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Geometry Dash
2.1. 구간2.2. 비밀 코인2.3. 여담2.4.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Silent Club2.5.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ICE Carbon Diablo X2.6.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Tartarus2.7.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Silent clubstep
1. 개요
dj-Nate가 2011년 2월 1일[1] 발표한 곡이다. 위 영상은 유튜브에서 자동 생성 된 것이며, 이상하게 본인의 유튜브에 이 곡은 올라오지 않았다. 원본 사이트는 여기를 참고. 최근 VIP 버전을 내었다. VIP와 유튜브 자동 생성된 곡은 Clubstep이라고 붙여쓴다. 조성은 마단조(E minor)이다. 후반부에는 분위기가 색다른 강렬한 덥스텝이 특징
2. Geometry Dash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B0FF, #4166F5, #4166F5, #4166F5, #20B0FF)" 스테이지 일람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 ||
1. | 2. | 3. | |
4. | 5. | 6. | |
7. | 8. | 9. | |
10. | 11. | 12. | |
13. | 14. | 15. | |
16. | 17. | 18. | |
19. | 20. | 21. | |
22. | 23. | ||
1. | 2. | 3. | |
1. | 2. | 3. | |
스테이지 문단 참조 | |||
아직 출시되지 않은 레벨은 | |||
| }}}}}}}}}}}} |
Geometry Dash의 스테이지
<rowcolor=#fff> Clubstep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fff> 업데이트 버전 | 클리어 시간 | 반영 버전 | 해금 조건 | ||||
1.6 | 1분 26초 | 정식판, Lite 버전[2] | 10 |
<rowcolor=#fff> 보상 | |||||||||
14 | 노말 모드 클리어 시 | 연습 모드 클리어 시 | |||||||
| (올코인) | (스팀 버전 한정) | | ||||||
<rowcolor=#fff> 레벨 순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3. Electroman Adventures | → | 14. Clubstep | → | 15. Electrodynamix |
2014년 3월 25일에 출시된 1.6 업데이트로 새롭게 나온 Geometry Dash의 14번째 스테이지이자 최초의 메인 데몬 스테이지이다. 지옥을 모티브로 하였다.[3][4] 악마들의 입을 통과하는 패턴이 많다.
1.6 업데이트 예고 중 롭탑이 "이번에는 데몬 스테이지를 만들 것"이라고 했는데, 출시 후의 난이도는 당시 상위권 커스텀 데몬 맵과 난이도가 비슷했다.[5] 여지껏 나온 모든 테크닉들이 총동원되고, 보이지 않는 블록과 가짜 가시 등 특이한 장애물이 추가되어 상당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맵의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전 구간이 온갖 페이크로 점철되어 있어서, 익숙해져도 가끔 함정에 걸리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다 깼다 싶을 때 막판 페이크에 죽는 일도 좀 많다.[6]
이 맵은 코인을 10개 이상[7] 모아야 해금되며,[8] 클리어 시 별 14개를 받을 수 있다.
Clubstep을 현재의 온라인 레벨들의 난이도로 따지자면, 대략 Easy Demon 하위권 정도의 난이도이며 후반 비행 구간의 난이도는 최고 난이도 공식맵인 Deadlocked와 비슷한 Easy Demon 중상위권 정도라는 게 중론이다.[9]
오브젝트 수는 7638개이다.
여담으로 이 노래로 만들어진 커스텀 익스트림 데몬 맵들 중 3개는 다 한때 #1위에 위치해있던 레벨들이다.[10][11]
개인차가 심하긴 하지만 커스텀 인세인 9성을 몇 개 깰 수 있는 실력이면 충분히 도전할 만 하다.
2.1. 구간
<rowcolor=#000,#fff>1번 구간 | 2번 구간 | 3번 구간 | |||||||||||
~25% | 25%~ | 33%~ | 43%~ | 51~56% | 58%~ | 64%~ | 68%~ | 73~82% | 85%~ | 90%~ | 94%~ | ||
<rowcolor=#000,#fff> 56~58%: 배 모드, 82~85%: 큐브 모드. // 소형 모드: 35~58%, 65~82%, 83%~100% |
어려운 구간: 25~33%, 51~56%, 73~82%, 85~90%(소형 비행 구간)
특히 후반부의 비행 모드가 매우 어려운 편이다.
2.1.1. 초반
0~15%:16~22%:
이 구간을 지나면 캐릭터가 위로 상승하면서 배 모드로 진입한다.[13]
2.1.2. 중반
25~34%:35~42%:
43~50%:
51~56%:
56~57%:
57~64%:
2.1.3. 후반
65~69%:69~73%:
73~78%:
78~82%:
82~85%:
85~90%:
91~95%:
95~100%:
여기까지 무난하게 통과했다면, 비행 모드 실력이 많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27]
2.2. 비밀 코인
- 코인은 1번째 코인을 제외하면 꽤 어렵다.
첫 번째 코인.
코인 난이도:
맵 9% 구간에 등장하며 공식 맵 중 가장 빠른 시점에 나오는 코인이다. [29]원래 가는 길과 거의 차이가 없을 뿐더러 오히려 코인루트가 기본 루트보다 더 쉽게 느껴질 수 있다. 거의 일반루트로 안 간다. 그래서 처음 연습할 때부터 이쪽 코인 루트로 가면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한다.[30]
두 번째 코인.
코인 난이도:
투명가시의 위치를 외우고 소형화 UFO로 돌파해야하는데 가시가 위, 아래로 널려져있어 가시위치를 외웠더라도 타이밍 미스로 인해 죽는경우가 허다하다. 포탈을 탄 것을 확인하고 점프를 해야 하며, 첫 가시를 최대한 빨리 넘어야 한다.
세 번째 코인.
코인 난이도:
코인 자체의 난이도도 낮지 않은데 맵 최후반부에 있다 보니 체감 난이도는 더욱 올라간다. 97% 즈음에 존재하는 소형 로켓 구간 시작에서 첫 악마 지형 입의 구멍으로 통과하면 존재한다. 팁을 주자면 마지막 발판에서 짧게 클릭하고 기다리면 아래쪽으로 가는데, 고도조절해서 코인을 먹자. 이 방법을 이용하면 죽을 일이 거의 없을 정도로 난이도가 확 쉬워진다.
2.3. 여담
- 같은 데몬, 비슷한 난이도인 Theory of Everything 2와 비교했을 때 뭐가 더 어려운지는 의견이 많이 갈린다. Clubstep의 경우 중반까지는
UFO와 65~67%, 87~91%를 제외하면Insane보다 약간 더 어려운 급의 무난한(?) 난이도(데몬 맵치고 무난한 것이지, 만만히 볼 구간은 아니다)를 보이지만, 후반 15% 정도의 구간에 소형 비행+중력 반전을 가지고 미친 듯한 장난을 쳐 놓아서 엄청 어려운 연속구간을 만들어 놓은 케이스고, Theory of Everything 2의 경우 짧게 나오는 엄청난 난이도의 헬 구간이 등장하지만 Clubstep처럼 긴 헬 구간을 자랑하지는 않는다. 구간별로 난이도가 극과 극으로 갈리는 스테이지와 평균적으로 어려운 스테이지의 비교인 셈이니, 그렇게까지 의미 있는 비교는 아니다. 비행 모드 컨트롤이 부족하거나 후반부로 갈수록 어려워지는 구성이 부담이 되면 Clubstep이 더 어려울 것이다. 사실, 이런 부분으로 인해 개인차가 어느 정도 있는 레벨이기도 하다.[32]
- 버그가 4가지 존재한다.[33] 첫 번째는 처음부터 꾹 누르면 점프링이 있는 곳까지 무사통과가 가능한 것[34], 두 번째는 1번째 비행기 구간을 가기 전 중력 포탈을 타고 올라갈때 비행기 구간을 들어가기 전까지 화면을 누르고 있으면 파란 발판을 무시하고 중력반전 상태로 비행기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 마지막 세 번째는 40% 구간에 작아지고 나서 나오는 3번째 파란 점프링 연타 구간에서는 버그로 인해 운이 좋으면 페이크 링을 밟아도 죽지 않는다. 또 영상에는 없지만 40%대에 볼 구간에서 UFO 구간으로 갈 때 연타를 해서 운이 좋거나 컨트롤을 잘 하면 중력 반전 상태로 다음 큐브 모드가 나올 때까지 중력을 거꾸로 해서 갈 수 있다.[35] 자세한 버그들은 이쪽으로.
- 공식 스테이지 중에서는 이 맵부터 좌우 반전 포탈이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 노말 클리어 시 아이콘이 아닌 색깔을 주는 유일한 스테이지다.
- 이 스테이지 이후 괴물들의 비중이 높아졌다. Electrodynamix를 제외한 모든 스테이지에 괴물 모양 장애물들이 등장한다.[36]
- 배경과 바닥이 사각형인 마지막 스테이지다. 이후 추가되는 스테이지들은 전부 사각형이 아니다.
2.4.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Silent Club
2.5.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ICE Carbon Diablo X
2.6.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Tartarus
2.7.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Silent clubstep
[1] 뉴그라운즈 기준[2] Lite 버전에서 최초로 추가되는 데몬 맵이다. 해금 조건은 정식판과 동일한 코인 10개.[3] 이 맵이 처음 나왔을 때 문구가 "Welcome to Hell"이었다.[4] Clubstep은 악마들이 도사리는 지옥, Deadlocked는 불지옥을 표현한 것이다.[5] 이때는 Clutterfunk가 나름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 정도였다.[6] 다만 후반에는 페이크가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페이크보다는 비행 테크닉에서 죽을 확률이 더 높다.[7] 원래는 20개 이상을 모아야 했으나 2.0 업데이트로 10개 이상으로 변경되었다.[8] 여태까지 나온 데몬 난이도의 맵은 모두 코인으로 해금해야 플레이할 수 있다.[9] 물론 개인차가 있어 소형 비행에 강하면 일부 유저들은 Insane 9성으로 평가하기도 한다.[10] Silent Club은 포럼 생성 이전, ICDX는 포럼 생성 극초창기, Tartarus는 2020~2021 하반기. 2022년 7월 18일 유명한 핵맵이었던 Silent clubstep도 익스트림 데몬으로 레이팅 되고 현재 4위의 자리에 위치해 있다. 사실 이녀석도 이론상으로는 1위였었다.[11] 아이러니 하게도 이런 명성을 가지고 있는 노래지만, 저 네 맵들 중 그나마 호불호만 갈리는 Tartarus를 제외하면 모두 게임플레이 측면에서 엄청난 욕을 얻어먹고 있다(...).[12] 초면이거나 아직 외우고 타이밍을 익히지 못했다면
[13] 이때 꾹 누르고 있으면 중력반전된 채로 비행하게 된다.[14] 충분히 익숙하지 않다면
[15] 여기서 나오는 첫 번째 파란 점프링 4개 중 4번째 점프링을 늦게 누르면 소형화 포탈을 무시하고 진행하게 된다.[16] 그리고 운이 없으면 처음 중력반전 파란색 부분을 밟고 터치가 늦게 판정되어 아래에 있는 노란색 발판을 못 밟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파란색 발판을 건너뛰고 2, 3번째 파란색 점프링만 밟는 방법이 더 안정성이 높으므로 4번 연속 터치가 불편하다면 이 방법을 사용할 것.[17] 클릭 타이밍을 완벽하게 암기했다면
~
[18] 원래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았으나, 2.1 업데이트로 UFO 점프 높이가 높아지면서 난이도가 자동적으로 상승되었다.[19] 여담으로 이 구간만 1분 30초동안 이어 붙인 Insane 9성 Flappy Bird Demons라는 온라인 맵이 있다.[20] 위쪽 분홍 점프링이 2개가 겹쳐서 깔려 있다. 때문에 아래 파란 점프링의 타이밍을 잘못 맞춰도 계속 연타하면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다.[21] 익숙해졌다면
, 익숙하지 않다면
[22] Demon of Pythons라는 데몬 맵의 어느 구간과 꽤 유사해서 붙은 별명이다. 여담으로 현재 해당 데몬은 미데이다.[23] Cycles에서 나오는 8연속 중력 반전 구간과 비슷하다. 초심자들한테는 지옥이라는 점까지도.[24] 소형 비행을 잘하면
[25] 실제로는 함정길로 가도 깰 수는 있다. 하지만 360프레임 퍼펙트가 존재하는 만큼 도전하지 않는 것이 이롭다.[26] 마지막 발판에서 짧게 클릭하고 기다리면 아래쪽으로 가는데, 고도조절해서 코인을 먹자.[27] 실제로 유튜브의 지메대 고수들도 비행 모드 실력 늘리고 싶으면 해당 스테이지를 깨 보라고 추천하기도 한다.[28] 타이밍에 약하다면
[29] 다만 확장판까지 생각하면 Nock Em이 5%로 가장 빠르다.[30] 가끔씩 박자를 안 맞추거나 좀 빨리 누르면(노란색 오브)가시에 죽을 수도 있다.[31] 고도 조절을 못하면
, 잘하면
[32] 사실 공식 데몬 맵중 개인차가 심한 맵은 Theory of Everything 2이다. 투명 블럭 등의 요소가 개인차를 많이 일으키기 때문.[33] 사실은 서술한 것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다.[34] 60Hz를 사용할 때만 가능하다.[35] 그 뒤로는 중력 때문에 맵을 이탈해 죽어서 불가능하다.[36] Fingerdash는 2.0 이후에 나온 장애물 괴물들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