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20:17:35

종남파(화산귀환)

구파일방(九派一幇)
종남파 무당파 개방 소림 해남파
천하검
종리곡
허도 풍영신개 법정 금양백
청성파 점창파 공동파 곤륜파 아미파
벽현 ? 복마산인
종리형
? 관해


1. 개요2. 상세3. 무공4. 구성원5. 속가

1. 개요

웹소설 화산귀환종남파.

2. 상세

화산과는 과거부터 라이벌 관계에 있었던 문파로 구파일방의 하나이다.[1] 천하삼십육검을 사용하는 문파였으나 매화검존에게 한번도 이기지 못하자 트라우마가 생겼는지 '설화십이식'이라는 이십사수매화검법과 매우 닮은 쾌검을 만들어내고 천하삼십육검을 버린다.[2] 하지만 천하비무대회 때 뭔가 깨달았는지 이후에 봉문한다.

종남의 봉문 이후 쳐들어온 만인방 습격사건 때 남자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속가들이 도망쳤으며, 이 일로 인하여 서안에서 종남이 민심을 잃어버리는 큰 이유가 되었다. 이후 크게 반성하여 사파의 서안침공 때는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임에도 화영문의 주도 아래 힘을 합쳐 맞섰으며 봉문을 풀고 나온 화산파에 의해 살아남았다.[3]

봉문을 선언할 때는 1년 동안 할 거라고 했지만 무슨 사정이 있는지 861화 기준으로 봉문한 지 5년이 되어도 풀지 않았다. 진금룡이나 이송백 건도 그렇고, 아직 이십사수매화검법을 훔쳐가고 화산을 괄시한 죗값을 다 치르지 않아서[4] 어떻게든 향후 다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사패련이 사천을 침공한 1438화에서 드디어 봉문을 풀었다.

소설 49화에 따르면 종남도 도가 문파다. 도가 문파이면서 도호를 내리지 않는 종남이 특이한 경우인 것.

3. 무공

중도의 검을 기초로 하여 강하지도, 화려하지도, 빠르지도 않지만, 그 어느 검보다 완벽한 정석의 검을 추구한다. 일체의 변화와 잔재주를 배제한 묵직한 검을 이용해 공격하며, 쏟아지는 공격을 완벽히 방어함으로써 승리를 노린다. 화산과 마찬가지로 양 다리를 어깨 너비로 벌린 뒤 검을 살짝 들어올리는 상단세를 기본 자세로 삼는다. 백년 전 매화검존에게 털린 과거 때문에[5] 몰락한 화산의 무공을 훔쳐 만든 설화십이식을 만들었으나 청명의 말에 따르면 되레 종남파 스스로가 몰락을 자처하고 있다고 조소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종남의 검은 묵직한 정석의 검으로써 그 진가가 드러남에도 빠르고 변초가 많은 화산검법을 억지로 펼치면서 무공이 망가졌다고.

4. 구성원

파일:화산귀환 기목승.jpg}}} ||
은하상단에 있던 종남의 장로. 마화를 앓고 있던 황문약의 증세를 조금도 알아보지 못하고, 그를 살리기 위해선 종남의 주도 하에 도제를 지내는 방법밖에는 없다며 황종의를 다그친다.
파일:화산귀환 사마승.jpg}}} ||
종남파의 장로. 화종지회 종남파 인솔자였다. 화종지회에서 청명을 보고 청명이 살아있는 한 종남은 100년 전 매화검존 때와 비슷하게 청명에게 눌려지낼 것이라는 예감을 가졌고, 청명이 진금룡과 이송백을 포함한 이대제자 10명을 연승전 형식으로 모두 이겨버리자 청명을 암습해서 죽일 생각까지 한다. 천하비무대회에서도 청명과 맞붙을 예정이던 이송백에게 극독을 주며 청명을 죽일 것을 지시하나 진금룡에 의해 저지당한다. 현 종남파가 몰락하고 있다는 증거의 상징.
파일:종서한.jpg}}} ||
종남 이대제자 중 이인자격의 인물. 화종지회 때 청명을 무시했으나 단 이격에 개작살이 났다. 천하제일비무대회에서도 건들거리다가 백천에게 털리기만 한다. 이후 이송백과 청명의 비무를 보며 그동안 무시했던 이송백의 진가를 알게 되고 그를 다시 보게 된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청명이 있는 한 종남은 화산을 다시 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도 함께 가진다.
종남 이대제자. 이송백의 사제.
종남 이대제자. 이송백의 사제이며 화종지회에서 첫번째로 청명과 비무를 한 이대제자이다.
종남 이대제자. 이송백의 사제.
종남 삼대제자. 화종지회에서 첫번째로 청명과 비무를 한 제자이다.
종남 삼대제자. 화종지회에서 윤종과 비무를 한 제자이다.

5. 속가

종남의 봉문 이후 쳐들어온 만인방 습격사건 때 남자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속가들이 도망쳤으며, 이 일로 인하여 서안에서 종남이 민심을 잃어버리는 큰 이유가 되었다. 이후 크게 반성하여 사파의 서안침공 때는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임에도 화영문의 주도 아래 힘을 합쳐 맞섰으며 봉문을 풀고 나온 화산파에 의해 살아남았다.


[1] 사실 두 문파 모두 섬서성에 위치해 가깝고 쾌와 환을 중심으로 하는 화산파와 다르게 중과 변을 중심으로 하는 정반대의 검법을 가졌다. 청명은 종남을 싫어하지만 화산이 강해지기 위한 경쟁자로서 종남은 필요하다고는 생각하는 듯하다.[2] 사실 매화검존 청명이 특출난 사람이라 그랬지, 천하삼십육검이 결코 이십사수매화검법에 뒤지는 무공은 아니다. 오히려 상성만으로 놓고 보면 천하삼십육검이 대성한다면 이십사수매화검법에게 상성이 좋다. 다만 상성이고 나발이고 공평하게 대가리를 깨고다니던 청명이 상대라... 그 청명曰 "내가 화산이었으니 매화검존이었지 종남이었으면 종남검존이었을 거다." 이 말은 종남의 무학이 화산의 것보다 못한 게 아니라는 평이 담긴 말이다. 그리고 이십사수매화검법을 효율적으로 변형하여 만들었다 했으나 실제로는 이십사수매화검법의 요체인 개화가 아닌 드러나는 모습(껍데기)인 매화에만 집착했기 때문에 천하삼십육검을 버린 종남은 머잖아 망할 것이라고 청명이 평하기도 했다.[3] 사실 종남은 이때 진금룡, 이송백 등 이대제자들을 서안으로 보냈으나 화산이 먼저 와서 상황정리한 것을 알고 조용히 돌아갔다.[4] 청명은 이송백에게 이걸 어느 대부터 배우냐고 물어보면서 설화십이식을 창안한 배분을 가늠해보며 아직 살아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극초반에 나온다. 어떻게든 풀릴 가능성이 높다.[5] 종남의 본거지와 화산간엔 거리가 좀 있으나, 청명이 종남파 본거지는 감시가 없다면서 자주 놀러갔는데, 갈 때마다 시비가 붙어 개박살을 냈다. 당연하지만 화산파와 종남파가 그 이전에는 서로의 영역을 암묵적으로 침범하지 않았는데 청명이 허구한 날 종남파 본거지가 있는 곳으로 놀러오고 이를 제지하려는 종남파의 무사들과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 당연히 청명은 그때마다 압도적인 힘으로 종남파 고수들을 박살내는 방식으로 무마시켰다. 물론 이 방식이 화산파가 건재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화산파가 몰락 후 종남파가 약체화된 화산파를 서서히 침탈하는 계기가 된다.[6] 매화검법의 검결이나 내공의 운용 등은 이해 못한 채[7] 이에 청명은 종남파가 스스로 몰락하고 있다고 조소한다.[8] 청명마저 "시작은 느릴지라도 쌓이다 보면 끝도 없이 강해진다."라면서 굉장히 고평가했다.[9] 작명의 모티브는 응답하라 1988에서의 류동룡의 형제 류대룡, 류소룡, 류금룡, 류은룡, 류소룡 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0 (이전 역사)
문서의 r3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