윈 · 크리스마스) · 오프라인 행사 · 불새문화제
미디어 BGM · 픽셀드라마 · 코믹스 · 애니메이션
기타 평가 · 인게임 용어 · 역사
커뮤니티 공식 카페 · 마이너 갤러리 · 아카라이브 채널
}}}}}}}}} ||

1. 개요2. 일반 좀비3. 대형 좀비
3.1. 덩치 좀비3.2. 폭주 좀비3.3. 낼름 좀비3.4. 액체 좀비3.5. 오염시설3.6. 두더지 좀비3.7. 원시 좀비3.8. 멀미 좀비3.9. 야수 좀비3.10. 강화 좀비3.11. 공벌레 좀비3.12. 방패 좀비3.13. 경비 좀비3.14. 감옥문 레버3.15. 수위 좀비3.16. 키조개 좀비3.17. 사이렌 좀비3.18. 드럼통 좀비3.19. 연구복 좀비3.20. 연구복 좀비 알3.21. 진화된 연구복 좀비3.22. 사무엘의 절망
4. 미니 보스 & 보스
4.1. 퍼스트 블러드4.2. 제조 시설4.3. 좀비 장대한4.4. 사무엘4.5. 뮤턴트 프로그4.6. 풀 메탈 피스트 & Dr. 브레인4.7. 좀비 이하나4.8. 위치 트릴로지4.9. 메카 스네이크4.10. 좀비 오구만, 좀비 진기리, 좀비 왕춘성4.11. 제어 장치(&아수라 좀비)4.12. 와일드 호퍼4.13. DaLSU-094.14. 더티민트 시저 & 펑키핑크 시저4.15. 각성한 사무엘

1. 개요

스토리모드 리부트에 출현하는 좀비들을 다루는 문서.

기존에는 좀비의 이름이 크게 의미가 없었으나 각성 조건으로 붙어나오게 되면서 좀비 명칭의 중요성이 좀 더 커졌다.

에피소드에 따라 좀비의 체력에 배율이 적용된다. 일반 좀비의 경우 에피소드1은 100%, 에피소드2는 150%, 에피소드3은 245%, 에피소드4는 450%, 피날레는 600%. 특수 좀비의 경우 에피소드1은 100%, 에피소드2는 140% 에피소드3은 200%, 에피소드4는 300%, 피날레는 450%.

2. 일반 좀비

일반 좀비는 어떤 외형이더라도 체력이 동일하다.[1] 타격했을 때 체력바가 보이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스펙이 다른 일반 좀비들이 있다.
토끼좀비의 경우 숨어있을 때 무적이다.
쥐 좀비와 검은 쥐 좀비의 경우 충돌 시 즉시 피해를 입는다.
심장 좀비의 경우 이속이 좀 더 빠르다.

체력은 Ep.1, Ep.2, Ep.3, Ep.4에 각각 100, 140, 200, 300이다.

3. 대형 좀비

특별한 이름이 존재한다면 전부 대형 좀비 취급. 일반 좀비와는 다른 특이한 능력이 존재하고 인게임에서 체력바가 보인다.

3.1. 덩치 좀비

Act 1 모든 에피소드와 Act 3에 등장. 이름대로 큰 덩치가 특징.

자신의 앞 3x3 범위공격을 시전한다.

일반 좀비들에게 막히지 않고 무시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또한 스턴과 푸시에 면역이다.

체력은 Ep.1, Ep.2, Ep.3, Ep.4에 각각 700, 980, 1400, 2100이다.

3.2. 폭주 좀비

진격의 좀비의 모든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유일한 좀비. 빠른 속도와 길게 돋아난 손가락이 특징이다.

속도가 매우 빠르며, 그 어떤 좀비도 무시하고 달려와서 1x4 범위공격을 시전한다.

일반 좀비 뿐만 아닌 모든 좀비들에게 막히지 않는다. [2]

체력은 Ep.1, Ep.2, Ep.3, Ep.4에 각각 500, 700, 1000, 1500이다.

3.3. 낼름 좀비

Act 1 Ep.2, Ep.3, Ep.4와 Act 2 Ep.2, Ep.4, Act 3에 등장. 약간 길게 돋아난 혀가 특징.

원거리 투사체 공격을 시전한다.

체력은 Ep.2, Ep.3, Ep.4에 각각 420, 600, 900이다.

3.4. 액체 좀비

Act 1 Ep.2, Ep.3, Ep.4와 Act 2 Ep.2, Ep.3, Ep.4에 등장.

가까이 다가가면 5x5 마름모 범위로 폭발한다.

Act 1 Ep.4의 좀비 이하나 보스전에서 나오는 개체는 눈이 없고 이빨이 달려있으며, 일반적인 액체 좀비의 체력의 1000%로, Act 1 Ep.4 기준 3000이다.

모든 액체 좀비는 폭발할 때 좀비들에게도 피해가 간다. 이 점을 이용해서 이하나한테 액체로도 딜을 넣을 수 있다.[3]

체력은 Ep.2, Ep.3, Ep.4에 각각 140, 200, 300이다.

3.5. 오염시설

Act 1 Ep.3에 등장.

일정시간마다 일반좀비 3마리 혹은 두더지 좀비를 생성한다. 오브젝트가 아닌 대형좀비 취급이다.

체력은 Act 1 Ep.3 기준 3000이다.

3.6. 두더지 좀비

Act 1 Ep.3에 등장.

이동할때 땅속에서 이동하다 자신이 쫓는 인간과 겹치면 나와서 십자범위로 공격한다.

체력은 Act 1 Ep.3 기준 800이다.

3.7. 원시 좀비

Act 1 Ep.3에 등장.

새끼 원시 좀비를 소환한다. 새끼 원시 좀비는 공격 딜레이가 매우 짧아 처치가 상당히 까다롭다. 체력이 적어도 에피소드3에선 배율을 꽤 먹어서 튼튼한 편.

여담으로 원시 좀비 처치 각성을 해야할 경우 본체만 적용된다. 기존 유저들은 작은 개체가 '새끼 원시 좀비'로 구분 되어있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체력은 Act 1 Ep.3 기준 1000이다.

3.8. 멀미 좀비

Act 1 Ep.4와 Act 2 Ep.1, Ep.3, Ep.4, Act 3에 등장. 눈물을 흘리고 있고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게 특징.

보라색 토를 쏟아 슬로우 장판을 깐다. 장판은 데미지를 입지 않으나 토사물 투사체는 체력을 깎는다. 낼름좀비의 상위호환.

체력은 Ep.1, Ep.3, Ep.4에 각각 300, 600, 900이다.

3.9. 야수 좀비

Act 1 Ep.4와 Act 2 Ep.3, Ep.4, Act 3에 등장. 머리가 덥수룩하고 치마를 입고있는게 특징.

인간을 발견하면 돌진한다. 체력이 상당히 많고 스턴, 푸시 면역이라 상당히 거슬리는 좀비 중 하나다.

체력은 Ep.3, Ep.4에 각각 1400, 2100이다.

3.10. 강화 좀비

Act 2 모든 에피소드에 등장.

강화 좀비끼리는 겹쳐 이동할 수 있으며, 앞으로 2칸 할퀴어 공격한다.

눈이 파란 빛을 띄고 있는 개체는 속도가 더 빠르다.

체력은 Ep.1, Ep.2, Ep.3, Ep.4에 각각 300, 420, 600, 900이다.

3.11. 공벌레 좀비

Act 2 Ep.1, Ep.3에 등장.

몸을 말아서 돌진하는 공격을 하며 벽에 부딪칠때까지 돌진한다.

체력은 Ep.1, Ep.3에 각각 100, 200이다.

3.12. 방패 좀비

Act 2 Ep.2, Ep.3에 등장.

정면에 장갑을 두른 강화 좀비로 정면 공격은 면역이다. 전방으로 1칸 돌진하며 2x3 범위에 공격을 가하고 밀쳐낸다.

체력은 Ep.2, Ep.3에 각각 420, 600이다.

3.13. 경비 좀비

Act 2 Ep.2, Ep.3, Act 3에 등장.

공격 매커니즘은 강화 좀비와 동일하다.

눈이 붉은 빛을 띄는 개체는 속도가 더 빠르다.

체력은 Ep.2, Ep.3에 각각 420, 600이다.

3.14. 감옥문 레버

Act 2 Ep.2에서 등장.

오염 시설과 동일한 취급이지만 오염 시설처럼 잡몹을 소환하지 않는다.

체력은 Ep.2 기준 420이다.

3.15. 수위 좀비

Act 2 Ep.2, Ep.3에 등장.

디비전의 안전모 좀비와 비슷한 외형으로 등장하며, 정면 3x3을 곡괭이로 내려찍는다. 이 때는 푸시와 스턴에 면역이다.

체력이 절반 가량으로 낮아지면 안전모가 벗겨지며, 빠르게 한 칸 돌진 후 공격한다. 이 때는 푸시와 스턴 면역이 해제된다.

체력은 Ep.2, Ep.3에 각각 1400, 2000이다.

3.16. 키조개 좀비

Act 2 Ep.2, Ep.3, Act 3에 등장.

키조개를 연상시키는 검은 껍데기를 두른 좀비이며, 4족 보행으로 움직이다가 공격 범위 안으로 들어오면 껍데기를 열어 본체에서 체력을 1단계 깎는 분홍색 탄막을 3갈래로 발사한다. 껍데기를 두른 상태에서는 처치가 불가능하며, 탄막을 유도해 본체를 노출시켜 다시 껍데기를 닫기 전까지 공격할 수 있다.

드럼통 좀비와 마찬가지로 껍데기 기믹이 처치 시간을 늘이며, 근접 상태에서는 탄막 회피가 힘든 것은 물론 근접에서 정면으로 맞았다간 3방을 모두 맞고 한 방에 쓰러짐 상태가 될 수 있다. 에피소드 3에서 키조개 좀비가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길이 좁아 더더욱 피하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리부트에서 호퍼와 드럼통 이상의 가장 성가신 좀비 중 하나로 낙인 찍힌 상황.

체력은 Ep.2, Ep.3에 각각 420, 600이다.

3.17. 사이렌 좀비

Act 2 Ep.2의 보스전에서 등장.

이동하다가 제어장치 앞에 멈춰서서 사이렌을 울려 자신의 위치로 아수라 좀비의 돌진을 유도한다.

체력은 Ep.2 기준 980이다.

3.18. 드럼통 좀비

Act 2 Ep.3, Ep.4, Act 3에 등장.

드럼통을 짊어지고 있는 소라게 형태의 좀비. 적이 근처에 다가오면 드럼통 안으로 숨으며, 드럼통이 떨어지는 진동으로 주변에 5×5 범위의 충격파를 발생시켜 체력을 1단계 깎는다. 드럼통 좀비가 숨은 상태에서는 공격이 통하지 않는다.

공격 속도와 이동 속도가 방패 좀비와 비슷한 수준으로 느리기 때문에, 작정하고 피하면 쉽게 피할 수 있으며 원거리 직업군의 경우 상대하기 수월하지만 근접 직업군의 경우 공격을 할 때마다 드럼통 좀비의 공격 범위 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난이도가 있다.

처치에 꽤 많은 시간이 들기 때문에, 와일드 호퍼, 키조개 좀비와 더불어 리부트 Act 2에서 매우 성가신 좀비로 통한다.

체력은 Ep.3, Ep.4에 각각 1000, 1500이다.

3.19. 연구복 좀비

Act 2 Ep.4, Act 3에 등장.

연구복을 뒤집어 쓴 형태의 좀비.

정면 4칸의 길이의 공격을 쏘며, 체력을 1단계 깎는다. 처치하거나 처치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면 '연구복 좀비 알'로 변한다.

만약 연구복 좀비 처치 미션이 있다면 이 상태에서 처치해야 카운트되며, 알이나 강화가 되었을땐 카운트 되지 않는다.

체력은 Ep.4 기준 1350이다.

3.20. 연구복 좀비 알

Act 2 Ep.4, Act 3에 등장.

연구복 좀비가 변하는 형태. 공격 능력은 없으나, 처치하지 않고 5초가 지나면 진화된 연구복 좀비로 변한다.

체력은 Ep.4 기준 900이다.

3.21. 진화된 연구복 좀비

Act 2 Ep.4, Act 3에 등장.

연구복 좀비보다 2배 정도 큰 덩치의 좀비. 연구복 좀비 알이 5초 이상 지속되면 부화한다. 광역 공격으로, 정면 3칸 공격 후, 연이어 5×3 범위의 공격을 휘두른다.

이동 속도도 빠른 편이며, 공격 패턴이 매우 괴랄하기 때문에 상대하다가 죽기 십상이며 웬만해서는 알을 제 시간에 파괴하여 이 좀비가 필드에 소환되지 않게 하는 것이 매우 권장된다.

체력은 Ep.4 기준 1500이다.

3.22. 사무엘의 절망

Act 3에 등장.

사무엘의 사념체를 닮은 좀비. 다만 덩치는 작고 독립적으로 행동한다.

자신 앞 기준으로 2×3 범위로 공격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플레이어 한명에게로 순간이동해 꼭짓점을 뺀 5×5 범위로 공격을 한다. 맞으면 구속되기에 피하는게 좋다

체력은 피날레 기준 ???이다.

4. 미니 보스 & 보스

해당 좀비가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이 좀비들을 모두 처치해야 스테이지를 넘어간다.

모든 보스전 공통으로 시간을 끌면 체력이 다른 좀비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검은색 미니 아수라 좀비가 나타나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처치 해야한다.

스킬 이름 뒤에 숫자는 입는 데미지다.

4.1. 퍼스트 블러드

에피소드 1에 등장.

체력은 20000이며, 패턴은 3개이다.

4.2. 제조 시설

에피소드 2에 등장. 미니 보스전의 음악이 재생되진 않지만 오브젝트가 아닌 미니 보스 취급을 받는다. 때문에 미니보스 각성 조건이 있다면 에피소드2가 선호된다.

체력이 일정량 깎일 때 좀비 진격이 울리면서 대량의 좀비를 소환하며, 같이 등장하는 미니 제조 시설은 오브젝트나 미니 보스가 아닌 특수 좀비로 분류된다.

체력은 8000, 미니 제조 시설의 경우 2100이며, 패턴은 2개이다.

4.3. 좀비 장대한

파일:Cutscene_Reboot_A1_E2_Daehan.png
에피소드 2에 등장.

체력은 12000이며, 패턴은 2개이다.

4.4. 사무엘

파일:Cutscene_Reboot_SamuelBoss.png
에피소드 2에 등장.

체력은 24000이고, 패턴은 3개이며 패시브는 1개로 내려찍기->내려찍기->전체 내려찍기->반복 순으로 패턴을 사용한다.
전방 5×5 범위를 내려찍는다. 딜레이가 긴 편은 아니긴 한데 문제는 범위가 지정되기 전 사무엘 등 뒤의 사념체가 잠시 손을 공격 방향으로 뻗는 모션을 보여줘 실질적인 딜레이는 꽤 길다. 허점으로는 사무엘 앞을 내려찍는 공격이지, 정작 사무엘 본인 위치는 내려찍지 않기에 좀비 충돌 시 일어나는 슬로우를 감내한다면 그냥 사무엘 반대 방향으로만 쭉 달려도 바로 피할 수 있다(...).모든 플레이어의 위치를 중심으로 꼭짓점 4칸을 제외한 5×5 범위를 4곳을 지정한 뒤 원격으로 내리찍는 패턴이다. 실수로 내려찍기 패턴에 당해 포박 상태인데 전체 내려찍기 패턴이 곧이어 나온다면 사실상 사망 확정. 1페이즈에서는 순서가 왔을 때 약간의 텀을 둔 뒤 시전하지만 2페이즈에서는 순서가 오면 바로 시전한다.

4.5. 뮤턴트 프로그

에피소드 3에 등장.

체력은 32000이며, 패턴은 2개이다.[6]

4.6. 풀 메탈 피스트 & Dr. 브레인

에피소드 3에 등장.

풀 메탈 피스트는 3개, 닥터 브레인은 2개의 패턴을 지녔다.

체력은 각각 24000, 16000이다.

풀 메탈 피스트
Dr. 브레인
기존 진격의 좀비에서 등장한 미친 과학자 좀비로 리부트에서는 풀 메탈 피스트와 같이 듀오 보스로 등장. 실질적으로는 풀 메탈 피스트가 주요 전투를 담당하고 Dr. 브레인이 서포트하는 식이다.

4.7. 좀비 이하나

에피소드 4에 등장.

체력은 48000이며, 패턴은 3개이다.

4.8. 위치 트릴로지

에피소드 4에 등장. 체력이 8만으로 Act 1의 최종보스다. 기본적인 행동 패턴은 추격 n회 → 돌진 2회 → 강습의 패턴을 반복한다.

1페이즈
여담으로 플레이어들을 공격할 의사 없이 엘리베이터에서 난동을 피웠을 뿐인 기존 진격의 좀비 스토리와 상반되는 패턴인지라 유저들 사이에서는 스토리에 대한 갑론의박이 많다. 정황상 아예 설정이 바뀌었거나 남동진 일행을 적으로 생각해 자기방어 목적으로 공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애초에 밀폐된 엘리베이터 안이면 서로가 평화롭게 지내긴 어렵다.



2페이즈 약 75% 정도에서 돌입

3페이즈 약 50% 정도에서 돌입

모든 페이즈 전환시 화면을 향해 소리를 내지르는 모션이 있으니 잘 체크하자.

4.9. 메카 스네이크

오리지널 진격의 좀비 에피소드3 라운드1 추격전에서 경비 삼대장 대신 나온 뱀의 형태를 한 기계형 적이다.

ACT 2 에피소드1의 보스다.

상당히 기다란 몸을 가지고 있는데, 이 몸 하나하나에 피격판정이 있어 한꺼번에 타격할경우 데미지가 뻥튀기되며, 각자 백어택판정을 가진다. 또한 플레이어와 겹칠 경우 닥터 브레인과 같이 피해를 가하진 않고 밀쳐낸다.

보스전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생쥐 추격전과 동일한 장소로 동일한 맵 패턴을 가진다.

맵 패턴

본체 패턴

4.10. 좀비 오구만, 좀비 진기리, 좀비 왕춘성

잡몹인 거대 좀비, 먹보 좀비, 눈 없는 좀비가 보스로 승격되었다.[11]
ACT 2 에피소드 2에 등장한다. 체력은 각각 6000, 5000, 4000으로 총 15000.

스토리에서 힌트를 주는데, 후방이 무방비한 진기리는 백어택커, 빠르게 돌진하는 왕춘성은 소드맨, 주변 범위공격을 쓰는 오구만은 봄버맨이 맡아야한다.

총합 패턴은 4개다.

여담으로 미니보스 처치미션때 이 3마리는 따로따로 카운트되어 3마리씩 채워진다.

4.11. 제어 장치(&아수라 좀비)

아수라 좀비와의 보스전. 외형이 검은색으로 변했으며 양손엔 구속구로 추정되는 기계가 달려있다.

죽이는게 불가능한 아수라 좀비답게 보스전에선 체력을 깍아 격퇴하는게 아니라 "제어 장치"를 파괴해야 보스전에서 승리할수 있다. [12]

압도적인 체급을 가진 쓰러트릴 수 없는 상대라는 컨셉을 살리기 위해서인지 본체의 패턴 하나하나가 묵직하며 모든 기술의 피해량이 매우 높다.[13] 다만 이동속도도 상당히 느리고 기술 타이밍도 정해지거나 선딜이 명확하며, 무엇보다 제어장치는 이동 이외의 아무 저항도 하지 않기에 아수라의 행동을 계속 의식하면서 패턴에 적절히 대응하는것이 클리어를 판가름한다.

맵 패턴

아수라 패턴[14]

* 충격파(1)
아수라는 걸어다닐 때마다 3×3 범위에 충격파를 일으키며, 해당 범위 내의 좀비를 처치한다.

4.12. 와일드 호퍼

ACT 2 에피소드 3에서 등장
물류 창고에서 상자를 뒤집어 쓴 대형 좀비 버전으로 일행을 방해하다 폐기물류창고에서 박스를 벗고 보스로 등장한다.

대형 좀비로서의 스킬
보스로서의 스킬

돌진모드

* 돌진(2)
가운데 상자에서 돌진하여 양옆의 상자쪽으로, 이후 위 혹은 아래로 이동하여 반대편 상자쪽으로, 다시 가운데상자로 이동하여 가운데로 돌진하며 일직선상의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위 과정을 3번 반복하거나 호퍼에게 많은 피해를 입혀 돌진을 실패시키면 필드모드로 전환된다.

필드모드

* 강습(2)
필드모드로 전환될때 사용하는 패턴으로, 박스에서 랜덤한 플레이어를 강습하여 5×5 원 범위에 피해를 입힌다. 돌진을 실패시켰을땐 사용하지 않는다.
* 도약 + 할퀴기 + 2차 할퀴기(2페이즈부터) (1 + 2 + 2)
대형 몹 버전일때와 같은 사양이지만, 2페이즈부턴 할퀴기 이후 다시 7×7 원 범위를 공격한다. 잠시간의 쿨타임[16]이 있어 시전 직후 즉시 재사용하진 않는다.

약 20~25초 이후 돌진모드로 전환된다.

4.13. DaLSU-09

ACT 2 에피소드 4에서 등장 통제실에 있는 구형 기계에 탑제된 AI이다.

3×3 크기의 구조물 형태의 보스로, 통과하려 하면 밀쳐낸다. [17]

4.14. 더티민트 시저 & 펑키핑크 시저

Act 2 에피소드 4에서 등장
에피1부터 우연과 신가희는 초반에 일행과 동행하나 설보리가 가족을 위해 뭐든 할거라는 발언과 행동을 보고 생각해오던 둘은 결국 사무엘을 위해 적으로 돌아서며 ACT 2의 최종보스로 등극한다.[19]

양 보스는 체력이 50퍼가 될 경우 가위를 가는 모션[20]을 취하며 2페이즈로 넘어간다.

공통
더티민트 시저
펑키핑크 시저

* 강습(2)
펑키핑크 시저가 높이 점프한 뒤 랜덤한 플레이어에게 착지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공격한다. 2페이즈부턴 공격 반경이 대폭 증가한다.

두 마리를 동시에 상대하기에 보스 처치 미션이 있다면 2마리씩 채워진다. 엪4를 빠르게 깰 수 있다면 이 방법이 가장 좋다.

4.15. 각성한 사무엘

진격의 좀비 최종보스
패턴은 전반적으로 클래식 진격의 좀비 에피소드 3 하드의 각성한 사무엘과 비슷하다. 체력이 50% 남았을때 2페이즈로 전환된다. 2페이즈는 맵이 더 좁아지고 사무엘의 패턴이 강화된다. 강력한 공격 전후로도 패턴의 변화가 생긴다. 대신 잡몹을 배출하던 수상한 통로는 없어졌다.[26]

1-1페이즈
1-2페이즈

2-1페이즈
2-2페이즈
2-1페이즈의 패턴에 아래 패턴이 추가된다.

[1] 일반 좀비 체력의 50%인 새끼 원시 좀비와 일반 좀비 체력의 10000%인 검은색 미니 아수라 좀비, 일반 좀비 체력의 500%인 검은 쥐 좀비 제외[2] 다만, 같은 덩치 좀비끼리는 막힌다.[3] 만약 이 피해로 이하나를 처치하게 되면 처치 판정이 아니여서 각성퀘스트가 클리어 안되니 주의[4] 이 때 오른쪽 입구와 왼쪽 입구에서 최소한 2마리씩은 나오며 남은 2마리는 랜덤한 입구에서 소환된다[조건불명] 약 25%~20%정도로 추정된다[6] 공격 패턴 모두 역할군 닥터 프로그와 유사하다[a] 스티커 '폭신 배개'를 장착하거나 보호막을 받으면 살 수 있다.[8] 각성작이 완료되었을 경우 피해를 입으면 즉시 위기탈출 스킬을 사용하고 0.5초 간 보호막을 획득한다. 마침 액체 좀비 소환의 텀도 0.5초라 딱딱 맞아떨어지는 편.[9] 게다가 붉은 선 이펙트가 굉장히 애매하게 생겨서 잘 보이지도 않는다(...)[b] 폭신 베개와 보호막으로 막을 수 없다.[11] 승격이라긴 보단 진좀 에피3 라운드 1 추격전 보스가 바뀌었다는게 더 옳다.[12] 데이터상으론 체력이 45만이기에 이론상 잡을 수 있으나 공격 시 노랗게 변하는 걸로 보아 애초에 피해를 입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13] 천장 낙하는 적중당할 경우 즉사하며, 쿵쿵 걸음은 공격주기가 매우 짧아 아주 잠깐 피격되도 2 이상의 피해를 받는다. 또한 아수라 좀비와 직접 접촉 시 바로 죽는다.[14] 충격파를 제외한 나머지 패턴은 에불루션의 것을 채용한것으로 보인다.[a] 스티커 '폭신 배개'를 장착하거나 보호막을 받으면 1의 체력으로 살 수 있다.[16] 약 4~5초[17] dr.브레인과 동일한 판정이다.[18] 이때 판정이 사라져 밟을 수 있게된다.[19] 펑키핑크 시저는 발악 패턴때 머리 풀리는것을 제외하면 클래식의 외형을 지킨 반면 더티민트 시저의 경우 와이셔츠를 발악 패턴에 가서야 사라진다. 자켓은 조금 찢어질뿐 사라지지 않는다.[20] 모션 중 무적이 적용된다.[펑키핑크시저] [더티민트시저] [23] 패턴이 끝날때까지 지속된다.[a] [25] 시작되면 잠시 심장이 뛰는 소리가 들린다.[26] 개연성이 없다 생각됬는지 제거한듯 하다.[27] 다만 속박 중 무적인거도 아니고 사무엘은 계속 패턴을 시전하기에 해제되기 전에 죽는다 보면 된다.[b] 폭신 베개와 보호막으로 막을 수 없다.[29] 데이터상[30] 출시 초기에는 받은 데미지가 그대로 보여졌지만 패치 후 0으로 처리된다.[a] [b] 폭신 베개와 보호막으로 막을 수 없다.[b] [34] 기존 기둥을 파괴하진 않는다.[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