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아프가니스탄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
전개 | 탈레반의 공세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미라클 작전) · 내전 | ||
내전 상황 2021년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 |||
장소 |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 ||
단체 |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 |||
인물 |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 ||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 |||
사미 사다트 ·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 |||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 |||
사건·사고 |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 |
[clearfix]
1. 개요
탈레반 치하 아프가니스탄의 2022년 내용을 정리한 문서.2. 1월
2.1. 1월 1일
탈레반 정권이 매매혼을 금지했지만, 경제난에 매매혼이 성행하고 있다.#2.2. 1월 4일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정부 대변인은 아프가니스탄 현지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자살폭탄 부대'를 정규군으로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탈레반 정권이 술을 압수해 술판매 및 마시는 행위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2.3. 1월 5일
헤라트시에서 탈레반이 마네킹의 머리 부분을 떼어내라는 지시를 내렸다.#2.4. 1월 7일
압둘 가니 바라다르가 국제사회에 편견없이 아프간 지원을 호소했다.#2.5. 1월 8일
권선징악부가 카불의 카페와 상점에 히잡을 쓰라는 포스터를 붙이는 조치를 취하고 있어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2.6. 1월 15일
탈레반이 헤라트와 발흐의 여성들이 공중목욕탕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명령했다.#탈레반측이 3월 21일부터 여학생들의 등교를 허용하되 학교에서 여학생들을 분리하는 교실을 신설하는 것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2.7. 1월 19일
물라 모하마드 하산 아쿤드 탈레반 총리는 카불에서 경제난과 관련해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정권 인정을 호소했다.#탈레반의 모하메드 나임 대변인은 하자라족 여성을 살해한 탈레반 대원을 체포했고 유족들에게 60만아프가니(약 680만원)의 위로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2.8. 1월 21일
탈레반이 여성운동가의 자택을 잇달아 급습해 시위 관련자들을 체포했다.#2.9. 1월 24일
탈레반은 오는 3월 21일부터 남녀 모든 연령대의 학생에게 학교가 재개방될 것이라고 밝혔다.#2.10. 1월 30일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 후 100명이 넘는 아프간 전 관리, 군인과 국제 연합군 협력자가 살해된 것으로 파악됐다.#3. 2월
3.1. 2월 2일
탈레반의 고위급 간부 압둘 가니 바라다르가 중국 외교부장 왕이와 만났다. #3.2. 2월 6일
탈레반은 이웃국가로 탈출한 조종사 5명이 귀환했다고 밝혔다.#3.3. 2월 7일
탈레반이 재집권한 뒤 아프간내에서 알카에다, 다에쉬 등 테러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는 유엔 보고서가 나왔다.#3.4. 2월 15일
탈레반이 동결된 자국의 해외자산 일부를 9.11 테러의 희생자 유족 배상에 사용하려는 미국 정부의 조치를 거듭 비난했다.#3.5. 2월 16일
탈레반은 11만 정규군을 창설하고 필요시 증원한다고 밝혔다.#3.6. 2월 17일
바다흐샨주 나시 지역에서 불륜을 저지른 남녀가 샤리아 법정에서 투석형에 처해져 사망했다.#3.7. 2월 18일
우물안에 빠져 3일간 갇혀있던 3세 소년이 사망했다.#3.8. 2월 19일
탈레반 정권이 미국과 영국 출신 민간인들을 구금하고 있다고 밝혔다.#3.9. 2월 27일
자국민의 해외 대피를 당분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4. 3월
4.1. 3월 2일
국내외 비난 속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4.2. 3월 18일
탈레반이 남녀 교육을 허용하지만, 여학생들은 여교사에게만 수업을 받는다고 밝혔다.#4.3. 3월 23일
탈레반이 갑자기 입장을 바꿔 여학생들의 등교를 막은 일이 발생했다.# 이에 국제사회는 탈레반 정권을 비판했다.#4.4. 3월 24일
남성 보호자 미 동행 여성의 여객기 탑승까지 금지했다.# 게다가 놀이동산조차 남녀분리 실시한 것이다.4.5. 3월 28일
전 세계의 언론매체 송출을 막았다.#4.6. 3월 29일
공무원의 턱수염을 의무화했다.#5. 4월
5.1. 4월 16일
탈레반은 파키스탄군이 국경을 공습해 아프간인 수십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5.2. 4월 19일
카불시에서 연쇄폭탄테러가 일어났다.#5.3. 4월 25일
탈레반 정부 고등교육부는 카불대 등에 공문을 보내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의 등교일을 분리하라고 지시했다. 공문에서 여학생은 토요일, 월요일, 수요일, 남학생은 일요일, 화요일, 목요일에 등교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6. 5월
6.1. 5월 5일
이슬람 성직자들이 여학교를 다시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6.2. 5월 7일
모든 여성들에게 외출 시 차도르를 강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6.3. 5월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탈레반의 부르카 착용 강요와 관련된 회의를 진행하기로 했다.#6.4. 5월 12일
부부의 식사 동석까지 금지하는 조치를 했다.# 그러나 이틀 만에 폐지했다.#6.5. 5월 17일
인권위원회, 국가화해최고위원회(HCNR), 국가안보위원회 등 구 정부 내 조직 5곳을 해산했다.#6.6. 5월 24일
탈레반이 19일부터 여성 앵커들의 얼굴을 가리라는 지시를 내리자, 남성 앵커들이 항의의 표시로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7. 7월
7.1. 7월 1일
탈레반이 카불 기술대에서 3,000명이 모인 지도자 회의를 개최했다.#8. 8월
8.1. 8월 1일
탈레반 집권 1년이 지났지만, 아프간 국민들이 탈레반의 폭정과 가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기에다 아프간 여성들의 부르카 강제 착용까지 존재했다.#8.2. 8월 3일
알카에다의 2번째 지도자인 아이만 알자와히리가 탈레반의 고위 지도자인 시라주딘 하카니의 보좌관이 소유한 집에 머물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탈레반이 알카에다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8.3. 8월 13일
카불에서 여성 인권 향상을 요구하는 시위가 발생 했으나, 탈레반이 무력 해산했다.#8.4. 8월 15일
탈레반이 재집권을 한지 1년이 되었고, 경제파탄, 대중문화 탄압, 아프간 여성들에 대한 인권 억압이 심각해졌다.# 그리고 공휴일로 지정되었다.#바이든 행정부가 70억 달러 규모의 아프간 동결 자금을 해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