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5f5f5,#000> 인공지능 | <colbgcolor=#fff,#191919>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전주대학교 | |
빅데이터 | 서울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한동대학교 | ||
차세대반도체 |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대구대학교, 숭실대학교, 조선이공대학교, 중앙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
미래자동차 | 국민대학교, 계명대학교, 대림대학교, 선문대학교,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충북대학교 | ||
바이오헬스 | 단국대학교, 대전대학교, 동의대학교, 상명대학교, 우송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홍익대학교 | ||
실감미디어 |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계명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배재대학교, 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 ||
지능형로봇 | 한양대학교 ERICA, 광운대학교, 부경대학교, 상명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조선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 ||
에너지신산업 | 고려대학교, 강원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전북대학교, 한양대학교 |
<colbgcolor=#243E73><colcolor=#ffffff>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COSS사업 | |
<#ffffff,#1f2023> | |
국가 |
|
목표 | 2026년까지 첨단분야 인재 10만 명 양성 |
대상 | 전국 일반대, 산업대, 전문대 재정지원 가능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
사업 기간 | 2021~2026 (6년: 3+3년) |
2024년 사업비 | 총 816억 원 |
링크 |
1. 개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사업)’은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학과간의 벽을 넘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첨단분야의 교육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1.1. 비전 및 목표
비전은 융합·개방·협력으로 첨단분야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사업목표는 첫째로 지역 간·대학 간 교육역량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여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양성 체계 구축, 둘째로 컨소시엄 대학의 자원을 공동활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수준별 모듈형 표준 교육과정 개발 마지막으로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학생 누구나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생 선택권 대폭 확대하는 것 이다.
1.2. 추진내용
[POINT 1]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체계 구축첨단분야의 교원, 교육 컨텐츠, 시설, 기자재 등 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자원을 공동 활용하는 수도권-지방 협업 모델 마련
[POINT 2] 공유 가능한 표준 교육과정 개발
첨단분야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우수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주기적 질 관리
[POINT 3] 희망하는 학생에게 첨단분야 교육기회 제공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하는 학생이 첨단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대폭 확대
[POINT 4] 공유·협력 및 성과 확산
각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첨단분야별 교육 컨텐츠를 사업 수행대학 전체가 공유·활용
2. 세부 분야
지원 분야는 대학주도형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실감미디어, 지능형 로봇, 에너지신산업과 지자체참여형인 항공드론, 반도체소부장, 이차전지, 차세대통신, 에코업, 그린바이오, 첨단소재나노융합, 데이터보안활용융합, 차세대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으로 나뉜다.2.1. 대학주도형
2021년부터 시작된 대학주도형 사업은 첨단분야별 수도권-지방대학 간 연합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rowcolor=#fff> 첨단분야 | 주관대학 | 참여대학 |
인공지능 | 전남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
빅데이터 | 서울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한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차세대반도체 | 서울대학교 | 강원대학교, 대구대학교, 숭실대학교, 조선이공대학교, 중앙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미래자동차 | 국민대학교 | 계명대학교, 대림대학교, 선문대학교, 아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충북대학교 |
바이오헬스 | 단국대학교 | 대전대학교, 동의대학교, 상명대학교, 우송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홍익대학교 |
실감미디어 | 건국대학교 | 경희대학교, 계명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배재대학교, 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
지능형로봇 | 한양대학교 ERICA | 광운대학교, 부경대학교, 상명대학교, 조선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
에너지신산업 | 고려대학교 |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원대학교, 부산대학교, 전북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
2.1.1. 인공지능
<rowcolor=#fff> 인공지능 “모두를 위한 AI 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2만명 양성” | |
미션 | 인공지능 혁신 융합 대학 생태계 활성화 |
비전 | AI 교육체제 혁신과 공유를 통한 AI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양성 |
인재상 | 인공지능 기술을 사회 및 산업 각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 |
핵심역량 | 인공지능 전문역량 및 AI+X 융합 역량 |
사업목표 | AI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2만명 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05.01. ~ 현재2) 참여분야: 인공지능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인공지능 기반 4차 산업혁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실무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ACE(AI Convergence Excellence) 인재 양성하기 위해 7개 참여대학의 역량을 결집하고 공유하여 첨단 신기술 분야의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한다. 그리고 AI 교육체계 혁신과 공유를 바탕으로 AI 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2만명 양성을 통해 국가적 차원의 AI 고등교육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인공지능 핵심지식을 분류․모듈화하여 공통의 핵심교과목을 개발하고, 컨소시엄 내 공동 운영(’21~’26)하고 있으며, K-MOOC 공개 강좌를 통해 인공지능 교과목을 일반국민에게도 공개하고 CO-Week 아카데미를 통해 첨단분야 간 교류 지원한다.
|
외국 현지 산업체와의 글로벌 산학협력프로젝트, AI융합 문제발굴 및 산학연계 해커톤, CO-SHOW 연계 AIM Challenge, A·I·B 메타컨소시엄 기업-학생제안 비교과 프로그램, J-curve Next 스타트업 창업캠프 등을 운영하고 있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AI+X Lab 융합 동아리, AI+E Hub 교육 동아리 활동을 통해 AI 확산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과 강의 활동을 수행하며 AI 융합 역량 배양하고 있다. 그리고 AI+S Forge 창업 동아리 활동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개발, MVP 제작, 시장 검증을 통해 AI 스타트업 도전 및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고 있다.
COSS 서포터즈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인공지능 분야 공통 교육과정 설계 및 20개 공동운영교과목 개발․운영
- AI+X 융합교육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체계 확립 및 교육과정 운영
- 인공지능 분야 공동운영 교과목 및 특화교과목 MOOC 컨텐츠 개발 및 공유
- 실시간 다원중계 첨단강의실, AI학습플랫폼, 메타버스 클래스 등 교육인프라 확보
- AI 산학협력 해커톤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통한 창의적 실무인재 육성
[5] 외부 홍보 관련 링크
<rowcolor=#fff> 구분 | 대학명(SNS) | 링크 |
공식 SNS 채널 | 전남대(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jnu_aicoss/ |
전남대(유튜브) | https://youtube.com/@aicoss/ | |
전남대(블로그) | https://blog.naver.com/aicoss_jnu/ | |
성균관대(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skku_ai_coss/ | |
성균관대(유튜브) | https://www.youtube.com/@skkuaicoss/ | |
성균관대(블로그) | https://blog.naver.com/skkuaicoss/ | |
서울시립대(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uos_aicoss/ | |
서울시립대(블로그) | https://blog.naver.com/uos_aicoss/ | |
서울과기대(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seoultech_coss/ | |
경북대(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knu_ai_coss/ | |
경북대(유튜브) | https://www.youtube.com/@knu_aicoss/ | |
경북대(블로그) | https://blog.naver.com/knu_aicoss/ | |
전주대(인스타1) | https://www.instagram.com/jj_aicoss/ | |
전주대(인스타2) | https://www.instagram.com/aicoss_jj/ | |
전주대(블로그) | https://blog.naver.com/jj_ai/ | |
전주대(페이스북) | https://shorturl.at/wNc7G/ | |
영진전문대(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yju._.aicoss/ |
2.1.2. 빅데이터
<rowcolor=#fff> 빅데이터 “변화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첨단분야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 | |
미션 | 빅데이터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인프라 구축 및 산업체, 지역사회에 성과 확산 |
비전 | 빅데이터 분야 다양성을 함양한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적 분산 융합 대학 구축 |
인재상 | 미래 변화 대응을 위해 도전하고 창조하며 빅데이터 첨단분야의 수월성을 갖춘 인재 |
핵심역량 | 4대 기본역량: 자율, 도전, 창조, 인본 3대 핵심역량: 융합성, 수월성, 다양성 |
사업목표 | 디지털 기반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통해 가치창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핵심인재 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00.00 ~ 현재
2) 참여분야: 빅데이터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 뉴딜 전략에 발맞춰, 데이터·AI·5G 등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 이후의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에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전공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학사 체계와 수준별·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중심의 맞춤형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빅데이터 컨소시엄의 참여 대학은 공통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8개(위 사진 교육과정 및 빅데이터 자율설계 중급, 고급 포함) 함께 각 학교별 특화된 연계융합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2)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실무능력 및 지역사회 연계 강화를 목표로 기업-학생 제안 실무형 프로그램, 해커톤, 자격증 특강 및 경진대회, 컨퍼런스 등을 통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참여를 유도하였다. 특히, 서울대에서는 학부생 대상 커뮤니티 플랫폼 'LINK Big'을 운영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단계별 비교과 참여를 유도하였다. 프로그램은 포트폴리오 축적 및 진로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게임적 요소를 접목하여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였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2024 공공데이터 활용 서울시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발된 자료는 서울 열린데이터관장의 활용사레로 등록됨.
- 루마니아 부카레스트대학교와의 협력 하에 'Data Science and AI Summer School' 프로그램이 공동 개최되어 국제적 교육 경험 확대에 기여하였다
- 네바다주립대학교 및 퍼듀대학교와 연계하여 연구프로그램 진행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bigdatahub.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사업단 공식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빅데이터혁신융합-t1f/ |
사업단 공식 카카오톡채널 | https://pf.kakao.com/_xkZKxbb/ |
사업단 공식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coss_bigdata/ |
경기과기대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gtec_bigdata/ |
경상국립대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gnu_bigdata/ |
서울시립대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uos_bigdata/ |
숙명여자대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mwu_bigdata/ |
전북대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jbnu_bigdata/ |
한동대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hgubigdata/ |
2.1.3. 차세대반도체
<rowcolor=#fff> 차세대반도체 “반도체 시장의 세계 1위를 위한 차세대반도체 미래 인재양성” | |
미션 | 차세대 반도체 맞춤형 교육을 통해 적성 분야를 스스로 선택하는 교육인프라 구축 |
비전 | 차세대 반도체 분야를 이끌어 나갈 책임감 있는 미래 인재양성 |
인재상 | 한국의 미래 반도체 산업 공동체에 이바지할 젊은 지식인 |
핵심역량 | 6개 핵심역량: 실천, 논리, 창의, 융합, 인성, 연결 |
사업목표 | 진로 탐색 기회 제공을 위한 맞춤형 교육으로 연 2,800명 이상 인력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05.~ 현재
2) 참여분야: 차세대반도체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전공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반도체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온라인, 오프라인을 병행한 유연한 교육 방식으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반도체 분야에 적합한 인재를 발굴하고 다양한 진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전략 산업인 반도체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이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일반, 소자공정, 회로시스템, 시스템SW, AI반도체 분야에 대한 마이크로디그리 인증 제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산학 연계를 통해 2022년부터 공학지식및실무, 메모리와반도체, 반도체CEO특강, 반도체산업이해, 인공지능반도체기술및응용, 중급프로젝트 등의 교과목이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
2) 비교과 프로그램
주관 대학과 참여 대학은 차세대반도체와 관련된 다양한 경진대회와 포럼 및 행사,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세미나 및 실습 그리고 고등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K-MOOC 등을 통해 온라인 강좌도 제공하고 있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주관 대학과 참여 대학의 학생들은 2021년부터 COSS 서포터즈, 기업 현장견학, 경진대회, 반도체기업 탐방 및 취업캠프에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차세대 NAND Flash 소자 개발을 위한 연구에 학생연구생으로서 2023년부터 현재까지 참여하고, 학회 및 차세대반도체 동아리 활동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주관 대학의 학생연구생에 2023년과 2024년 참여한 학생들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대기업에 취업하였고, 2025년 참여 학생들의 논문은 SSDM(Solid State Devices and Materials) 2025 학회지에 게재되었다.
- 참여 대학의 학생이 ICASSP 2025에 2편, AAAI 2025에 1편의 게재 허가를 받았다.
- 2025년에는 참여 대학의 학생 중 2명이 텔레칩스에, 1명이 코아시아 세미에 취업하였다.
- 그뿐만 아니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나인플러스, ㈜아진전자, 한국폴리텍대학 등 각 지역 내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과 MOU를 체결하거나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5] 공식 홈페이지 및 SNS 계정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semicon.disu.or.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인스타그램(서울대) | https://www.instagram.com/snu_polaris/ |
인스타그램(강원대) | https://www.instagram.com/knu_unive_polaris/ |
인스타그램(대구대) | https://www.instagram.com/daegu_univ_polaris/ |
인스타그램(숭실대) | https://www.instagram.com/ssu_polaris/ |
인스타그램(중앙대) | https://www.instagram.com/cau_polaris_semicon/ |
인스타그램(포항공대) | https://www.instagram.com/postech_polaris/ |
유튜브(전체) | https://www.youtube.com/@차세대반도체혁신융합/ |
유튜브(대구대) | https://www.youtube.com/@대구대학교차세대반도/ |
유튜브(숭실대) | https://www.youtube.com/@숭실대학교차세대반도/ |
네이버카페(중앙대) | https://cafe.naver.com/semiconcau/ |
오픈채팅방(중앙대) | https://open.kakao.com/o/gCz4Ytjh/ |
2.1.4. 미래자동차
<rowcolor=#fff> 미래자동차 “우리의 미래, 지구의 미래, 모두의 미래를 위한 미래자동차 혁신인재 양성” | |
미션 | 미래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인재양성을 위해 국사 수준의 고등교육 체계 구축 |
비전 | 미래자동차 고등교육체계의 새로운 표준제시 |
인재상 | 세상을 바꾸는 자율주행 xEV π형 인재 - π형 인재: 다양한 분야를 학습하여 새로운 지식과 창의력을 무한 발산하는 인재 |
핵심역량 | 5개 핵심역량: 자기주도역량, 전문역량, 창의역량, 융합역량, 문제해결역량 |
사업목표 | 전·소통·협력을 통한 미래자동차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경계없는 교육생태계 구축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00.00 ~ 현재
2) 참여분야: 미래자동차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 사업은 여러 대학이 협력하여 미래자동차 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학생이 자신의 전공과 더불어 미래차 기술 전문성까지 갖춘 'π(파이)형 융합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
|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 마이크로디그리 : 타계열 정공 및 비교과 활동을 직접 설계하는 자기설계 마이크로디그리, 타컨소시엄 연계 마이크로디그리, 연계•융합 전공 마이크로디그리
- K-MOOC교과목 운영(개발 15건, 운영 32건)
- 지∙산∙학 연계 WE-Meet 프로젝트: 캡스톤 디자인(3학점), 알파프로젝트(3학점) 등 학사제도를 통한 학점인정
2) 비교과 프로그램
주관 대학 및 참여 대학에서는 경진대회, 비교과 Skill-up 교육, 미래자동차 SW 글로벌 산학협력인재 양성 프로그램(SEA:ME), 취업∙창업 캠프(커리어 캠프, FLOW창업집중훈련), 전공동아리, 글로벌 프로그램 운영
[3] 학생 참여 및 활동
- KSAE대학생 자작자동차 대회, SEA:ME 해커톤 경진대회, 자율주행 경진대회 AutoRace, AutoHack, AWS딥레이서, 대학생 스마트 e-모빌리티 경진대회, 연비경진대회, 스케일카 자율주행 경진대회, 2024 한국 ITS학회 춘계학술대회, 2024 대학생 자율주행 경진대회 참여
- 글로벌 프로그램을 통해 Future Vehicle Global Leadership Program, 오번대학교/벨뷰대학 동계 글로벌 교육,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 참여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AutoRace 2024 스케일카 경진대회 Clothoid-T팀 교육부장관상, WE-Meet 프로젝트: 교육부장관상,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 2024 춘천 AWS딥레이서 챔피언십 최우수상, 연비경진대회 최우수상, 전공동아리 AUTOSUN팀 SEA:ME 해커톤 경진대회 대상 등을 수상
- 자작동아리 KORA, KSAE대학생 자작자 대회 Formula 부문 8년 연속 1위, 2024 미래자동차 AWSDeepRacer 교육 및 챔피언십리그 2연승 달성
- 광주, 아산시, 수원시, 충청북도와 연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 국민대학교 미래자동차 COSS 서포터즈(3기) 고등학교 파견 및 사업 홍보 행사 진행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rowcolor=#fff> 대학명 | 링크 |
국민대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 | https://coss.kookmin.ac.kr/ |
계명대학교 미래자동차 지산학인재원 | https://coss.kmu.ac.kr/ |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 https://coss.daelim.ac.kr/ |
선문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부 | https://car.sunmoon.ac.kr/ |
아주대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 | https://future-car.ajou.ac.kr/ |
인하대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 https://fvt.inha.ac.kr/ |
충북대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 | https://coss.cbnu.ac.kr/ |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대학명 | 채널명 | 링크 |
국민대 | kmu_coss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mu_coss/ |
국민대학교 미래혁신단 (미래자동차사업단)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국민대학교미래혁-l9i/ | |
계명대 | kmu_fccoss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mu_fccoss/ |
계명대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사업단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kmu_fccoss/ | |
대림대 | daelimcoss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daelimcoss/ |
대림대학교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daelimcoss/ | |
인하대 | inhafvt21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inhafvt21/ |
인하대학교 미래자동차 사업단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인하대학교미래자동차/ | |
충북대 | cbnu_coss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cbnu_coss/ |
CBNU COSS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bnu_coss/ | |
블로그 | https://blog.naver.com/cbnu_coss/ | |
아주대 | coss.ajou_futurecar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coss.ajou_futurecar/ |
아주대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coss.ajou.futurecar/ | |
블로그 | https://blog.naver.com/ajoufuturecar/ | |
선문대 | sunmoon_coss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unmoon_coss/ |
2.1.5. 바이오헬스
<rowcolor=#fff> 바이오헬스 “나의 건강, 가족의 건강, 사회의 건강, 모두를 지키는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 |
미션 | 대학의 유·무형의 자원을 공유하여 대학들이 함께 상생·발전 |
비전 | 미래 바이오헬스 혁신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및 청년실업 해소 |
인재상 | s형인재: 5개 핵심역량을 겸비한 디지털 바이오헬스 분야 실무형 인재 |
핵심역량 | 디지털융합능력, 인간사회공감력, 자기점검능력, 상호소통능력, 창조적문제해결력 |
사업목표 | 미래 바이오헬스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플랫폼 구축·운영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05.01~현재
2) 참여분야: 바이오헬스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인한 바이오헬스 산업구조 재편과 직무 변화에 대응하여, 경계를 넘는 혁신과 교육 플랫폼 개방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 인재 양성을 추진함
이를 위해 ▲융복합 교육과정 혁신·공유 ▲첨단 융합교육환경 혁신·공유 ▲AI EduTech 기반 증강형 교육방법 혁신·공유 ▲글로벌 지・산・학 연계기반 혁신·공유 ▲IR 기반 융합교육성과 혁신·공유의 5대 핵심 추진전략을 수립·실행함
|
[2]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1) 교육과정
-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은 특성화・강점 요소를 살려 4개 전공, 54개 교육과정, 168개 교과목 공동개발・운영
- 7D+∞ 교육과정: 디노베이션(코어/프라임), 바이오헬스디자인, 바이오헬스디바이스, 바이오헬스데이터, 첨단바이오테크, 디지털리빙랩, 인피니티(∞)로 구성하여 운영
- 10개 연계/융합전공, 자율설계형, 학과·전공 연계형, 자격 연계형, 기관 연계형, 컨소시엄 연계형, 직무 연계형, 글로벌 연계형 등 116개의 전문화특성화된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2) 비교과 프로그램
-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은 전공 교과와 연계된 특강, 공모전, 워크숍, 경진대회 등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실무역량과 현장 적응력 강화
- 산업체·연구기관·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창업, 취업, 글로벌 경험 등 맞춤형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학문적 성취와 더불어 실질적인 직무 역량 강화 지원
[3] 학생 참여 및 지산학 연계 활동
- 취창업 목표 학생 대상 전문가 특강, 현장실습, 멘토링, 아카데미 프로그램, 경진대회 등 운영, 진학 및 연구 목표 학생 대상 연구동아리, 국내외 학술대회 및 컨퍼런스,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 운영
- 그 외도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양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시민 대상 교육, 건강취약계층 지원, 일반인·재직자 교육 등 지역 맞춤형 연계 활동 추진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주관 대학 및 참여 대학 학생들은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 컨소시엄을 통해 2024 WE-Meet Award 교육부장관상 및 대한상의회장상, COSS Open Innovation Challenge 2024(CO-SHOW 경진대회) 교육부장관상 등 다수 수상
- 2023년 의료기기 규제과학(RA) 기관 인증을 획득하고 「의료기기 규제과학(RA)Ⅰ·Ⅱ」 교과목을 운영하여 RA 전문가를 양성하고 자격증 취득 성과를 거둠
- 「바이오헬스논문연구」, 「산학프로젝트실습」 등의 교과목을 통해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다수의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학술지 논문 게재를 통해 학문적 성과를 거둠
- 바이오헬스(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아이디어 특허를 출원하고 글로벌 창업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생 창업 성과 창출
- 캐나다 병원과의 협력으로 「글로벌 필드 트레이닝」 교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데이터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등 국내 주요 의료기관 취업으로 성과를 확산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rowcolor=#fff> 구분 | 링크 |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 대표 홈페이지 | https://www.biocoss.ac.kr/ |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 통합플랫폼 | https://portal.biocoss.ac.kr/ |
대전대학교 | https://www.dju.ac.kr/biohealth/ |
동의대학교 | https://bhcoss.deu.ac.kr/bhcoss/ |
상명대학교 | https://biohealth.smu.ac.kr/biohealth/ |
우송대학교 | https://biohealth.wsu.ac.kr/ |
원광보건대학교 | https://wubh.imweb.me/ |
홍익대학교 | https://biohealth.hongik.ac.kr/ |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대학명 | 채널명 | 링크 |
단국대학교 | 블로그 | https://blog.naver.com/dankookbiohealth/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dankook_coss/ |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biohealth_coss/ | |
대전대학교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dju_coss/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dju_coss/ | |
블로그 | 대전대학교 네이버 블로그 | |
동의대학교 | 서포터즈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deu_coss/ |
상명대학교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mu_biocoss/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상명대바이오헬스/ | |
우송대학교 | 서포터즈 블로그 | https://blog.naver.com/wsubiohealth/ |
바이솔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wsu_coss/ | |
원광보건대학교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wonter_coss/ |
블로그 | https://blog.naver.com/wonter_coss/ |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wubh2021/ | |
카카오톡 채널 링크 | http://pf.kakao.com/_xlExoDxj/ | |
홍익대학교 | 홍푸름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hongik_coss/ |
홍푸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ongik_bio/ | |
홍푸름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홍익대학교바이오-d5j/ |
2.1.6. 실감미디어
<rowcolor=#fff> 실감미디어 “누구나 쉽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실감미디어 전문인력 양성” | |
미션 | 수요자 중심 교육 공유 및 확산으로 상호협력 및 상생 |
비전 | 글로벌 창의융합 인재양성 및 개방적 실감미디어 혁신융합대학 기반 상호협력과 상생 |
인재상 | 실감미디어 사업을 선도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창의융합 인재 |
핵심역량 | 종합적역량: 실감미디어 분야의 혁신과 발전을 위해 종합적으로 사고 개인적역량: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끊임없이 도전하여 목표달성 사회적역량: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하여 사회 문제 해결 |
사업목표 | 자립형 실감미디어 교육생태계 구축, 대학 간 융합형 교육모델 창출 및 확산, 대학·기업·지역 간 민관산학협력가치 확산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 5. 1. ~ 2027. 2. 28.(70개월)
2) 참여분야: 실감미디어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실감미디어 신산업을 선도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수요자 중심 교육의 공유 및 확산을 통해 상호 협력과 상생을 비전으로 하며, 소속대학에 관계없이 실감미디어 분야 교육과정을 수준별, 분야별로 자유롭게 수강하는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
2) 비교과 프로그램
- 하계/동계 글로벌 교육프로그램은 ‘글로벌학제간프로젝트기획’, ‘글로벌학제간융합프로젝트’등의 계절학기 과목과 연계되어 운영된다.
- 실감관광콘텐츠/ 실감미디어 경진대회는 실감미디어 및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취업 및 창업의 기회를 제공한다.
- We-Meet(교과)과 AIB 비교과 프로그램은 각 혁신융합대학이 가진 공유 협업을 통해 생들의 역량 강화와 학생들의 현장 실무 기회를 제공한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WE-Meet (교과), COSS 서포터즈(장학), 해커톤(실감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창업동아리 및 창업프로젝트(산학협력 인프라를 활용한 창업 활동 증진)에 참여한다.
- 그 밖에 외국 대학과의 교류 및 산업계와의 교류를 기반으로 하는 전공 특화 프로그램(일본 게이오대, 말레이시아 모나쉬대, 스페인 지로나대 등), 부산 국제 마케팅 광고제, 국제 게임전시회 G-STAR, X-Space를 활용한 전공체험 프로그램, 마이크로디그리 EXPO 등도 운영한다.
- 실험적 계절학기인 <선유도 K-관광섬>해커톤을 건국대, 전주대, 중앙대, 계명대, 계원예대의 실감미디어 관련 학과 재학생 80여 명이 참여한 2025년 하계 교과로 운영. 학생들의 젊은 창작 감성으로 지역 관광 콘텐츠를 새롭게 해석한 해커톤 과정은 2025년 9월11일 다큐 <섬에서 여는 또 하나의 세상>에 담겨 전주MBC 외 전국 16개 MBC 지역사에서 방송.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2024년에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우수 서포터즈 대상(부총리겸교육부장관상), 실감미디어 경진대회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WE-Meet 프로젝트 교육부장관상, 글로벌 이노베이터페스타(GIF) 대구광역시장상 및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장상 등을 수상하였다.
- 실감미디어 컨소시엄은 글로벌 해커톤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2024년도 PTIT Joint 해커톤(베트남 하노이 PTIT통신기술대학), 2024 CAU-CMU Joint 해커톤(태국 치앙마이대학), 2025 건국대-아키타국제대 글로벌 해커톤(일본 아키타 국제대) 등을 통해, 실감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목적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다.
- 2023년부터 서울대학교와 전남대학교와 협업하여 Virtual Production을 활용한 브랜드 영상제작 워크숍, 해외 교육연수 프로그램(루마니아 부카레스트 대학), AI 융합 산학연계 해커톤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www.xr.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2.1.7. 지능형로봇
<rowcolor=#fff> 지능형로봇 “사회적 동반자 지능형 로봇을 이끌어갈 핵심인재 양성” | |
미션 | 나눔으로 상생하는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교육모델 실현 |
비전 | 세계 최고의 지능형로봇 분야 혁신융합대학 구축 및 핵심인재 양성 |
인재상 | 지능형로봇 분야의 전문역량과 융합능력을 갖춘 실용인재 |
핵심역량 | 프로그래밍, 로봇기구, 로봇전장, 로봇케어, 로봇지능 |
사업목표 | 진정성과 실현가능성을 갖춘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교육 모델 구축 지속가능성이 담보된 지능형로봇 융합 교육시스템 구축 학생중심의 지능형로봇 융합 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환경 구축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00.00 선정 ~ 현재
2) 참여분야: 지능형로봇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교육부(21년 5월 「공유·개방·협력으로 디지털 신기술 핵심인재 양성」을 목표로 공모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선정)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의 일환으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지능형로봇 분야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능형로봇 관련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7개의 대학과 컨소시엄을 이루고 함께 공유하며, 경계 없는 교육을 통해 지능형로봇 분야의 디지털 신기술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주관대학과 참여대학이 협력하여 표준화된 고품질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준별 모듈형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학생의 선택권을 확보하고 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유연한 전공선택제와 복수학위제를 도입한 지능형로봇학과를 컨소시엄의 모든 대학이 신설하여 공동 운영 중이다. 또한 교과와 연계하여 지·산·학 프로젝트(WE-Meet, IC-PBL, 현장실습)를 운영하므로써 일 경험 연계형 현장문제 해결형 프로젝트로 학생들의 실무역량을 배양하고 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 비교과 프로그램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에서 주관하는 CO-WEEK ACADEMY, CO-SHOW 행사와 사업단에서 자체 진행하는 88로봇위크 등의 행사에 지능형로봇사업단 컨소시엄이 모두 참여하여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CO-SHOW와 88로봇위크의 경우,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 재직자도 로봇 학습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경계 없는 공유 교육을 실현하고 있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지능형로봇사업단 소속 대학의 학생들이 각 팀을 이루어 참가하는 지능형로봇 경진대회 'SHARE Challenge'를 운영하여 로봇 제작 및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하고, 문제 해결 능력 강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능형로봇 컨소시엄 '지능형로봇 WE-Meet 프로젝트 통합경진대회'를 통해 기업 및 사회에 결과물을 공유하여 실질적인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더불어 주관대학과 일부 참여대학은 교내 학생들을 모집하여 일본 도쿄에서 진행되는 로봇박람회(IREX)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를 넘어 해외의 로봇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로봇 기업을 둘러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주관대학인 한양대학교 ERICA는 22년부터 '88로봇데이'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4년도에는 안산시 ASV(안산사이언스밸리) 지역행사와 연계하여 일반인, 안산시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규모 행사를 진행하였다. 일반인들도 제약없이 지능형로봇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88로봇교육' 등을 다수 운영하였다. 또한 교내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안산시 지역 문제를 해결해보는 '대학생 해커톤'을 진행하였다.
- 영진전문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은 대구로봇교육교사연구회, 창의융합콘텐츠협회가 주최/주관한 제 15회 대구학생로봇경진대회를 2024년 9월 7~8일 영진전문대학교 백호체육관에서 개최하였다. 3부분 8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총 500여 명의 학생이 참가하였으며, 28명이 수상하였다.
- 상명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은 25년 4월 14일 충청남도 교육청과 연계한 제 2회 세계 AI 로봇 스포츠 한마당 설명회를 개최했다.
[4]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사업단 통합 홈페이지 : https://www.share.ac.kr/
- 광운대학교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share.kw.ac.kr/
- 국립부경대학교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coss.pknu.ac.kr/coss/
- 상명대학교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www.smu.ac.kr/airobot/
- 영진전문대학교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robot.yju.ac.kr/
- 조선대학교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airobot.chosun.ac.kr/airobot/
- 한국공학대학교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robot.tukorea.ac.kr/
- 한양대학교 ERICA 지능형로봇 사업단 홈페이지 : https://share.hanyang.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유튜브] COSS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youtube.com/@share7564 |
[인스타그램] 광운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instagram.com/kw_coss/ |
[유튜브] 국립부경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youtube.com/@지능형로봇-부경대학/ |
[인스타그램] 국립부경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instagram.com/coss_pknu/ |
[유튜브] 상명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youtube.com/@smu_share_ai-robot/ |
[인스타그램] 상명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instagram.com/smu.coss/ |
[유튜브] 영진전문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youtube.com/@yjucossbot |
[인스타그램] 영진전문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instagram.com/yju_cossbot/ |
[유튜브] 조선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youtube.com/@조선대학교지능형로봇/ |
[인스타그램] 조선대학교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instagram.com/chosun_robot/ |
[유튜브] 한국공대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youtube.com/@한국공대지능형로봇/ |
[인스타그램] 한양대학교 ERICA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 https://www.instagram.com/hyue_share.ai/ |
2.1.8. 에너지신산업
<rowcolor=#fff> 에너지신산업 “함께, 더불어 그리고 지속가능한 우리를 위한 에너지신산업 글로벌 인재 양성” | |
미션 | 사회 인프라 에너지 전환을 위해 국가 단위의 전문인력 양성 |
비전 | 2030 에너지신산업을 주도하는 창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
인재상 | 학문간 융합을 기반으로 한 신재생 에너지융합기술 혁신인재 |
핵심역량 | 응용성, 전문성, 융합성, 창의성 |
사업목표 | 에너지신산업 기반 맞춤형/리더형 융합 인재 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1. 5. 1. ~ 2027. 2. 28.
2) 참여분야: 에너지신산업[1]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기존 단일 대학 중심 교육 체계로는 에너지신산업 전주기 대응이 어려워, 거점 대학 간 교육 모듈 공유 및 융합교육 체계 도입 필요가 제기되었다. 이에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가적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산업 인재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형 핵심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거점 대학 간 교육 자원 공유, 전공 맞춤형/복수학위 제도 도입, 산업체 연계 교육체계 등 혁신적 고등교육 모델을 구현하였다.
[2]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1) 교육과정
|
2) 비교과 프로그램
다양한 학습자의 역량 강화, 실무 능력 제고, 진로 탐색을 목표로 하며, 정규 교과와의 연계성을 높이고 현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비전공자 및 초급 학습자 대상 프로그램, 지자체·산업체 연계 실무 프로그램, 컨소시엄 공동 프로그램, 해외 공동 프로그램 등 실천 중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학생들은 아래 그림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폭넓게 경험을 쌓고, 산업 현장과의 연계 속에서 취업, 창업, 진학 등 진로 탐색의 기회를 갖고 있다.
|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2023년 WE-MEET 프로젝트 대한상의 회장상, 2024년 WE-MEET 프로젝트 사업단장상 수상 등 다양한 국내외 프로젝트 및 경진대회 수상 다수
- 삼성전자, (재) 기후변화센터, 부산권 LINC3.0사업단과 RIS사업단, 이탈리아 제노바대학교 등 국내외 주요 기관과의 MOU 체결 및 글로벌 공동 교육프로그램 추진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2) 공식 SNS 채널 링크
2.2. 지자체참여형
2023년부터 시작된 지자체참여형 사업은 비수도권 광역 지방자치단체, 첨단분야별 수도권-지방대학 간 연합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rowcolor=#fff> 첨단분야 | 주관대학 | 참여대학 | 참여지자체 |
항공드론 | 한국항공대학교 | 인하대학교, 한서대학교, 경북대학교, 연암공과대학교 | 대구광역시 |
반도체소부장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남대학교, 대림대학교 | 충청남도 |
이차전지 | 충북대학교 | 부산대학교, 가천대학교, 인하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 충청북도 |
차세대통신 | 국민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 광주광역시 |
에코업 | 고려대학교(세종캠) | 고려대학교, 건국대학교, 영남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 | 세종특별자치시 |
그린바이오 | 충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전남대학교, 연암대학교 | 대전광역시 |
첨단소재나노융합 | 중앙대학교 | 강원대학교, 한남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교 | 강원특별자치도 |
데이터보안활용융합 | 강원대학교 | 아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 영남이공대학교 | 강원특별자치도 |
차세대디스플레이 | 단국대학교 | 경희대학교, 한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충청남도 |
사물인터넷 | 세종대학교 | 동국대학교, 대전대학교, 제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 제주특별자치도 |
2.2.1. 항공드론
<rowcolor=#fff> 항공드론 “개방과 협력을 지향하는 항공∙드론 혁신융합 인재 양성” | |
미션 |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 인재를 양성 |
핵심역량 | 3대 핵심역량: 혁신성, 융합성, 글로컬 |
사업목표 | 4대 목표: 혁신융합 교육모델 수집 및 운영, CArDIo 표준교육과정 개발, 유연하고 혁신적인 교육제도 구축, 밀착형 학생지원 및 성과 관리 확산 체계 구축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5.05.01. 선정 ~ 현재
2) 참여분야: 항공·드론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간 경계를 허무는 공유·협업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지역·산업체·학교간의 협력을 통한 항공드론 첨단 미래인재 양성과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참여 대학 및 지자체 간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맞춤형 3단계 혁신융합 인재 양성 체계에 따라 실무역량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컨소시엄 구성 참여대학의 대학별 강점을 살려 4개분야 전공(항공드론시스템, 항공드론 운항교통, 항공드론AI전공, 항공드론 활용 및 MRO) 총 97개 교과목을, 3_Stack 학위체계, Course-up 학위체계, 수준별 마이크로디그리, WE-Meet(지·산·학 연계수업)에 따라 운영 중이다.
2) 비교과 프로그램
첨단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지·산·학·연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전문가 특강, 세미나, 현장실습, 인턴십 등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함양한 지식을 활용하여 실무경험 축적, 역량 배양이 가능하도록 폭넓은 항공드론 전문가 풀을 활용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COSS 서포터즈 : 사업단 홍보, 콘텐츠제작, 행사 운영 보조 등의 역할. 일정 금액의 장학금을 지급, 우수 활동자 포상, 수료증 발급의 혜택이 있음.
- 항공드론 혁신융합대학 공모전/경진대회 :
로봇항공기대회, 3D드론디자인 경진대회, 드론AI자율비행 경진대회, 드론기반스포츠, 창업아이디어, 국방활용 공모전 등 -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취,창업지원 : 항공드론 교과-비교과 포트폴리오 관리 등
- CO-WEEK 아카데미, CO-SHOW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제13회 한국항공우주학회 학부생 논문 경진대회 제1분야에서 “실내 드론 아트쇼: 클러스터링 기법 및 헝가리안 알고리즘을 활용한 영어 단어 붓그리기” 주제로 장려상을 수상했다.
- 한국우주항공산업협회와의 업무협약으로 실질적인 공동사업 발굴을 통한 행사 전문성 강화 및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 구축하고, 드론앵커센터와의 업무협약으로 항공드론 산업 발전/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하고 있다.
- 그 외에도 기관과의 협력 강화 및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체계 구축했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개설중
2) 공식 SNS 채널 링크: 개설중[2]
2.2.2. 반도체소부장
<rowcolor=#fff> 반도체소부장 “B.E.S.T: 단순한 인력양성이 아닌 미래 선도적인(B), 산업밀착(E) 협력형(S), 반도체(T)양성” | |
비전 | 반도체 산업선진 글로벌 리더양성 |
교육목표 | 산업계 맞춤형+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융합 기반의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 체계 구축 |
핵심역량 | 4대 목표: 사회 발전을 위한 기여, 공학교육의 혁신화, 고급인재양성, 경쟁력 강화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5.05.01. 선정 ~ 현재
2) 참여분야: 반도체소부장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반도체 산업은 기술 분야가 다양하고 고도화되어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전공과 학과의 구분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반도체 관련 교과목 개선 및 개발과 컨소시엄 대학 간 커리큘럼 공유를 통해 학생들에게 보다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한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반도체소부장 전공 인재의 양성을 위해 교육분야(트랙)를 반도체 소재, 부품장비기구, 부품장비제어, 패키징 4개 분야로 구분한다. 각 분야에 대해 중급, 고급 과정으로 교육수준을 구분하였으며, 각 수준별로 마이크로디그리를 수여한다.
<rowcolor=#fff> 반도체소부장 교육분야 및 수준별 구성 | ||||
초급 | 반도체소부장 초급 마이크로디그리 | |||
중급 | 반도체소재 중급마이크로디그리 | 반도체부품장비기구 중급마이크로디그리 | 반도체부품장비제어 중급마이크로디그리 | 반도체패키징 중급마이크로디그리 |
고급 | 반도체소재 고급마이크로디그리 | 반도체부품장비기구 고급마이크로디그리 | 반도체부품장비제어 고급마이크로디그리 | 반도체패키징 고급마이크로디그리 |
2) 비교과 프로그램
- CO-Week Academy 198명 참가
- 반도체 핵심 인재 양성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 CO-SHOW 반도체소부장웨이퍼경진대회
[3] 학생 참여 및 활동
- 대학별 COSS 서포터즈 운영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약 170명의 재학생이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수강중[3]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반도체소부장혁신융합대학사업단 | https://www.instagram.com/seoultech.coss.smpe/ |
대림대학교 반도체학과 | https://www.instagram.com/daelim_semiconductor/ |
https://www.youtube.com/@대림대학교반도체학과/ | |
한국공학대학교 반도체소부장혁신융합대학사업단 | https://www.instagram.com/tukorea_coss/ |
2.2.3. 이차전지
<rowcolor=#fff> 이차전지 “자율과 창의 중심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 | |
비전 | 세계 이차전지 산업을 선도하는 자율과 창의 중심의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 |
목표 | 개방과 협업을 통한 지자체∙대학의 협력 체계 구축으로 국가 수준의 이차전지 핵심 인재 양성 |
핵심모듈 | 5대 핵심 모듈: 이차전지 소재/분석, 이차전지 제조/공정, 이차전지 정비/시스템, 이차전지 자원 순환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3.00.00 ~ 현재
2) 참여분야: 이차전지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산업 발전에 따라 모든 사물이 이차전지(Battery)로 움직이는 시대가 개막되면서 이차전지 산업 맞춤형 첨단 지식을 갖춘 창의・실용 중심의 문제해결형 인재 양성 필요함. 이에 개방과 협업을 통한 지자체-대학의 협력 체계 구축으로 융합적 사고 및 창의적 문제해결역량을 갖춘 실무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융합전공)
|
(소단위 전공)
- (초급)(6) 이차전지 융합(비이공계중심 과정), 이차전지 소재분석, 이차전지 제조공정, 이차전지 진단안전, 이차전지 장비시스템, 이차전지 자원순환
- (중급)(4) 이차전지 소재분석 응용, 이차전지 제조공정 응용, 이차전지 시스템안전 응용, 이차전지 자원순환 응용
- (고급)(5) 이차전지 소재분석 심화, 이차전지 제조평가 심화, 이차전지 공정분석 심화, 이차전지 안전진단 심화, 이차전지 자원순환 심화
- (융합)(1) 친환경자동차 배터리융합(이차전지+미래자동차)
(운영 공통교과목)
|
2) 비교과 프로그램
- 이차전지 혁신융합대학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매년 서포터즈를 선발하고 있다.
- 연합 경진대회, Co-Show 경진대회, We-Meet 프로젝트, 개방형 산학프로젝트를 통해 이차전지 산업 전문가들과 학생이 협력하여 문제해결을 하거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 그 외에도 인턴십 프로그램. Co-Week Academy(학점연계), 국제교류 프로그램, 현장학습, 산학특강, 포럼, 세미나, 학술대회, 전시회 등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있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rowcolor=#fff> 분야 | 2023년 | 2024년 |
서포터즈 | 42 | 29 |
연합 경진대회 | 133 | 180 |
자체 경진대회 | - | 51 (인하대) |
Co-Show 경진대회 | - | 23 |
We-Meet 프로젝트 | 73 | 88 |
개방형 산학프로젝트 | 20 | 18 |
인턴십 프로그램 | 44 | 89 |
Co-Week Academy | - | 195 |
국제교류 프로그램 | 260 (국내포함) | 183 |
현장학습 | 261 | 248 |
산학특강, 포럼, 세미나 | 812 | 1,786 |
학술대회, 전시회 등 | 530 | 182 |
진로 및 취·창업 지원 (단기교육(Level-Up), 단기캠프, 특강 등) | 495 | 1,130 |
동아리 활동(학술, 취업, 창업 등) | 74 | 142 |
사업단 홍보 및 설명회 | 1,452 |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경진대회에서 5개 참여대학을 대상으로 4개 부문(CO-SHOW, 연구결과, 아이디어, 영상콘텐츠) 개최 및 수행하고, 2024 친환경 페스티벌 경진대회에서 산자부장관상을 비롯한 다수의 상을 수상(충북대학교)하였다.
- 이차전지 분야 우수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및 다양한 진로·취업을 위해 해외 이차전지 전문 전시·박람회 참관, 기업 탐방, 대학 및 연구소 방문하고 있다.
- 그외에도 지자체 및 이차전지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이차전지 분야 정부지원사업의 공동 수주 및 인재 양성에 많은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2) 공식 SNS 채널 링크
2.2.4. 차세대통신
<rowcolor=#fff> 차세대통신 “TEAM-X기반 π형 인재 양성” | |
비전 | 차세대통신 혁신교육체계의 새로운 표준제시 |
인재상 | 미래 세상과 소통하는 양자보안 차세대통신 π형 인재 |
사업목표 | 변화에 지연 없는 적응과 서로 소통하며 폭넓은 사고와 경험을 보유한 차세대통신 혁신인재양성 |
파일:coss12.png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3.06.01 ~ 현재
2) 참여분야: 차세대통신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은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첨단분야의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양자보안 기반 차세대통신 π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며, 여기서 π는 ‘융합’, ‘적응’, ‘소통’,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실감미디어, 자율주행자동차 등 차세대통신 관련 첨단응용분야와 융합교육과정을 마련하여, 다양한 마이크로디그리를 운영하고 있다.
|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주관 대학)
- 국민대학교 : (연계융합전공) 양자보안차세대통신전공/ XR스포츠전공
(참여 대학)
- 서울시립대학교 : (마이크로디그리) 차세대통신 초/중/고급, 차세대통신 5G/6G/양자정보/인공지능, 차세대통신과 디지털중국, 네트워크 심화, 통신네트워크 교통공학/공간정보공학/스포츠과학,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도시공학, ICT 재난방재
- 울산과학대학교 : (마이크로디그리) 차세대미래모빌리티응용기술 초급, 빅데이터분석 초급, 융합데이터분석 초급
- 전남대학교 : (마이크로디그리) 차세대통신기초, AI융합차세대통신, 차세대통신시스템설계, 통신SoC, 네트워크보안, IoT통신, 차세대통신망SW
- 한국항공대학교 : (마이크로디그리) 차세대통신 초/중/고급(하드웨어/네트워크/AI/소프트웨어), 차세대통신 Biz 융합
2) 비교과 프로그램
- 주관·참여 대학은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첨단분야 특강, 튜터링, 역량강화 프로그램, 학술대회 등을 지원한다.
- 매년 다학제간캡스톤디자인(차세대통신) 교과목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어워드를 개최하여 산업 수요에 맞는 융합형 인재 양성, 문제해결·글로벌 역량 강화, 산학연 성과 창출을 도모한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주관·참여 대학의 학생들은 2023학년도부터 현재까지 각종 EXPO, 전시, 경진대회, 캡스톤디자인, 현장실습 등의 프로그램에 개인이나 팀 단위로 참여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
- 주관·참여 대학은 2024년부터 학생들의 실무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국자동차연구원 및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운영하는 실무체험 프로그램 학생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 주관·참여 대학에서는 NCCOSS 서포터즈 운영을 통해 CO-Week Academy, CO-SHOW 등 주요 프로그램 홍보를 진행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하고, 사업 참여학생들의 역량 강화 등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주관·참여 대학은 2023년부터 학술대회, UAM올림피아드 등에 참가하여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협의회장상, 국토교통부장관상, 교육부장관상, 차세대통신사업단장상, 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하였다.
- 뿐만 아니라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자동차연구원, KBS 등과 같은 공공기관과 삼성전자, 소니캐스트, KT, 포플라이미디어 등의 민간 기업과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대학명 | 채널명 | 링크 |
국민대학교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kmu_nccoss/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mu_nccoss/ | |
서울시립대학교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uos_nccoss/ |
카카오톡 | https://open.kakao.com/o/s8JyCwjh/ | |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uos_nccoss/ | |
울산과학대학교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UCNCCOSS/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uc_nccoss/ | |
네이버 블로그 | https://m.blog.naver.com/illsblog/ | |
전남대학교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jnu_nccoss/ |
한국항공대학교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au_nccoss/ |
2.2.5. 에코업
<rowcolor=#fff> 에코업 “에코업 人재 양성” | |
비전 | 대한민국 에코업 성장을 주도할 글로벌 인재 양성 |
인재상 | 스마트환경 산업을 주도할 Green Technology Innovator |
핵심역량 | 문제해결, 커뮤니케이션∙협업, 도전정신, AI ∙Data 활용, 창의적사고 |
사업목표 | 에코업 6대 분야 (온실가스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 방지 및 관리, 생물 다양성 보전) 수요 맞춤형 인재 배출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3. 03.01. ~ 현재
2) 참여분야: 에코업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4차 산업혁명과 탄소중립 시대에 부응하는 친환경 기술과 첨단 기술 융합이 요구됨에 따라 기존 환경분야의 혁신이 중요해졌다. 이에 6대 친환경 핵심분야(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방지 및 관리, 생물 다양성 보전)에서 미래 산업을 선도할 맞춤형 인재(Green Technology Innovator)를 양성하는 걸 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었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
2) 비교과 프로그램
- 2025년 에코업 글로벌 호주 UTS 교류 프로그램과 인도네시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고려대학교 세종), 에코업 서비스러닝을 통해 교육기관과 거버넌스 구축(전주비전대학교)하였다.
- 그 외에도 ECO-UP AI workshop(고려대학교), 산·학 연계 고감도 기기 분석 교육(건국대학교), 미국, 호주, 대만, 일본 등 해외 환경기관 견학 및 전문가 특강을 통한 글로벌 환경 이슈·기술 트렌드 체험(영남대학교)을 진행하였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환경·물산업 관련 주제에 대한 학술심포지엄 포스터와 대한환경공학호 "탄소중립 및 순환경제 사회를 선도하는 환경 기술"을 발표하고,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다수의 논문발표
-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3C(Connect, Create, Change) 창업 아이디어 해커톤 캠프와 COSS-NET 전문가 활용 스타트업 경진대회/취업 멘토링 경진대회에 참여.
- 2025 에코-에너지 캠프 개최(영남대, 건국대, 전주비전대)
- 포스코,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세계물도시포럼, 하수처리장 등 주요 기관 견학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에코업(친환경 산업) 6대 분야(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보전, 자원 순환, 오염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관련 산·학·관의 협력 및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에코업 페어를 진행한다.
- 그 외에도 세종특별자치시와 물포럼 공동 개최하고, KEI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고려대학교)와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협의회(영남대학교), 주택관리공단 전북지사(전주비전대)와 MOU를 체결했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rowcolor=#fff> 구분 | 대학명 | 링크 |
주관대학교 | 고려대학교 세종에코혁신융합대학사업단 | https://coss-ecoup.korea.ac.kr/ |
참여대학교 | 건국대에코업혁신융합대학사업단 | https://ecoupku.imweb.me/ |
영남대학교 에코업혁신융합대학 사업단 | https://ecoup.yu.ac.kr/ |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kusecoss/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usecoup_1/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kusecoup/ |
2.2.6. 그린바이오
<rowcolor=#fff> 그린바이오 “K-농생명산업 FINSET* 국가 표준 교육체계 구축 및 인재양성” | |
비전 | 글로벌 선도 첨단융복합 그린바이오 혁신 교육체계 구축 및 인재 양성 |
인재상 | 미래 지향 그린바이오 융복합 분야의 창의적 글로벌 혁신 인재 |
핵심역량 | 목표지향적, 학문의 재해석, 전문적인, 경험있는, 참신한 |
사업목표 | K-농생명산업 FINSET* 국가 표준 교육체계 구축 및 인재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4.06.01. ~ 현재
2) 참여분야: 그린바이오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을 통해 지역 산업 수요에 기반한 실무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대학·산업체·지자체가 교육 및 연구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 컨소시엄은 충남대학교를 주관으로 하며,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전남대학교, 연암대학교가 참여하고 있다. 지자체는 대전광역시가 함께 참여하고 있다. 각 참여 대학은 지역 산업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자체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교육, 연구, 산학협력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단에서는 산업 전주기의 흐름을 반영한 Value Chain 기반 교육모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 효과를 추구한다.
1) Value Chain 기반 교육과정
원재료 생산부터 가공·유통·소비까지 이어지는 산업 전 과정을 하나의 가치흐름으로 보고, 각 단계별 전문성과 융합 역량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도록 설계된 과정이다.
2) 교육과정 구성
- 2025년 에코업 글로벌 호주 UTS 교류 프로그램과 인도네시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고려대학교 세종), 에코업 서비스러닝을 통해 교육기관과 거버넌스 구축(전주비전대학교)하였다.
- 그 외에도 ECO-UP AI workshop(고려대학교), 산·학 연계 고감도 기기 분석 교육(건국대학교), 미국, 호주, 대만, 일본 등 해외 환경기관 견학 및 전문가 특강을 통한 글로벌 환경 이슈·기술 트렌드 체험(영남대학교)을 진행하였다.
|
3) 프로그램
- 각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은 기술 융합에 적합한 교육과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농업생명자원 기반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도록 WE-Meet 프로젝트. 그린바이오 현장실습 및 단기캠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현장실습은 참여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내외 그린바이오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일정 기간 동안 실무를 경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은 전공 분야와 연계된 실습 활동을 통해 산업 현장의 구조와 직무를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습득한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GreenBio Academy를 통해 실제 산업체 인프라를 활용한 체험과 교육을 통해 학생의 전공 이해도 향상과 참여 대학과 기업 간 협력 기반을 강화한다.
- 그린바이오 공공기술 활용 아이디어 챌린지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 산업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을 경험한다.
- 그린바이오 분야 마케터 양성 프로그램으로 전공 지식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경희대학교(CreenLab) 2024 WE-Meet 프로젝트 교육부장관상 수상
- 충남대학교(묘분분투) 2024 WE-Meet 프로젝트 대한상의회장상 수상
- 교육·연구·산학협력 기반 강화를 위해 기관 및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
<rowcolor=#fff> 순번 | MOU 대상 | 운영시기 | 내용 |
1 | 충남대학교,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전남대학교, 연암대학교 | 2024-10-02 | 그린바이오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운영을 위한 참여대학 업무 협약 |
2 | 그린바이오 컨소시엄- 농업회사법인 (주) 팜팩토리 | 2025-01-15 | 지역경제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청년들의 성장 지원 협약 |
3 | 그린바이오 컨소시엄- 농업회사법인 (주) 제주인디 | 2025-01-15 | 지역경제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청년들의 성장 지원 협약 |
4 | 그린바이오 컨소시엄-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 2025-06-10 | 그린바이오 분야 창업 문화 확산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서 |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www.greenbiocoss.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greenbio_coss/ |
인스타그램(서포터즈) | (충남대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https://www.instagram.com/cnu_greenbio_coss/ |
(서울대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https://www.instagram.com/snu.cossgb/ | |
(경희대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https://www.instagram.com/khu_coss/ | |
(전남대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https://www.instagram.com/jnu_coss/ | |
(연암대 그린바이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https://www.instagram.com/yeonam_coss_greenbio/ |
2.2.7. 첨단소재나노융합
<rowcolor=#fff> 첨단소재나노융합 “첨단신소재・나노융합・3D프린팅 인력양성 혁신융합 생태계 조성” | |
비전 | COSINE 혁신융합교육 생태계 조성과 융합형 인재 양성 |
미션 | 제조업 기반의 첨단 제조공정 기술 혁신융합대학 기반 구축 |
인재상 | Leader(리더급 인재), Innovator(혁신형 인재), Field player(현장형 인재), Collaborator(협력형 인재) |
핵심역량 | Crativity(창의), Convergence(융합), Challenge(도전), Collaboration(협력) |
사업목표 | 첨단 제조업의 고도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플랫폼 구축·운영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4.06.01. ~ 현재
2) 참여분야: 첨단소재.나노융합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국가는 첨단분야 10만 인재 양성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혁신융합대학 사업을 통해 매년 구체적인 인재 양성 목표를 수립·실행하고 있다. 이에 강원특별자치도 내 지자체,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도 공동교육과 첨단소재·나노융합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공유형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 프로젝트 기반 융합 교육(PBL) 연계 교과목인 WE-MEET (교과목 내 활동에서 산업계 전문가 멘토와 함께 프로젝트 수행)과 학부생연구인턴 (지도교수 Lab에서 학부생 연구인턴 수행) 운영
- CO-WEEK ACADEMY, 적층제조 융합설계 워크숍, 산학연계, 공공 및 사회분야 공통주제 문제해결 프로젝트 교과목, 첨단분야 현장 중심의 인재양성을 위해 현장실습 교과목 운영
2) 비교과 프로그램
- 주관 대학과 참여 대학은 COSS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래 표와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rowcolor=#fff> 주관 | 프로그램명 | 특이사항 |
중앙대 | 융복합전공 Day | |
2024 첨단소재 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 학술제 | ||
혁신융합공과대학-한국기계연구원 학술워크숍 및 지산학 프로젝트 발표회 | ||
2024년 EFMC/ISMC 학술대회 참석 성과 공유 세미나 | 일회성 특강 | |
강원대 | 3D 프린터를 활용한 드론 제작 및 비행 경진대회 | |
2025년 전공 특화 산업체 연계 교육 |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협업 | |
2025년 1학기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운영 | ||
2025년 1학기 학술 활동 역량 강화 프로그램 | ||
2025년 해외 교류 프로그램 | ||
국립금오공대 | 첨단소재 그래핀 합성 및 제철산업 응용 현황 특강 | |
Computational Thermodynamics for Alloy Design | ||
반도체 및 Display 공정 실무 이해 | ||
차세대 고효율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원천기술개발 | ||
반도체 기술과 산업 | ||
첨단신소재 산업의 직무 역량과 진로 탐색을 위한 전문가 특강 | ||
한남대 | 2024년 제1회 HNU COSS 첨단소재 나노융합 학술제 및 경진대회 | |
첨단소재전공 역량강화를 위한 외부전문가 초청 세미나 | ||
미래 제조혁신을 위한 CATIA 3D 설계 기초 과정 | ||
적층제조전공 역량강화를 위한 3D프린팅 기술과 건축디자인 분야의 활용 | ||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MNM 런천 특강 | ||
2024년 나노융합기술 분야 해외전문가 초청 세미나 | ||
HNU-CMU Global Project | ||
2025년 적층제조융합설계 역량강화 연계프로그램 | ||
교과목을 활용한 연구소/기업 탐방 프로그램 | ||
2025년 제2기 서포터즈 연합 학생역량강화 캠프 | ||
인하공전 | 첨단소재 나노융합 MEET UP | 시즌으로 운영 |
교육성과 전시회 | 연말 개최 | |
COSS DAY | 대학축제 연계 |
[3] 학생 참여 및 활동
ISMNM 2024, 재학생을 위한 첨단나노소재 IP교육 캠프, 첨단분야 3D프린팅 체험 교육, 2024년 한국연구재단 COSS 서포터즈 워크샵, KISM 첨단분야 소재 및 제조기술 튜토리얼 프로그램, CO-SHOW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여 역량 강화를 하고 있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주관 대학인 중앙대를 비롯하여 강원대, 한남대, 금오공대 및 인하공전 등 5개 컨소시엄 대학 교수가 함께 교과목 개발에 참여,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육과정개발부터 운영까지의 전과정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 2024 WE-MEET 어워드에서 교육부 장관상(강원대학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중앙대학교)을 수상하였으며, 2024 COSS 서포터즈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상(중앙대학교)을 수상하고, 한남대학교 사업단장이 첨단분야 핵심인재양성 공로를 인정받아 교육부 장관상 표창을 받았다.
- 한남대학교-치앙마이대학교가 2024년 11월에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글로벌 혁신융합교육 업무교류 및 MOU협약을 하였다.
- 그 외에도 산업계 및 강원도 지자체 중심의 교육운영을 위한 위원회 운영, 지역연계 첨단분야별 마이크로디그리 교과목 개발,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연계하여 캠프 진행,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과 공동 교과목 운영, 비전공자의 첨단분야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KMOOC강좌 개발 확대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mnm.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대학명 | 채널명 | 링크 |
중앙대학교 | 중앙대학교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nmcoss/ |
중앙대학교 첨단소재나노융합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혁신융합대학/ | |
강원대학교 | 강원대학교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nu_coss_mnm/ |
강원대학교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knu-mnm-coss/ |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kumoh_coss/ |
한남대학교 | 한남대학교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nu_coss/ |
인하공업전문대학 | 인하공전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inhatc_coss_supporters/ |
2.2.8. 데이터보안활용융합
<rowcolor=#fff> 데이터보안활용융합 “변화에 신속한 적응과 서로 소통하며 폭넓은 사고와 경험을 통한 개방과 협업을 통한 데이터 보호・활용 핵심인재 양성” | |
비전 | 안전하면서도 혁신을 촉진하는 데이터 활용을 위한 융합형 첨단 인재양성 |
인재상 | 데이터 보안과 활용을 조화롭게 해결할 수 있는 융복합 폴리매스형 인재 |
핵심역량 | 자기주도역량, 전문역량, 창의역량, 융합역량, 문제해결역량 |
사업목표 | 변화에 신속한 적응과 서로 소통하며 폭넓은 사고와 경험을 통한 개방과 협업을 통한 데이터 보안·활용 핵심인재 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4.06.01. ~ 현재
2) 참여분야: 데이터보안·활용융합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 데이터보안·활용 혁신융합대학사업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정보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사이버보안,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보안과 데이터 활용 분야의 융합형 첨단 인재를 양성하고자 추진되었다. 이 사업은 자기주도성, 전문성, 창의성, 융합적 사고, 문제해결력 등 5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교육을 실시하며, 특히 지역 산업과 연계한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 또한, 수도권·충청권·대경권의 참여대학들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공동 교육과정 개발, 통합 학사관리 시스템(SDU LMS) 운영, 마이크로디그리 도입 등을 통해 모든 학생이 소속 전공과 관계없이 첨단 분야의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다음과 같이 운영 중이다.
<rowcolor=#fff> 트랙 구분 | MD 구분 | 영역별 이수 기준 | 이수학점 | 이수과목 수 | |
- 사이버보안 - 블록체인·개인정보보호 - 클라우드 | AMD(초급) | 기초소양/선수 | 0~6 | 9 | 3 |
해당트랙 공통(초급) | 3~9 | ||||
BMD(중급) | 해당트랙 공통(초급) | 0~6 | 9 | 3 | |
해당트랙 전공 중급 | 3~9 | ||||
CMD(고급) | 해당트랙 전공 중급 | 0~6 | 9 | 3 | |
해당트랙 전공 고급 | 3~9 |
그 외에도 CO-Week Academy, WE-Meet 프로제트, ,현장실습을 학사제도와 연계되어 정규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2)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 학습, 산업 연계 경험, 문제해결 능력 및 글로벌 소양 함양을 목표로, 사이버보안, 클라우드, 블록체인, 개인정보보호 등 첨단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실무 역량 강화와 진로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동행 프로젝트, 스터디 및 동아리, 경진대회, 세미나·워크숍·컨퍼런스, 해외 기술연수 등이 있다.
3) 프로그램
- 각 마이크로디그리과정은 기술 융합에 적합한 교육과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농업생명자원 기반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도록 WE-Meet 프로젝트. 그린바이오 현장실습 및 단기캠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현장실습은 참여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내외 그린바이오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 일정 기간 동안 실무를 경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은 전공 분야와 연계된 실습 활동을 통해 산업 현장의 구조와 직무를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습득한다.
[3] 학생 참여 및 활동
- 주관 대학과 참여 대학의 학생들은 현장실습, COSS 서포터즈, 데이터보안·활용 혁신융합대학 공모전/경진대회를 통해 데이터보안·활용의 역량 강화하고 있다.
- 그 외에도 멘토링을 통해 전문인력과 소통하여 데이터보안·활용 혁신융합대학 학생들의 교육 니즈를 충족시키고 현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CO-SHOW AutoHack 2024 COSS협의회장상과 사업단장상, WE MEET AWARDS 데이터보안·활용융합 부문 교육부 장관상, 한국정보처리학회 ‘ASK(Annual Symposium of Kips)2025’ 특별세션 운영 및 우수논문상, 전라남도 웹 취약점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 지/산/학 협의체 발족 및 운영과 지산학연 협력 프로젝트 기반 마련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rowcolor=#fff> 구분 | 링크 |
데이터보안활용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학습관리시스템 | https://lms.sducoss.ac.kr/ |
데이터보안활용혁신융합대학사업단 홈페이지 | https://sducoss.ac.kr/ |
아주대학교 | https://datasecurity.ajou.ac.kr/ |
한양대학교 ERICA | http://dcoss.hanyang.ac.kr/ (사업단) |
http://datasec.hanyang.ac.kr/ (융합보안학과) |
2) 공식 SNS 채널 링크
2.2.9. 차세대디스플레이
<rowcolor=#fff>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 성장을 이끄는 융합형 중·고급 인재 양성” | |
비전 |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주도할 혁신융합 인재 양성 |
인재상 | 혁신인재, 실용인재, 미래인재 |
핵심역량 | 자기주도역량, 전문지식역량, 문제해결역량, 의사소통역량 |
사업목표 |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 성장을 이끄는 융합형 중·고급 인재 3600명 양성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4.06.01. ~ 현재
2) 참여분야: 차세대디스플레이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차세대디스플레이 혁신융합대학의 사업 목적은 공동교육 기반 구축, 지역기반 협력 생태계 조성, 전국 단위 교육체계 조성, 주요 디스플레이 기업 연계 협력 강화, 학과 간 대학 간 융합교육을 통한 차세대디스플레이 분야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지자체・대학・기업・혁신기관 연계형 인력양성 시스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공동교육을 운영하며, 우수 배출인력의 매칭, 연구개발 지원, 재직자 교육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분야 지역수요 맞춤형 인력양성과 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자 함.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차세대디스플레이 표준교육과정
차세대디스플레이 분야 산업동향과 수요자 분석을 바탕으로 신규 개발한 101개 교과목으로 구성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함. 표준교육과정은 디스플레이 밸류체인을 바탕으로 차세대디스플레이 소재, 소자・광학, 구동・시스템, 디자인, 에코의 5개 트랙별 초급/중급/고급 교과목으로 구성됨. 특히 WE-Meet 프로젝트, 산업체 현장실습 등 디스플레이분야 실무중심 특성화 교과목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음.
차세대디스플레이 표준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컨소시엄내 5개 참여대학이 동일한 이수체계로 개발된 첨단분야 마이크로디그리, 부전공, 복수전공 교육과정을 운영함. 현재 마이크로디그리는 첨단MD(초급, 중급, 고급), 학과연계XMD, 자기설계SDMD, COSS융합MD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전공(21학점) 및 복수전공(36학점)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음.
파일:coss차세대디스플레이1.png |
2) 비교과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분야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함. 표준교육과정을 통해 학습한 첨단분야의 최신이론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 연구소, 지역혁신기관과 연계하여 현장중심 실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기획.
차세대디스플레이 비교과프로그램인 NEXT-U PLUS 프로그램은 BASIC, PRO, CREATIVE, GLOBAL, EXPLORER의 5가지 유형으로 구성. 비이공계 학습자들이 디스플레이 교육과정에 수월히 진입하고 원하는 트랙을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제공하는 NEXT-U BASIC & PRO, 산업계가 원하는 현장적응력과 실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NEXT-U CREATIVE, 디스플레이 분야 국제적 이슈를 다루는 NEXT-U GLOBAL, 진로지도 및 취창업 역량을 강화하는 NEXT-U EXPLORER로 세분화하여 운영함.
[3] 학생 참여 및 활동
- 차세대디스플레이 혁신융합대학 학습자는 비교과 프로그램 및 취업・창업・진학 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계가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기르고 다양한 전공 및 소속대학의 동료와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다학제적 융합인재로 성장함
- 대표적 학생참여 프로그램은 NDCOSS 혁신디스플레이 공모전과 경진대회, COSS 서포터즈 활동, 직무설명회와 창업역량강화 START-Uping 취창업 프로그램, COSS-SCOUT 창업 집중훈련 공동 프로그램 등이 있음
- 이외에도 지・산・학 현장탐방, 전문가 멘토링과 특강 및 세미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분야전문가와 소통하여 학생들의 교육 니즈를 충족시키고 현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고 있음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산학연계 기반 차세대디스플레이 공모전인 ND-COSS 공모전은 5개 참여대학의 디스플레이 특성화 분야별로 1차 공모전을 개최하고, 학계・산업계・지식재산 전문가의 심사와 자문을 통해 우수팀을 선발. 이후 컨소시엄 통합 최종공모전을 통해 시제품 제작과 고도화를 통해 최종 우수팀을 선발함
- 선정된 우수작은 COSS-SCOUT 프로그램과 후속 연계하여 창의성 및 창업 역량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확산하는 선순환의 성과 확산 모델 개발
|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 COSS 차세대디스플레이사업단 : https://displaycoss.ac.kr/
- 경희대 : https://ndcoss21.khu.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2.2.10. 사물인터넷
<rowcolor=#fff> 사물인터넷 “차세대 자율 사물인터넷 분야 5-STAR(★★★★★) 인재 양성” | |
비전 | 차세대 자율 사물인터넷 분야 5-STAR(★★★★★) 인재 양성 |
인재상 | 사물인터넷 공통의 지식 및 분야 융합 기술 전문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상호존중하는 협력 인재, 사물인터넷에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현장의 문제해결 능력을 겸비한 인재 |
핵심역량 | IoT 제품 개발능력, IoT 플랫폼 역량, 통신 및 네트워크 역량, 융복합 서비스 역량, 팀 단위 협업 능력, 도메인 융합 능력, 인공지능 IoT 융합 능력, 온 디바이스 AI 개발 능력, 시스템 개발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
사업목표 | 대학·기업·지역을 연결하여 사물인터넷 인재·지역·산업·기술·창업 On |
|
[1] 참여개요
1) COSS 사업 참여 시기: 2024.00.00. ~ 현재
2) 참여분야: 사물인터넷
3) 사업 목적 및 추진 배경
|
[2] 교육과정 및 운영 프로그램
1) 교과 프로그램
- 공유형 마이크로디그리 : 지능IoT학과에서 제공하는 실무형 교과과정으로,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요구되는 이론, 실기, 실습, 설계 등의 종합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산업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다양한 공학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사물인터넷 캡스톤디자인 과목을 제외하고 모두 온라인 수업으로 제공된다.
- 교류형 마이크로디그리 : 각 대학은 특화된 분야(세종대: IoT 인공지 능, 동국대: IoT 디바이스, 대전대: IoT 플랫폼, 제주대: IoT 네트워킹, 제주한라대: IoT인공지능보안)의 수업을 개설하여, 학생의 소속대학과 관계 없이 자유롭게 수강하도록 운영된다.
- 그 외 특화형 마이크로디그리, 연계/융합전공, 지능IoT학과 부전공, 복수전공,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한다.
2) 비교과 프로그램
- SMART Tournament, In-Jeju Challenge, 런케이션 (Learn + Vacation), Global Connect IoT, SIP (STAR Incubation Program) 등의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운영한다.
|
[3] 학생 참여 및 활동
[4] 대표 성과 및 특이사항
|
- 사물인터넷 진흥주간(국제컨퍼런스 및 전시회)의 부대행사로 2024년부터 OCEAN Summit 공동 개최하고, EU 아시아 디지털 협력을 위한 Indo Pacific European Hub for Digital Partnerships 프로젝트인 INPACE와의 MOU 체결을 통한 INPACE Symposium도 공동 개최하고 있다.
- 그리고 인터넷정보학회, 한국로봇학회, 사물인터넷학회 등과 협력하여 사물인터넷, AI, 로봇 분야 관련 학회들과의 MOU 체결을 통해 종합학술대회 공동 개최, 학부 논문 발표 등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 메타버스 컴퓨팅, AI,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분야를 다루는 유명 국제 학술대회인 IEEE MetaCom 2025을 공동 개최하고, 특히 최초로 MARC (Meta-Sejong AI Robotics Challenge) 2025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5] 외부 노출 사례
1) 공식 홈페이지 링크: https://www.iotcoss.ac.kr/
2) 공식 SNS 채널 링크
<rowcolor=#fff> 채널명 | 링크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iotcoss_sju/ |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juiotcoss/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IoTCOSS/ |
3. CO-WEEK ACADEMY
CO-WEEK ACADEMY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몰입형 융합 교육 프로그램이다. 전공, 학과, 학교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학생들이 함께 모여 첨단 분야 교육 콘텐츠를 학습하며 융합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CO-WEEK ACADEMY는 다양한 교육 방식을 통해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행사 기간 동안 학생들은 전공을 넘나드는 협업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습득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 역량을 체득한다.
이 프로그램은 COSS 사업의 핵심인 융합 교육을 집약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매년 다양한 지역과 주제로 운영된다.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 누구에게나 열린 배움의 장이 된다.
2025년 CO-WEEK ACADEMY는 6월 30일(월)부터 7월 4일(금)까지 5일간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개최된다. 본 행사에는 COSS 사업에 참여 중인 전국 대학의 재학생이 참가하며, 컨소시엄별 특화 강의, 세미나 등 다양한 학습과 교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rowcolor=#fff> ▲ 제1회 CO-WEEK Academy 결과스케치 영상 |
<rowcolor=#fff> ▲ 제2회 CO-WEEK ACADEMY 결과스케치 영상 |
<rowcolor=#fff> ▲ 제3회 CO WEEK ACADEMY 결과스케치 영상 |
4. CO-SHOW
CO-SHOW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을 통해 개발된 융합 교육 프로그램과 그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한다.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 시민까지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입장료는 무료이다.행사에서는 COSS 참여 대학들이 운영하는 첨단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실습형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람객은 직접 참여해 융합 교육의 핵심을 경험할 수 있으며, 교육과 기술을 연결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첨단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컨소시엄이 주관하는 경진대회 부스를 마련해 참여 학생들과의 소통을 촉진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프로젝트 성과를 소개한다. 초·중·고등학생이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 콘텐츠도 제공해, 미래 인재로서의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한다.
CO-SHOW는 COSS 사업의 우수 사례와 교육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고, 융합 교육의 대중적 확산과 인식 제고를 목표로 한다. 이 행사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첨단 교육이 실생활과 미래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체감할 수 있는 종합 교육 페스티벌이다.
<rowcolor=#fff> ▲ 2024 CO SHOW 행사 스케치 영상 |
5. 성과포럼
- 추후 업데이트 예정
6. 산학연협력 EXPO
<rowcolor=#fff> ▲ 2022 산학협력EXPO 공유대학관 |
<rowcolor=#fff> ▲ 2023 산학협력 EXPO [COSS관] 현장 스케치 영상 |
[1] 신재생에너지 기술, 에너지 저장 및 변환 기술, 에너지 효율 및 관리 기술, 에너지 정책 및 경영, 융합 기술 교육[2] 하기 표현된 채널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항공드론 컨소시엄 참여대학별 채널로 추후 통일된 하나의 채널로 운영 예정[3] 2025-2학기 및 2026-1학기 교과목 개발을 통해 과목 추가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