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1:54:03

타카마가하라

파일:external/www.kuniumi.or.jp/nuboko2.jpg
오노고로섬을 만들고 있는 이자나기이자나미

1. 개요2. 설화3. 실존설
3.1. 일본 열도설
3.1.1. 규슈 일대3.1.2. 나라현 고세시 콘고산(金剛山)3.1.3. 기타 지역
3.2. 한반도설
3.2.1. 고령설3.2.2. 거창군 가조면설

1. 개요

타카마가하라([ruby(高天原, ruby=たかまがはら)])는 고사기일본서기에 기록된 일본 신화에서 아마츠카미가 살고 있는 세계이다. 타카아마하라(たかあまはら), 타카노아마하라(たかのあまはら), 타카마노하라(たかまのはら), 타카마가하라(たかまがはら) 등으로도 읽는다. 하늘 천(天) 자를 '아마'라고 읽으라는 주석 외에는 발음에 대해 규정한 바가 없어서, 어느 쪽 발음이 정확한지는 모른다. 보통은 타카마가하라라고 읽는데 が(가)가 들어간 읽는 법은 비교적 후대에 나타난 듯하다. 한국의 일문학자 김후련은 저서에서 '다카마노하라'라는 한글 표기를 사용했다.

2. 설화

타카마가하라에 최초로 출현했던 신은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天御中主神)이다. 이후 여러 신들이 탄생하였고 후대에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다스리게 된다.

신들이 사는 땅이지만 여기서 쫓겨나거나 지상의 왕이 되기 위해 강림하거나 하여 지상에 정착하는 이들도 있다. 스사노오, 니니기 등.
수사노오노미꼬도[素戔鳴尊]는 성질이 포악하여 여러 신들은 벌로써 치구라오기도[千座置戶]를 과하여 고천원으로부터 내쫓았다. 그래서 수사노오노미꼬도는 그의 아들 이다게루노미꼬도[五十猛尊]를 데리고 신라국 소시모리[曾尸茂梨][소머리산, 牛頭山]에 가서 말하기를 나는 이 땅에 살고 싶지 않다 하고 배를 만들어 타고 동쪽으로 항해하여 이즈모국[出雲國]의 히노가와[簸川] 상류인 도리가미노다케[鳥上峯]에 도착하여 그 곳에 살았다 『일본서기』

一書曰, 素戔鳴尊所行無状, 故諸神, 科以千座置戸, 而遂逐之, 是時所素戔鳴尊, 師其子五十猛神, 隆到於新羅国 曾尸茂梨之処, 乃興言曰, 此地吾不欲居, 逐以埴土作舟, 乗之東渡, 到出雲国簸川上所在鳥上之峯 『日本書紀』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고천원(高天原)’의 고목신(高木神), 다른 이름은 고황산존령(高皇産尊靈)이 외손자 니니기노미코토를 ‘보자기’에다 싸서 지상으로 내려 보냈다. 내려간 곳은 ‘구시후루’땅 ‘소호리’라는 봉우리였다.# # 또한 니니기노미코토는 3종 신기(神器, 옥·구리거울·검)를 갖고 5부신을 데리고 지상에 내려온다.#

그리고 강림한 곳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곳은 한국[韓國]과 마주 보고……, 아침 해가 바로 비치고 저녁 햇볕이 쬐는 지극히 좋은 땅”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니니기는 아마테라스의 직계 손자로 그 니니기의 손자가 진무천황으로 되어있으며, 일본 천황가는 니니기의 직계 자손임을 자처한다.

규슈의 가고시마현에 니니기노미코토의 능이 조성되어 있다.

임진왜란 무렵 일본에 체류하던 예수회 선교사들이 일본 민속을 기록한 문헌에 '여기 사람들은 타카마가하라라는 천계를 믿는다.'는 구절이 있다.

3. 실존설

타카마가하라는 현실에 모델이 존재한다는 설과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오롯한 종교적 공간이라는 설이 갈린다.

일제강점기 시절 몇몇 일본인들은 타카마가하라에서 살다 쫓겨난 스사노오가 머물렀던 신라의 소시모리 지역을 강원도 춘천의 우두봉(牛頭峰)으로 추정하여 우두봉 정상에 스사노오를 모신 신사를 짓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선총독부가 사실 여부를 알 수 없단 이유로 아무 지원도 해주지 않자, 하릴없이 우두봉에서 가장 가까운 국폐소사인 강원신사에 스사나오의 신령을 합사하는 선에서 마무리지었다.

일본에는 여러 지역에 타카마가하라가 있었다는 설들이 존재한다.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3.1. 일본 열도설

3.1.1. 규슈 일대

자주 언급되는 지역은 미야자키현 타카치호(高千穂) 일대인데, 니니기천손강림한 장소라는 오래된 전승이 전한다. 그런데 이 타카치호라는 장소가 미야자키현에 두 곳이내 있어서, 예로부터 어느 쪽이 천손강림의 땅인지 의견이 분분했고, 이는 타카마가하라 가설에서도 동일하다.기리시마 신궁을 묘사하고 있다. ||
미야자키현 서남부에 있다. 기리시마 신궁(霧島神宮)과 고궁지(古宮址) 등이 있다. 신궁(神宮)호를 받은 점 등을 보아 적어도 일본 제국 시기에는 이곳이 타카마가하라까지는 아니어도 천손강림의 유일한 배경으로써 비정됐다.

이 외 규슈 북부설 등이 있다.
그 외의 지역도 거론된다.

3.1.2. 나라현 고세시 콘고산(金剛山)

파일:나라현 콘고산.jpg
콘고산(金剛山)
14~15세기부터 일본 문헌에서 주장된 바가 있는 오래된 설이다. 야마토 왕권의 근거지인 나라 분지 서남부 카츠라기(葛城) 지방에 콘고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이 산의 옛 이름이 타카마야마(高天山)이다.고세시 사이트 소개글 현지에서는 이곳 일대가 천상의 신들이 살던 장소라는 전승이 있으며, 이곳의 산의 타카마히코 신사(高天彦神社)는 타카마가하라의 신인 타카미무스비를 모시는데 헤이안 시대의 관사(官社)들의 목록인 '연희식 신명장(延喜式神名帳)'에서 최고위급에 해당하는 명신대사(名神大社)로서, 격이 높은 오래된 신사이다. 타카마가하라에 있다고 하는 아마노이와토도 이곳에 있다고 하는 시(헤이안 시대청령일기가마쿠라 시대의 삼류수(三流抄)나 노가쿠가 남아있기 때문에 적어도 고대 말기부터는 그렇게 여겨졌다.

그 외에도 일본서기에서 곤고산 인근 지역인 가시하라(橿原, 현재의 가시하라시)를 타카마가하라로 부르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3.1.3. 기타 지역


이 지역들은 타카마가하라 전승이 있는 곳으로서, 그 외의 여러 지방에도 타카마가하라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3.2. 한반도설

3.2.1. 고령설

일본의 일본어학자 쓰쿠바대학 도쿄 세이토쿠 단기 대학 명예 교수인 마부치 가즈오(馬渕和夫)가 1995년 고천원(高天原)이 대한민국 경상북도 고령 땅이라는 내용을 담은 논문 '고대 한·일 교류에 관하여'를 발표하였다.

"일본의 천손이 고천원에서 신라로 내려왔다는 내용이 서기 712년 『일본서기』에 기록돼 있다. 고천원은 신라 서쪽에 위치한 나라(가야)로서 산속 분지로 알려진 곳이다. 수년간 연구 끝에 조건에 맞는 곳을 찾았다. 바로 고령이다."

마부치 교수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스사노오가 고천원에서 추방되어 ‘신라국 소시모리’에 가서 살았기 때문에 고천원을 신라국의 서쪽에 인접한 나라로 보고 대가야국 고령으로 비정하였다. 그리고 현 가야대학교의 언덕을 고천원으로 지목하였고, 마부치 교수의 학설을 지지한 가야대학교의 이경희 총장은 마부치 교수가 지목한 교내 언덕에 고천원고지 비석을 세웠다. 또한 소시모리는 고령에서 하루만에 갈 수 있는 경남 거창군 가조면에 있는 해발 1,046m인 우두산(牛頭産)으로 보았다.#

국민대 총장을 지낸 이종항교수는 이자나기(伊邪那崎)와 이자나미(伊邪那美)는 대가야 건국신화에 나오는 이진아시(伊珍阿鼓)와 동일인이며 이자나기는 천부(天父)신,이자나미는 지모(地母)신이라고 했다.또 이자나기의 딸로서 일본 국조신으로 추앙받는 아마데라스오오미카미(天照大神),아마데라스오오미카미의 손자로 일본 개국신인 니니기노미코도(邇邇藝命)는 고천원에서 살았다고 하였다.

일본 연구자 아라 에이세이(荒榮誠)는 일본 건국신의 하나인 다가미무수비노미코도(高皇産靈尊)가 가야의 고령출신이고 ‘高靈’과 ‘皇産’(천황을 산출한다)의 두글자로 구성됐다는 설도 있다고 하였다.#

이후 1999년부터 매년 4월이면 경북 고령군 가야대학교 언덕에 있는 '고천원고지(高天原故地)'에서 '고천원제(高天原祭)'를 올리기 위해 일본 사학계 인사 100여 명이 찾았으나# 가야대 고령 캠퍼스가 폐교되면서 행사도 중지되었다.

3.2.2. 거창군 가조면설

얼핏 보면 고천원과 고령은 다 고(高)자를 사용하고, 고령은 마부치 가즈오 명예교수가 주장한 것처럼 경주의 서쪽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마땅하게 생각된다. 그러나 고천원이라는 지역명은 고령이 아닌 거창군 가조면에 남아있으며, 가조면도 경주의 서쪽에 있음은 마찬가지고, 아직도 궁궐터와 그것을 나타내는 이름(궁배미)이 남아있다. 게다가 가조면은 경남의 티베트라 불리는 고원에 자리한 분지이며, 산세가 깊고 해발도 제법 높으므로 문자 그대로 높은 하늘에 들판(原)이 있기 때문에(이기동李沂東) 한반도 남부 어느 산간분지라는 가설에 딱 들어맞는다. 따라서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기사를 사실로 받아들일 경우 고천원은 고령이 아닌 거창에 있었다고 여기는 것이다.

여담으로 고령은 대가야의 중심지로 이진아시 왕이 대가야를 건국했다고 기록되어있고, 거창도 가야의 일원이었으며 거창의 지명은 '넓고 큰 밝은 들'에서 유래했다 한다.

[1] 高千穂町と日本神話[2] 古田武彦 失われた九州王朝[3] Peter Metevelis <Shinto Shrines or Shinto Temples?>[4] Juduth Levin <Japanese Mythology>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