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홍콩 | 위구르 | 중화권 | |||
미얀마 | 인도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이스라엘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폴란드 | 독일 | |||
오스트리아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이탈리아 | |||
스페인 | 덴마크 |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미국 | 멕시코 | 쿠바 | 아이티 | 세인트루시아 | |||
나이지리아 | 소말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다자관계 | |||||||
CANZUK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미국·캐나다·프랑스 | 파이브 아이즈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화권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
타지키스탄 | 티베트 | |||||
유럽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러시아 | 튀르키예 | 미국 | 캐나다 | 호주 |
캐나다 | 위구르 |
[clearfix]
1. 개요
캐나다과 위구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캐나다에는 위구르족 난민들이 거주하며 위구르족 문제를 둘러싸고 캐나다와 중국은 갈등이 존재한다. 캐나다와 호주는 위구르족 강제노동 금지법과 비슷한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2.1.1. 2000년대
2006년 11월 20일,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가 후진타오 주석에게 위구르족 수감자 문제를 제기했다.#2.1.2. 2010년대
2016년 2월 3일, 중국 법원이 위구르족 11명에 대해 감형 판결을 내렸고 이 중에는 캐나다 국적을 가진 위구르족들도 포함됐다.#2018년 11월 6일, 로즈메리 맥카니 캐나다 대사는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들을 대상으로 집단 구금과 억압, 감시를 실시하고 있다는 보고서들의 내용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밝혔다.#
2019년 9월, 캐나다 맥마스터대학에서 캐나다 주재 위구르족 출신 활동가가 강연을 하자 중국인 유학생들이 시위를 했다.#
2.1.3. 2020년대
2021년, 마이클 청 캐나다 의원은 중국 정부의 위구르족 탄압을 집단학살로 규정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추진했다.#2월 17일, 캐나다 보수당 의원이 중국의 위구르족 학살을 비판하며 베이징 올림픽 개최지를 변경해야 한다고 밝혔다.#
2월 22일, 캐나다 의회가 중국이 위구르족 탄압을 집단학살로 규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리고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이 지속될시 올림픽 개최지를 다른 나라로 바꾸도록 국제올림픽위원회와 캐나다 정부에 결의안을 촉구했다.#
3월 23일, 미국, 캐나다, 영국, 유럽연합이 위구르족 인권탄압 문제로 중국을 제재하기 시작했다.#1#2#3 그러자 중국 정부도 맞불제재를 했다.#1#2
5월 12일, 미국, 영국, 독일의 주최하에 유엔 위구르 회의가 열렸고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다른 유럽 국가들도 후원했다.#
6월 23일, 캐나다와 중국이 신장 위구르 인권 문제, 캐나다 원주민 아동 유해 발견 등을 두고 인권이사회에서 설전을 벌였다.#
8월 31일, 캐나다의 위구르 인권운동가 메흐메트 토티가 중국이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하는 대신, 해당국들이 위구르족들을 중국에 넘겼다고 밝혔다.#
12월초, 캐나다 정부는 중국 정부의 위구르족 탄압에 항의하는 차원으로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에 나섰다.#1#2
캐나다 교수 대런 바일러가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을 비판하는 책을 출판했다.#
2022년 10월 25일, 캐나다 의원들이 제3국에 거주하는 위구르족 난민의 캐나다 재정착을 촉구했다.#
2023년 2월 1일, 캐나다 의회는 위구르족 난민 재정착을 위한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1#2
3. 관련 기사
- "국가 관계 불이익" 中 경고에도 유엔 위구르 회의에 51개국 참가 - 뉴스1
- 캐나다 보수당 "中 위구르족 학살...베이징올림픽 개최지 변경해야" - 서울경제
- 캐나다 하원, '中 탈출 위구르 난민 1만명 수용' 만장일치 결의 - 연합뉴스
- 캐나다 의회, 中위구르 난민 1만명 재정착 법안 만장일치 통과 - 뉴스1
- EU·美 이어 英·캐나다도 '위구르 인권' 관련 中 당국자 제재 - 뉴스1
- 美·EU·英·캐나다 “‘中, 위구르족 인권 탄압’ 그만둬라” - 부산일보
- 中, 위구르 인권 비판한 美·캐나다 보복 제재…"다음 타깃은 쿼드" - 한국경제
- 하퍼 加총리, 후진타오에 위구르족 수감자 문제 제기 - 뉴시스
- 서방, 유엔서 中위구르 수용소 인권유린 비판…중국은 부인 - 연합뉴스
- 유독 중국과 ‘디커플링’ 고집하는 캐나다…협력 또 중단 - 국민일보
- 美·英·EU·캐나다, 위구르 인권탄압 문제로 동시에 中 제재 돌입 - 조선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