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3:23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2022년/1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전개 탈레반의 공세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미라클 작전) · 내전
내전 상황 2021년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장소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단체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인물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사미 사다트 ·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파일:미국 국기.svg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사건·사고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1. 개요2. 전황
2.1. 1월 1일2.2. 1월 2일2.3. 1월 3일2.4. 1월 4일2.5. 1월 5일2.6. 1월 6일2.7. 1월 7일2.8. 1월 8일2.9. 1월 9일2.10. 1월 10일2.11. 1월 11일2.12. 1월 12일2.13. 1월 13일2.14. 1월 14일2.15. 1월 15일2.16. 1월 16일2.17. 1월 19일2.18. 1월 20일2.19. 1월 21일2.20. 1월 22일2.21. 1월 23일2.22. 1월 24일2.23. 1월 25일2.24. 1월 26일2.25. 1월 27일2.26. 1월 31일

1. 개요

1년이 지나며 장기전으로 돌입한 2022년 아프가니스탄판지시르 주와 주변 고지대를 거점으로 하는 반(反) 탈레반 저항군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의 1월 전황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탈레반 측 주장과 국민저항전선 측 주장이 엇갈리는 부분이 많다. 각자 과장된 주장을 펼친 것이 존재한 만큼, 양 측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신뢰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가짜뉴스로 치부해서 무의미한 정보로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 어느 정도 자기암시인 면도 있고, 가짜뉴스만으로도 충분히 유불리를 헤아릴 수 있으므로 양측의 주장을 고루 듣는 것이 좋다.

2. 전황

파일:12월 12일 근황.png
아프가니스탄 내 국민 저항 전선 및 세력 분포도[1][2][기준일]
출처: Frenkie Mark

전황 관련 링크: liveuamap Wikipedia Commons ISWN

2.1. 1월 1일

20명의 탈레반군 병사들이 판지시르의 국민 저항 전선에 항복, 합류했다. #

2.2. 1월 2일

타카르 주[4]의 Versaj시와 Chal시에서 탈레반 테러리스트와 파키스탄 점령군에 대한 민족 저항 전선의 충돌과 게릴라 공격으로 수십 명의 탈레반군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

바다흐샨 주의 Kishm 지역에서 저항군은 탈레반 부대에 대한 성공적인 타격 작전을 수행했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아울러 지난 24시간 동안 카피사 주의 여러 지역에서 탈레반과 파키스탄 점령군에 대한 국민 저항 전선의 게릴라군과 저격수의 매복과 공격으로 10명 이상의 탈레반군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중상을 입었다. #

2.3. 1월 3일

타카르 주 Ashkmash 지역의 Elich 마을에서 저항군과 탈레반이 충돌해 2명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 #
또한 판지시르에서 저항군의 매복 공격으로 인해 5명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했다고 한다. #

2.4. 1월 4일

판지시르 주 아나바 시에서 테러리스트 탈레반과 파키스탄 점령군에 대한 쉬르 무함마드의 지휘 하에 국민저항전선군의 게릴라 공격으로 최소 5명의 탈레반군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했다. #

판지시르 주 Shatl 시에서도 탈레반을 대상으로 한 공격을 펼쳐 여러 기지를 점령했다고 한다. #

2.5. 1월 5일

바다흐샨 주의 Maimi 시에서 저항전선의 게릴라 공격으로 주지사와 탈레반 대원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 #

판지시르 주의 Dashtak에서 저항군의 게릴라 공격으로 최소 7명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당했다. #

2.6. 1월 6일

저항 전선이 게릴라 공격을 펼쳐 라그만 주지사와 헤라트 지방의 고위 사령관을 사살했다고 한다. 그러나 탈레반은 이를 사고로 인해 사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

2.7. 1월 7일

수십 명의 탈레반 대원들이 바글란 주의 저항군 부대에 합류했다고 주장하는 소문이 들어왔다.#

바글란 시의 Khost Farang에서 저항군의 공격으로 인해 탈레반 대원 6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한편 탈레반이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에 수백 명의 대원을 파견하는 등 독재 정권을 지원하고 있는 듯 하다.#

2.8. 1월 8일

판지시르 주에서 탈레반과 저항 전선 간 충돌이 발발하여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다.#

2.9. 1월 9일

파르완 주의 한 도시에서 새로운 저항 전선이 출범했다.# 또한, 카불에서 구 정권의 01 부대[5]와 탈레반이 충돌하여 25명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했다고 한다.#

2.10. 1월 10일

이란에서 탈레반과 저항군 간의 양자회담이 열렸다. 탈레반 측은 Muttaqi 외무장관 대행이 참석했고, 저항군 측은 이란에 머물러 있는 이스마일 칸이 대표로 나섰다고 전해진다. 이 회담에 마수드 주니어도 합석했다는 현지 보도가 있었으나 곧 오보였다고 정정되었다.

2.11. 1월 11일

Farkhar 지역에서 6명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했는데, 특이한 점은 탈레반이 강제 결혼을 맺으려 했던 소녀의 어머니가 사살했다는 것이다.#

2.12. 1월 12일

파리얍 주에서 저항군의 공격으로 탈레반 사령관인 Qari Anas가 부대원 6명과 함께 사망했다고 한다.# 판지시르 주 아나바 시에서도 저항군의 게릴라 공격으로 2명의 탈레반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2.13. 1월 13일

카불에서 폭발이 발생해 최소 1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고 한다. #
타카르 주 일대와 바다흐샨 주, 그리고 바글란 주 일대에서 저항군이 대대적인 공세을 펼쳐 16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했다고 선전하고 있다.# 또한 저항군은 Khenj와 Doaab 사이에 있는 탈레반 검문소 2곳을 공격해 8명의 탈레반을 사살했다고 한다.#

한편 이 날 파리얍 주에서 파슈툰 탈레반과 파키스탄 탈레반 점령군에 반대하는 시위가 크게 벌어졌다.# 이후 우즈벡 탈레반이 들어와 주도 Maimana 시를 점령하고, 파슈툰 탈레반은 강제로 무장해제를 당하거나 도시를 겨우 탈출했다고 한다.# 파리얍 주의 갑작스런 소요사태에 대해 탈레반 측에서는 시위가 없었으며 SNS에 게시되고 있는 사진들은 전부 거짓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2.14. 1월 14일

상술한 파리얍 주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해 파슈툰 탈레반 4명과 우즈벡 탈레반 2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 더불어 탈레반 사령관 중 한 명인 Maulvi Jalal의 사망 소식이 전해졌다.#

파슈툰 탈레반은 대변인을 통해 Fayrab 주의 Maimana 시를 점령했다고 얘기하고 있으나, 우즈벡은 Maimana 시가 본인들의 통제 하에 있으며 탈레반의 말은 거짓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후 공개된 한 영상으로 보아 파슈툰 탈레반이 Fayrab 주에서 철수하고 있는 듯 하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려던 탈레반 호송대마저 우즈벡에 의해 저지당하고 무장해제되었다고 한다.#

저항군이 Badghis의 두 지역을 탈레반으로부터 해방시켰다고 하지만 탈레반은 이를 부정하고 있다.#

한편 탈레반은 내부 의견 불일치가 더욱 심해져 또 다른 내전이 일어날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해당 소식에 따르면 두 개의 탈레반 부대가 서로를 상대로 매복 공격을 했다는 어처구니없는 사건이 벌어졌었다고 한다.#

2.15. 1월 15일

프랑수아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이 아흐마드 마수드와의 전화 통화에서 저항 전선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파키스탄 특수 부대가 판지시르 주를 점령하러 아프가니스탄으로 다시 들어왔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1월 10일 경에 개최된 저항군과 탈레반의 회담은 결국 아무런 성과가 없이 결렬되었다고 저항전선 측이 밝혔다.#

2.16. 1월 16일

우즈벡족 주도로 벌어진 파리얍 주의 반란은 이틀 만에 카불에서 급파된 탈레반 진압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반란 세력은 변방으로 탈출해 지하 조직으로 숨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카피사 주에서 저항 전선이 탈레반을 대상으로 한 게릴라전을 펼쳐 최소 1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하고 부상입혔다고 한다. #

2.17. 1월 19일

NRF의 외무부 장관인 알리 마이삼 나자리가 RTBF와 탈레반, 저항 전선에 관하여 인터뷰를 진행했다. #

저항군 측에 따르면 오늘 하루동안 판지시르에서 2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하고 부상입혔다고 한다. #

2.18. 1월 20일

판지시르 주 아나바 시에서 저항 전선이 탈레반을 대상으로 한 매복 공격을 펼쳐 5명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하고 호송대를 파괴했다고 한다. #

이외에도 다르힐 로케 마을 등에서 12명의 탈레반을 사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

2.19. 1월 21일

로카 시에서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으로 최소 4명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했다고 한다. #

2.20. 1월 22일

탈레반이 친 탈레반 시위에 여성들의 참여를 강요한다는 증언이 나왔다. # 한 여성이 저항 전선 기지에서 자살 공격을 시도하다 발각되어 사망했다고 한다. #

한편 노르웨이 외무부에서 인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탈레반을 초청했다. #

2.21. 1월 23일

탈레반이 회담을 위해 오슬로에 도착했다. 이번 회담은 23일부터 25일까지 총 3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 이에 대해 저항군 측은 신랄하게 노르웨이와 탈레반을 비판하고 있는 중이다. # #

Kandeh Rokheh 지역에서 저항군이 탈레반 기지를 급습하여 7명의 탈레반을 사살했다고 한다. #

2.22. 1월 24일

아프가니스탄 전 지역에서 최소 1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했다고 한다. #

2.23. 1월 25일

바글란 주의 코스트 시에서 저항군과 탈레반 세력 간의 충돌이 발생해 최소 1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이 사망하고 부상당했다고 한다. #

NRF는 바글란 주 코스트 와 피링 지구 Kazar 마을을 점령했다. 그리고 탈레반 대원 11 명을 사살하고 10명에게 부상입헜다.#

2.24. 1월 26일

코스트 시와 Farang 시에서 벌어진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

2.25. 1월 27일

파그만 시에서 저항군이 탈레반을 급습하여 3명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했다고 한다. #

2.26. 1월 31일

파르완 주 바그람 지역에서 저항 전선의 게릴라 공격으로 탈레반 대원 5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적색 지역은 저항과 충돌이 치열한 곳, 분홍색 지역은 조직적인 지역 저항군이 결성되거나 최근 무장 충돌 빈도가 증가한 지역, 파랑색 지역은 최소 한번 이상 총격전 등의 무장 충돌이 발생한 지역을 의미한다. 지도를 보면 판지시르 주를 중심으로 저항 물결이 짙은 것을 알 수 있다.[2] 추가로 여기에는 탈레반과 저항군의 대립 이외에도 남서부 IS 호라산 지부와 국경을 침범한 파키스탄이란 국경 부대의 근황, 심지어 저항군의 해외 지원 기지로 지목된 타지키스탄의 인도 공군 기지까지 기록해두었다. 짙은 노란색 지역은 최근 호라산 지부가 탈레반을 대상으로 테러를 일으켰다고 보고된 지역이며, 연한 하늘색 지역은 탈레반과 호라산 지부, 그리고 저항군 게릴라 부대까지 있는 삼파전 구도가 형성된 곳이다.[기준일] 21/12/12[4] 아프간 북동부의 주이다. 타지키스탄, 쿤두즈주, 바다흐샨 주, 판지시르와 바글란 주와 접하고 있는지라 저항군과 탈레반 입장에서도 중요한 지역이다.[5] 구 정권의 정보기관 NDS의 특수부대이자 대테러부대인 제로유닛의 카불 주둔 부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