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0:01:54

카바급 구축함

제1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구축함 카미카제급 구축함(1905), 우미카제급 구축함, 이소카제급 구축함, 사쿠라급 구축함, 카바급 구축함, 모모급 구축함, 나라급 구축함, 미네카제급 구축함
잠수함 가와사키형 잠수함, O4형, O6형
방호순양함 니타카급 방호순양함, 나니와급 방호순양함, 치쿠마급 방호순양함
경순양함 텐류급 경순양함, 쿠마급 경순양함
장갑순양함 아사마급 장갑순양함, 야쿠모급 장갑순양함, 아즈마급 장갑순양함, 이즈모급 장갑순양함, 카스가급 장갑순양함, 츠쿠바급 장갑순양함, 쿠라마급 장갑순양함
순양전함 B-40, 빅커스 설계 472형 순양전함, 공고급 순양전함
전함
<colbgcolor=#ffffff,#191919> 전/준 드레드노트급 후지급, 시키시마급, 카토리급, 사쓰마급, 이와미C, 히젠C, 페레스베트급C,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C
드레드노트급 카와치급, 공고타이강급 전함, 가네다 전함
포함 반조급, 마야급, 오시마급, 후시미급, 우지급, 사가급, 아타카급A
어뢰정 1호형 어뢰정, 5호형 어뢰정, 코타카급, 후쿠류급C, 21호형 어뢰정, 22호형 어뢰정, 26호형 어뢰정C, 27호형 어뢰정C, 29호형 어뢰정, 39호형 어뢰정, 50호형 어뢰정, 67호형 어뢰정, 시라타카급, 하야부사급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C: 노획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kaba.png
樺型駆逐艦
Kabagata kuchikukan
카바급은 일본 제국 해군구축함이며, 모든 함명은 나무에서 유래했다. 총 10척이 건조됐다.

1. 제원2. 설명3. 설계4. 실전5. 목록

1. 제원

표준/만재 배수량 : 666/820t
길이 * 폭 * 흘수 : 83.5[1] * 7.3 * 2.4m
최고 속력 : 30노트(약 56km/h)
기관 : 4 × 수관식 보일러(9,500지시마력)
추진 장치 : 3 × 증기 기관
주포 : 단열 4.7인치 QF 1문
부포 : 단열 3인치 12파운더 4문
어뢰 발사관 : 2연장 450mm 발사관 2문

2. 설명

일본은 당시 꽤 쓸만한 구축함인 사쿠라급을 두 척(사쿠라, 타치바나) 보유 중이었으나, 그녀들만으론 영일동맹 하에서 동맹군인 영국 해군과 함께 움직이기엔 성능 미달이라 판단, 1914년에 긴급 해군 예산 확장을 추진해 10척의 신규 구축함을 건조키로 했다.

3. 설계

함수 갑판에 QF 4.7인치 Mk I-IV 1문, 그 양쪽에 3인치 12파운더 4문을 장착한 점에 있어 사쿠라급과 유사하다. 하지만 사쿠라급과는 달리 함미 어뢰 발사관은 450mm가 아닌 533mm다.

4. 실전

파일:Japanese_cruiser_Suma.jpg
1917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영일동맹의 일환으로 영국을 지원하기 위해, 4월 스마급 방호순양함 아카시와 8척의 카바급이 몰타에 배치됐다. 이들은 명목상 독립 함대였으나, 실질적으론 현지 영국 해군의 지휘하에 대잠 임무 위주로 활동했다.

이 와중 카바급 사카키가 1917년 6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유보트 U-27의 뇌격으로 92명의 승조원 중 68명이 전사하고 함이 대파되는 피해를 입었다.

5. 목록


모든 동형함은 1932년경 동시에 퇴역했다.
[1] 수선간 거리는 79.2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