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 | KBO 심판위원 2025 시즌 심판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군 | ||
2 전일수 · 3 최수원 · 6 권영철 · 8 추평호 · 9 이기중 · 10 나광남 · 11 박종철 · 12 이영재 · 15 함지웅 · 17 오훈규 · 21 이계성 · 22 박근영 · 24 이호성 · 25 박기택 · 27 장준영 · 28 장호석 · 30 이용혁 · 33 김태완 · 35 윤태수 · 36 김익수 · 37 김병주 · 39 구명환 · 41 배병두 · 42 이민호 · 43 김성철 · 45 김선수 · 47 최영주 · 50 김정국 · 51 문동균 · 52 송수근 · 53 차정구 · 54 김준희 · 57 정은재 · 59 정종수 | |||
2군 | |||
7 문승훈 · 13 허정수 · 16 김정 · 18 윤상원 · 19 황인권 · 20 강광회 · 23 김갑수 · 26 원현식 · 34 우효동 · 38 김풍기 · 46 송원호 · 48 박지민 · 55 황인태 · 58 방건우 · 61 전준영 · 63 하승범 · 64 이상민 · 65 김준석 | |||
}}}}}}}}} |
차정구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3번 | ||||
라형진 (1999~2005) | → | 차정구 (2006) | → | 김상준 (2007) |
| |
KBO 리그 심판위원 No.53 | |
차정구 車整求 | Cha Jeonggu | |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 1985년 7월 29일 ([age(1985-07-29)]세) |
국적 |
|
학력 | 광주제일고 - 동강대 |
포지션 | 외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6년 신고선수 (삼성)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06) |
경력 | KBO 심판위원 (2012~) |
가족 | 아버지 차영화[1], 배우자(2019년 11월 9일 결혼~현재)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現 KBO 심판.2. 선수 경력
고2 당시 1년 선배들인 김대우, 고우석, 오준형, 이대형 등의 활약으로 2002년 전국대회 2관왕(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을 이뤘을 때 백업 멤버였으며 1루수로 출전했다.고3이던 2003년에는 동기들인 모창민, 김성계, 김태완과 함께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고교 졸업 후 2004년에 창단된 동강대학교 야구부 창단멤버로 입학했다.
동강대를 졸업한 2006년에 삼성 라이온즈의 신고선수로 입단했다가 1년 만에 방출되었다.
3. 심판 경력
- 2011년에 심판 교육을 받고 자격을 취득한 후, 2012년 KBO 심판으로 입사하였다.
- 2024년 6월 15일 엘 꼴라시코 경기에서 오스틴의 송구방해 판정을 취소한 심판이었다.
- 2024년 10월 9일 LG vs KT 준PO 4차전 11회말에서 강백호의 좌익수 방향 뜬공을 문성주가 슬라이딩하며 페어지역에서 글러브로 건드리며 놓쳤는데, 좌선심이었던 차정구 심판은 이것을 가까이서 보고도 파울이라고 선언하였고 비디오 판독을 거쳐 페어로 정정되며 많은 비판을 받았다.
- 2025년 6월 20일 클래식 씨리즈 경기에서 8회 말 강민호와 마찰이 있었다. 강민호의 추측으로는 체크 스윙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차정구 심판이 욕설을 했다는 것.[2] 다음날 둘이 만나 오해를 풀었다고 한다.[3]
4. 특징
5. 여담
- 삼진콜을 하다가 주저앉은 적이 있다. 그때가 위르겐 클롭이 세레모니를 하다가 햄스트링 부상을 당했던 때라 관련 드립이 성행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