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20:52:17
<colbgcolor=#243E73><colcolor=#ffffff>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COSS사업 <#ffffff,#1f2023>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목표 2026년 까지 첨단분야 인재 10 만명 양성 대상 전국 일반대, 산업대, 전문대 재정지원 가능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사업기간 2021~2026 (6년 : 3+3년) 2024년 사업비 총 816억 원 링크 | |
1 . 개요2 . 세부 분야3 . CO-WEEK ACADEMY4 . CO-SHOW5 . 성과포럼6 . 산학연협력 EXPO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사업)’은 대학 간 경계를 허물고, 학과간의 벽을 넘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이라면 누구나 원하는 첨단분야의 교육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비전은 융합·개방·협력으로 첨단분야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사업목표는 첫째로 지역 간·대학 간 교육역량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여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양성 체계 구축, 둘째로 컨소시엄 대학의 자원을 공동활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수준별 모듈형 표준 교육과정 개발 마지막으로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학생 누구나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생 선택권 대폭 확대하는 것 이다.[POINT 1]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체계 구축 첨단분야의 교원, 교육 컨텐츠, 시설, 기자재 등 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자원을 공동 활용하는 수도권-지방 협업 모델 마련[POINT 2] 공유 가능한 표준 교육과정 개발 첨단분야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우수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주기적 질 관리[POINT 3] 희망하는 학생에게 첨단분야 교육기회 제공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하는 학생이 첨단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대폭 확대[POINT 4] 공유·협력 및 성과 확산 각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첨단분야별 교육 컨텐츠를 사업 수행대학 전체가 공유·활용2. 세부 분야 지원 분야는 대학주도형인 인공지능 , 빅데이터 , 차세대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실감미디어, 지능형 로봇, 에너지신산업과 지자체참여형인 항공드론, 반도체소부장, 이차전지 , 차세대통신, 에코업, 그린바이오, 첨단소재나노융합, 데이터보안활용융합, 차세대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 으로 나뉜다. 2021년부터 시작된 대학주도형 사업은 첨단분야별 수도권-지방대학 간 연합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rowcolor=#fff> 첨단분야 주관대학 참여대학 인공지능 전남대학교 성균관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경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영진전문대학교 빅데이터 서울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전북대학교 , 한동대학교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차세대반도체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 대구대학교 , 숭실대학교 , 조선이공대학교 , 중앙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미래자동차 국민대학교 계명대학교 , 대림대학교 , 선문대학교 , 아주대학교 , 인하대학교 , 충북대학교 바이오헬스 단국대학교 대전대학교 , 동의대학교 , 상명대학교 , 우송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홍익대학교 실감미디어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 계명대학교 , 계원예술대학교 , 배재대학교 , 전주대학교 , 중앙대학교 지능형로봇 한양대학교 ERICA 광운대학교 , 부경대학교 , 상명대학교 , 조선대학교 , 영진전문대학교 , 한국공학대학교 에너지신산업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 한양대학교 , 강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전북대학교 , 경남정보대학교
<rowcolor=#fff> 인공지능 “모두를 위한 AI 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2만명 양성” 미션 인공지능 혁신 융합 대학 생태계 활성화 비전 AI 교육체제 혁신과 공유를 통한 AI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양성 인재상 인공지능 기술을 사회 및 산업 각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 핵심역량 인공지능 전문역량 및 AI+X 융합 역량 사업목표 AI전문인력 및 AI+X 융합인력 2만명 양성
<rowcolor=#fff> 빅데이터 “변화를 예측하는 빅데이터, 첨단분야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 미션 빅데이터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인프라 구축 및 산업체, 지역사회에 성과 확산 비전 빅데이터 분야 다양성을 함양한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적 분산 융합 대학 구축 인재상 미래 변화 대응을 위해 도전하고 창조하며 빅데이터 첨단분야의 수월성을 갖춘 인재 핵심역량 4대 기본역량 : 자율, 도전, 창조, 인본 3대 핵심역량 : 융합성, 수월성, 다양성 사업목표 디지털 기반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통해 가치창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핵심인재 양성
<rowcolor=#fff> 차세대반도체 “반도체 시장의 세계 1위를 위한 차세대반도체 미래 인재양성” 미션 차세대 반도체 맞춤형 교육을 통해 적성 분야를 스스로 선택하는 교육인프라 구축 비전 차세대 반도체 분야를 이끌어 나갈 책임감 있는 미래 인재양성 인재상 한국의 미래 반도체 산업 공동체에 이바지할 젊은 지식인 핵심역량 6개 핵심역량 : 실천, 논리, 창의, 융합, 인성, 연결 사업목표 진로 탐색 기회 제공을 위한 맞춤형 교육으로 연 2,800명 이상 인력양성
<rowcolor=#fff> 미래자동차 “우리의 미래, 지구의 미래, 모두의 미래를 위한 미래자동차 혁신인재 양성” 미션 미래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인재양성을 위해 국사 수준의 고등교육 체계 구축 비전 미래자동차 고등교육체계의 새로운 표준제시 인재상 세상을 바꾸는 자율주행 xEV π형 인재 - π형 인재 : 다양한 분야를 학습하여 새로운 지식과 창의력을 무한 발산하는 인재 핵심역량 5개 핵심역량 : 자기주도역량, 전문역량, 창의역량, 융합역량, 문제해결역량 사업목표 전·소통·협력을 통한 미래자동차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경계없는 교육생태계 구축
<rowcolor=#fff> 바이오헬스 “나의 건강, 가족의 건강, 사회의 건강, 모두를 지키는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미션 대학의 유·무형의 자원을 공유하여 대학들이 함께 상생·발전 비전 미래 바이오헬스 혁신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및 청년실업 해소 인재상 s형인재 : 5개 핵심역량을 겸비한 디지털 바이오헬스 분야 실무형 인재 핵심역량 디지털융합능력, 인간사회공감력, 자기점검능력, 상호소통능력, 창조적문제해결력 사업목표 미래 바이오헬스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플랫폼 구축·운영
<rowcolor=#fff> 실감미디어 “누구나 쉽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실감미디어 전문인력 양성” 미션 수요자 중심 교육 공유 및 확산으로 상호협력 및 상생 비전 글로벌 창의융합 인재양성 및 개방적 실감미디어 혁신융합대학 기반 상호협력과 상생 인재상 실감미디어 사업을 선도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글로벌 창의융합 인재 핵심역량 종합적역량 : 실감미디어 분야의 혁신과 발전을 위해 종합적으로 사고 개인적역량 :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끊임없이 도전하여 목표달성 사회적역량 :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하여 사회 문제 해결 사업목표 자립형 실감미디어 교육생태계 구축, 대학 간 융합형 교육모델 창출 및 확산, 대학·기업·지역 간 민관산학협력가치 확산
<rowcolor=#fff> 지능형로봇 “사회적 동반자 지능형 로봇을 이끌어갈 핵심인재 양성” 미션 나눔으로 상생하는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교육모델 실현 비전 세계 최고의 지능형로봇 분야 혁신융합대학 구축 및 핵심인재 양성 인재상 지능형로봇 분야의 전문역량과 융합능력을 갖춘 실용인재 핵심역량 프로그래밍, 로봇기구, 로봇전장, 로봇케어, 로봇지능 사업목표 진정성과 실현가능성을 갖춘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교육 모델 구축 지속가능성이 담보된 지능형로봇 융합 교육시스템 구축 학생중심의 지능형로봇 융합 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환경 구축
<rowcolor=#fff> 에너지신산업 “함께, 더불어 그리고 지속가능한 우리를 위한 에너지신산업 글로벌 인재 양성” 미션 사회 인프라 에너지 전환을 위해 국가 단위의 전문인력 양성 비전 2030 에너지신산업을 주도하는 창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인재상 학문간 융합을 기반으로 한 신재생 에너지융합기술 혁신인재 핵심역량 응용성, 전문성, 융합성, 창의성 사업목표 에너지신산업 기반 맞춤형/리더형 융합 인재 양성
2023년부터 시작된 지자체참여형 사업은 비수도권 광역 지방자치단체, 첨단분야별 수도권-지방대학 간 연합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rowcolor=#fff> 첨단분야 주관대학 참여대학 참여지자체 항공드론 한국항공대학교 인하대학교 , 한서대학교 , 경북대학교 , 연암공과대학교 대구광역시 반도체소부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국공학대학교 , 한남대학교 , 대림대학교 충청남도 이차전지 충북대학교 부산대학교 , 가천대학교 , 인하대학교 , 경남정보대학교 충청북도 차세대통신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전남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광주광역시 에코업 고려대학교(세종캠) 고려대학교 , 건국대학교 , 영남대학교 , 전주비전대학교 세종특별자치시 그린바이오 충남대학교 경희대학교 , 서울대학교 , 전남대학교 , 연암대학교 대전광역시 첨단소재나노융합 중앙대학교 강원대학교 , 한남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교 강원특별자치도 데이터보안활용융합 강원대학교 아주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영남이공대학교 강원특별자치도 차세대디스플레이 단국대학교 경희대학교 , 한서대학교 , 호서대학교 ,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남도 사물인터넷 세종대학교 동국대학교 , 대전대학교 , 제주대학교 ,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특별자치도
<rowcolor=#fff> 항공드론 “개방과 협력을 지향하는 항공∙드론 혁신융합 인재 양성” 미션 항공∙드론 산업의 심장(Cardio)과 같은 역할을 하는 실무형 혁신융합 인재를 양성 핵심역량 3대 핵심역량 : 혁신성, 융합성, 글로컬 사업목표 4대 목표 : 혁신융합 교육모델 수집 및 운영, CArDIo 표준교육과정 개발, 유연하고 혁신적인 교육제도 구축, 밀착형 학생지원 및 성과 관리 확산 체계 구축
<rowcolor=#fff> 반도체소부장 “B.E.S.T : 단순한 인력양성이 아닌 미래 선도적인(B), 산업밀착(E) 협력형(S), 반도체(T)양성” 비전 반도체 산업선진 글로벌 리더양성 교육목표 산업계 맟춤형+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융합 기반의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 체계 구축 핵심역량 4대 목표 : 사회 발전을 위한 기여, 공학교육의 혁신화, 고급인재양성, 경쟁력 강화
<rowcolor=#fff> 이차전지 “자율과 창의 중심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 비전 세계 이차전지 산업을 선도하는 자율과 창의 중심의 융합형 첨단 인재 양성 목표 개방과 협업을 통한 지자체∙대학의 협력 체계 구축으로 국가 수준의 이차전지 핵심 인재 양성 핵심모듈 5대 핵심 모듈 : 이차전지 소재/분석, 이차전지 제조/공정, 이차전지 정비/시스템, 이차전지 자원 순환
<rowcolor=#fff> 차세대통신 “TEAM-X기반 π형 인재 양성” 비전 차세대통신 혁신교육체계의 새로운 표준제시 인재상 미래 세상과 소통하는 양자보안 차세대통신 π형 인재 사업목표 변화에 지연 없는 적응과 서로 소통하며 폭넓은 사고와 경험을 보유한 차세대통신 혁신인재양성
<rowcolor=#fff> 에코업 “에코업 人재 양성” 비전 대한민국 에코업 성장을 주도할 글로벌 인재 양성 인재상 스마트환경 산업을 주도할 Green Technology Innovator 핵심역량 문제해결, 커뮤니케이션∙협업, 도전정신, AI ∙Data 활용, 창의적사고 사업목표 에코업 6대 분야 (온실가스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 방지 및 관리, 생물 다양성 보전) 수요 맞춤형 인재 배출
<rowcolor=#fff> 그린바이오 “K-농생명산업 FINSET* 국가 표준 교육체계 구축 및 인재양성” 비전 글로벌 선도 첨단융복합 그린바이오 혁신 교육체계 구축 및 인재 양성 인재상 미래 지향 그린바이오 융복합 분야의 창의적 글로벌 혁신 인재 핵심역량 목표지향적, 학문의 재해석, 전문적인, 경험있는, 참신한 사업목표 K-농생명산업 FINSET* 국가 표준 교육체계 구축 및 인재양성
<rowcolor=#fff> 첨단소재나노융합 “첨단신소재・나노융합・3D프린팅 인력양성 혁신융합 생태계 조성” 비전 COSINE 혁신융합교육 생태계 조성과 융합형 인재 양성 미션 제조업 기반의 첨단 제조공정 기술 혁신융합대학 기반 구축 인재상 Leader(리더급 인재), Innovator(혁신형 인재), Field player(현장형 인재), Collaborator(협력형 인재) 핵심역량 Crativity(창의), Convergence(융합), Challenge(도전), Collaboration(협력) 사업목표 첨단 제조업의 고도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플랫폼 구축·운영
<rowcolor=#fff> 데이터보안활용융합 “변화에 신속한 적응과 서로 소통하며 폭넓은 사고와 경험을 통한 개방과 협업을 통한 데이터 보호・활용 핵심인재 양성” 비전 안전하면서도 혁신을 촉진하는 데이터 활용을 위한 융합형 첨단 인재양성 인재상 데이터 보안과 활용을 조화롭게 해결할 수 있는 융복합 폴리매스형 인재 핵심역량 자기주도역량, 전문역량, 창의역량, 융합역량, 문제해결역량 사업목표 변화에 신속한 적응과 서로 소통하며 폭넓은 사고와 경험을 통한 개방과 협업을 통한 데이터 보안·활용 핵심인재 양성
<rowcolor=#fff>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 성장을 이끄는 융합형 중·고급 인재 양성” 비전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주도할 혁신융합 인재 양성 인재상 혁신인재, 실용인재, 미래인재 핵심역량 자기주도역량, 전문지식역량, 문제해결역량, 의사소통역량 사업목표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 성장을 이끄는 융합형 중·고급 인재 3600명 양성
<rowcolor=#fff> 사물인터넷 “차세대 자율 사물인터넷 분야 5-STAR(★★★★★) 인재 양성” 비전 차세대 자율 사물인터넷 분야 5-STAR(★★★★★) 인재 양성 인재상 사물인터넷 공통의 지식 및 분야 융합 기술 전문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상호존중하는 협력 인재, 사물인터넷에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 현장의 문제해결 능력을 겸비한 인재 핵심역량 IoT 제품 개발능력, IoT 플랫폼 역량, 통신 및 네트워크 역량, 융복합 서비스 역량, 팀 단위 협업 능력, 도메인 융합 능력, 인공지능 IoT 융합 능력, 온 디바이스 AI 개발 능력, 시스템 개발 능력,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사업목표 대학·기업·지역을 연결하여 사물인터넷 인재·지역·산업·기술·창업 On
3. CO-WEEK ACADEMY CO-WEEK ACADEMY는 교육부 와 한국연구재단 이 주관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몰입형 융합 교육 프로그램이다. 전공 , 학과 , 학교 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학생들이 함께 모여 첨단 분야 교육 콘텐츠를 학습하며 융합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O-WEEK ACADEMY는 다양한 교육 방식을 통해 미래 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행사 기간 동안 학생들은 전공을 넘나드는 협업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습득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 역량을 체득한다. 이 프로그램은 COSS 사업의 핵심인 융합 교육을 집약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매년 다양한 지역과 주제로 운영된다. 사업에 참여하는 학생 누구에게나 열린 배움의 장이 된다. 2025년 CO-WEEK ACADEMY는 6월 30일(월)부터 7월 4일(금)까지 5일간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에서 개최된다. 본 행사에는 COSS 사업에 참여 중인 전국 대학의 재학생이 참가하며, 컨소시엄별 특화 강의, 세미나 등 다양한 학습과 교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rowcolor=#fff> ▲ 제1회 CO-WEEK Academy 결과스케치 영상
<rowcolor=#fff> ▲ 제2회 CO-WEEK ACADEMY 결과스케치 영상
<rowcolor=#fff> ▲ 제3회 CO WEEK ACADEMY 결과스케치 영상
4. CO-SHOW CO-SHOW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COSS)을 통해 개발된 융합 교육 프로그램과 그 성과를 널리 알리고,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한다.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 시민까지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행사에서는 COSS 참여 대학들이 운영하는 첨단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실습형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람객은 직접 참여해 융합 교육의 핵심을 경험할 수 있으며, 교육과 기술을 연결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첨단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컨소시엄이 주관하는 경진대회 부스를 마련해 참여 학생들과의 소통을 촉진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 와 프로젝트 성과를 소개한다. 초·중·고등학생이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 콘텐츠도 제공해, 미래 인재로서의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한다. CO-SHOW는 COSS 사업의 우수 사례와 교육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고, 융합 교육의 대중적 확산과 인식 제고를 목표로 한다. 이 행사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첨단 교육이 실생활과 미래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체감할 수 있는 종합 교육 페스티벌이다. <rowcolor=#fff> ▲ 2024 CO SHOW 행사 스케치 영상
5. 성과포럼6. 산학연협력 EXPO <rowcolor=#fff> ▲ 2022 산학협력EXPO 공유대학관
<rowcolor=#fff> ▲ 2023 산학협력 EXPO [COSS관] 현장 스케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