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War for Cybertron: Kingdomトランスフォーマー キングダム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킹덤 시리즈의 제품 목록을 다루는 문서.
2. 특징
라인업 첫 공개 당시 일러스트 |
트릴로지의 마지막 작품으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전개됐다. 클래스는 시즈와 어스라이즈에 이어 디럭스, 보이저, 리더, 커맨더, 타이탄이며 그 외에 배틀마스터와 마이크로마스터 대신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에 있었던 레전드 클래스가 코어 클래스로 이름이 바꿔져서 나온다.
랜덤으로 캐릭터 카드가 동봉되며 카드의 겉 부분을 벗겨내면 해당 카드에 그려진 캐릭터의 여러 운명의 가능성이 그려져 있다. 내부에 포장되어 있던 플라스틱 블리스터가 사라지고 종이에 끈으로 묶여있는 방식으로 포장 방식이 바뀌었다.
타카라토미 또한 어스라이즈에 이어서 대부분의 제품들을 타카라토미 몰 한정판으로 판매한다.
비스트 워즈 25주년을 기념하는 라인업이기도 해서 비스트 워즈속 캐릭터들도 G1 캐릭터들과 같이 발매됐다.
3. 제품 목록
정발된 제품들은 (*)표시국내에 인증은 받았으나 정발되지 않은 제품은 (@)표시
일본판 넘버링은 []표시
- 2021년(웨이브 1~2)
- 디럭스: 29,900원
- 보이저: 39,900원
- 리더: 69,900원
- 2021년(웨이브 3)
- 디럭스: 34,700원~34,900원
- 보이저: 44,900원
- 리더: 79,900원
- 커맨더: 139,300원
- 타이탄: 249,000원
3.1. 코어
킹덤 라인업부터 생긴 새로운 등급. 디럭스보다도 작지만 마이크로마스터 보다는 큰 크기가 특징이다.3.1.1. 웨이브 1
* WFC-K3: 버티브레이크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3.1.2. 웨이브 2
3.1.3. 웨이브 3
* WFC-K22: 드라코돈
WFC-K3 코어 클래스 버티브레이크의 리데코 제품.
3.1.4. 웨이브 4
3.2. 디럭스
시즈의 '웨포나이저', 어스라이즈의 '모듈레이터'와 마찬가지로 사지를 분해해 다른 제품에 장착해 줄 수 있는 '파슬라이저'가 등장했다.3.2.1. 웨이브 1
* WFC-K4: 치토 (*)
리얼하고 가동성이 좋은 치타 모드가 호평이지만 정작 무기는 상징이나 다름없는 내장(...)총이 아닌 채찍이다. 또한 치타 모드로 변신시킬 때 치타 목덜미에 있는 돌기가 자주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1] 다행히 치타 목관절 자체가 부드러운 래칫 관절로 되어있어서 파손되어도 변신에 지장은 없다. 때문에 해당 돌기를 일부러 자르는 사람들도 많다.
* WFC-K5: 블랙아라크니아 (*)
디럭스 피규어로 출시되었다. 제품 설계에 이전에 나왔던 마스터피스를 참고해서 일종의 염가 마스터피스라고 봐도 될 정도이며, 마스터피스와 비교해서 비스트 모드의 재현도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최초로 발매되었을 때 타란튤라스의 색놀이였던 피규어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느낄 수 있다. 아쉽게도 동봉되는 무기는 원래의 실을 이용해 발사하는 기믹이 삭제된 통짜 제품이다.
* WFC-K6: 워패스 (*)
원작의 미니봇 중 한 명으로, 디럭스치고는 엄청나게 조밀한 변신으로 잠깐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발이 좀 크고 무장이 방패 비슷하게 생긴 탱크 앞부분을 제외하면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전부 호평받는다.
* WFC-K7: 팔레오트랙스 (파슬라이저) (*)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3.2.2. 웨이브 2
* WFC-K15: 랙토나이트 (파슬라이저) (*)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3.2.3. 웨이브 3
파일:WFC-K23 디럭스 클래스 프레데콘 스콜포녹.jpg
* WFC-K23: 프레데콘 스콜포녹 (*)
리얼한 전갈형태 제현도 등 원작의 느낌을 잘 살린 점은 호평 받으나 로봇모드의 짧은 다리와 전갈모드의 애매한 다리 수납이 단점이다
* WFC-K23: 프레데콘 스콜포녹 (*)
리얼한 전갈형태 제현도 등 원작의 느낌을 잘 살린 점은 호평 받으나 로봇모드의 짧은 다리와 전갈모드의 애매한 다리 수납이 단점이다
* WFC-K25: 윙핑거 (파슬라이저) (*)
거의 모든 제품이 발의 조립이 앞뒤 방향이 다르게 조립이 되어있는 이슈가 있다. 해즈브로판 이후 출시된 타카라토미의 윙핑거는 이 문제가 고쳐졌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 WFC-K26: 오토봇 트랙스
등짐부분의 클리어 파츠가 내구성이 매우 걱정된다는 반응이 많다. 또한 다리 파츠의 결합력이 매우 약해 자립이 잘 안되는 문제 또한 지적받고있다. 이후 유튜버 Wotafa의 리뷰가 올라왔는데 자립성을
3.2.4. 웨이브 4
- WFC-K31: 섀도우 팬서
디럭스 치토의 검은색 색놀이. 머리가 뮤턴트 헤드로 조형이 바뀌었다. 여담으로 제품은 일부 관절 등 몇몇 부품이 노란색으로 되어있으나 공식 사진은 전부 검은색으로 되어있다.
- WFC-K34: 와스피네이토
새로 출시되는 신금형 와스피네이토. 곤충다리가 원작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은 출시 전부터 지적받았지만 이전에 출시한 제네레이션즈 제품과는 도색, 가동, 비율 등이 좋아서 전체적으로 매우 잘 나온 제품이라는 것이 총평이다.
3.2.5. 웨이브 5
* WFC-K33: 오토봇 슬래머 (웨포나이저)
킹덤의 파슬라이저가 아닌 시즈의 웨포나이저가 오랜만에 돌아왔다. 과거 메트로플렉스 완구에 들어있던 탱크가 원본인 제품.[3] 2013년에 출시된 타이탄 클래스 메트로플렉스와의 연동 기믹 또한 있다.
3.3. 보이저
3.3.1. 웨이브 1
* WFC-K8: 옵티머스 프라이멀 (*)
디럭스 클래스의 아이언하이드와 별 차이가 나지 않울 정도로 보이저 치고 크기가 매우 작은 게 아쉬우나 매우 리얼한 고릴라 모드의 털의 질감이나 팔과 어깨의 캐논이 전개되는 등 원작의 기믹을 잘 살렸다는 평이다. 국내 정발판에서는 MBC 방영판에 착안하여 이름이 옵티머스 프리멀로 표기되었다.
* WFC-K9: 사이클로너스 (*)
뛰어난 원작 재현률 및 완성도 높은 변신 시퀀스 및 프로포션으로 호평.
3.3.2. 웨이브 2
* WFC-K18: 다이노봇 (*)
1997년 이후로 처음 리메이크된 다이노봇. 로봇 모드는 공을 상당히 많이 들인 티가 나며, 페이크 파츠를 적절히 활용해 변신이 그다지 어렵지 않으면서도 높은 재현도로 호평받았다. 특유의 회전하는 사벨과 꼬리 로터가 무장으로 동봉되어 있으며, 원작처럼 둘이 합체시킬 수도 있다. 다만 로봇 모드가 훌륭한 대신 랩터 모드가 약간 아쉽다는 평이 있다. 그래도 공룡 입이 열리는 등 있을 기믹은 전부 있다.
* WFC-K19: 인페르노 (*)
어스라이즈 그래플의 리툴 제품. 지적받던 조인트 파손 문제가 해결되었다. 초기판의 경우 검정 사출에 빨강 도색된 허벅지를 갖고 있으나, 후기판 및 타카라토미판의 경우 빨강 사출로 변경되었다.
3.3.3. 웨이브 3
3.3.4. 웨이브 4
3.3.5. 웨이브 5
블래스터 | 이젝트 |
- WFC-K44: 오토봇 블래스터 & 이젝트
후속작인 레거시에서 출시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킹덤에서 먼저 일반판매된다. 본체 뿐만 아니라 카세트 전사 이젝트도 들어있다. 이젝트는 원작의 푸른색 부분이 클리어파츠로 바뀌었다.
3.4. 리더
3.4.1. 웨이브 1
* WFC-K10: 메가트론 (비스트) (*)
G1 메가트론과 구분하기 위해 초기에는 티-렉스 메가트론이란 이름으로 공개되었으며 메가트론 (비스트)로 출시되었다. 공룡 피부는 PVC 연질로 사용되었고, WFC 제품 답게 예전 완구들에 비해 조형도 매우 잘 나온 편이고 공룡 피부 질감 표현도 훌륭하며, 관절 구조도 발전돼서 공룡 모드와 로봇 모드 양 쪽 다 기동률이 좋다.
그러나 단점도 꽤 있는데, 예산 절감 문제로 뒷통수가 도색이 되어있지 않으며, 꼬리와 일체화된 상태로 만들어져 왼손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티라노 머리 비율이 작아져 위압감이 줄어들었으며, 피부 재질의 경우 연질 PVC라 고무 냄새가 많이 난다.
잔기스나 접착제 자국이 발견된다거나 맞물려야 할 부분이 너무 뻑뻑하거나 헐거운 경우도 있으며, 윗허벅지 덮개 등 구조적으로 떨어지기 쉬운 파츠들이 있고, 한 번 떨어지면 다시 붙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조심히 다루어야 한다. 로봇 모드에서 다리를 조금만 움직여도 양쪽 가랑이가 맞붙은 부분이 쉽게 벌어지는 불량 사례도 흔하게 발견된다. 등짐 조인트가 파손되는 경우도 흔하다.
3.4.2. 웨이브 2
* WFC-K20: 울트라 매그너스 (*)
시즈 울트라 매그너스의 리툴 제품. 흰색이 시즈 울트라 매그너스에 비해 하얗다. 시즈 울트라 매그너스와 차이점이 많으며, 시즈의 쌍권총이 동봉되어있지 않았다.
3.4.3. 웨이브 3
* WFC-K28: 갈바트론 (*)
어깨부품이 일부를 제외하고 전부 뒤집혀 조립된 이슈가 있다. 제품 자체는 기믹 및 프로포션과 더 무비에서 유니크론이 갈바트론에게 하사한 전함 리벤지호의 디자인을 답습한 총 루즈 등으로 호평이지만 조립이 잘못되어 있는 문제는 국내 정발판 사양 또한 마찬가지로 베트남으로 이전한 이후 최악의 QC를 보여주었다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해즈브로와 타카라토미 또한 이 문제를 알고는 있는지 재판 제품과 타카라 토미사양 제품은 어깨가 고쳐졌으며, 추후 레거시에서 어깨가 고쳐지고 웨더링이 지워진 상태로 재판되었다.
3.5. 커맨더
* WFC-K29: 로디머스 프라임 (*)
시즈의 아스트로트레인이나 쇼크웨이브의 경우처럼 본체는 커맨더급의 크기가 아니지만 무장 및 이펙트파츠등의 다양한 루즈와 전개 및 기믹이 있는 트레일러로 인해 커맨더급으로 책정된듯 하다. 제품은 호평이 많은 편이다.
3.6. 타이탄
오토봇 아크 | 텔레트랜 I / 메인프레임 |
- WFC-K30: 오토봇 아크 (*)
오토봇의 우주선 아크로 변신하는 제품. 아크뿐만아니라 텔레트랜 I으로 변신하는 오토봇 메인프레임과 초소형 옵티머스 프라임, 골든디스크 2개가 들어있다.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
이전 시즈의 오메가 수프림이 50000원 이하로 할인을 할 정도로 악성재고로 남아 스콜포녹에 이어서 정발을 하지 않을 것 이라고 예상 되었으나 2021년 7월초 완구심사 인증을 받은 것이 확인 되었고, 2021년 9월말 정발이 확정되었다.
3.7. 한정판
3.7.1. 타깃
* WFC-K37: 맥시멀 티-렉스
리더 클래스 메가트론의 색놀이 본래 메가트론의 얼굴 조형과 다른 찡그린 표정으로 출시 예정이었지만 어째서인지 기존 메가트론의 얼굴을 그대로 달고 나왔다. 갈바트론과 함께 영 좋지 못한 해즈브로의 검수에 욕을 많이 먹고 있는 제품 중 하나 심지어 갈바트론은 일반판이기라도 하지 이 녀석은 타깃 한정판이다. 이후 2022년 한번 재판되었다.
* WFC-K41: 오토봇 로드 레이지
킹덤 트랙스에서 도색과 얼굴을 바꾼 제품. 트랙스의 내구성 및 자립 문제는 역시나 해결되지 않았다. 타깃 레드 카드 한정판으로 발매된다. 이로인해 구하기 매우 힘든 제품이 되었다. 그러나 미국에서조차 힘든 접근성으로 인해 잘 안팔렸는지 2022년 현재 굳이 레드 카드가 아니라 다른 결제 수단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거의 반값으로 할인하고 있다.
3.7.2. 월그린
3.7.3. 해즈브로 펄스
* WFC-K39: 트라이크레이니어스 비스트 파워
랙토나이트의 조형을 활용한 제품. 랙토나이트와 다르게 트리케라톱스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또한 이펙트 파츠가 여러 개 포함되어 있다.
3.7.4. 배틀 어크로스 타임 컬렉션(아마존)
오토봇 미라지 | 맥시멀 그림록 |
- WFC-K40: 오토봇 미라지, 맥시멀 그림록
미라지는 시즈 미라지의 리툴, 그림록은 다이노봇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그림록은 원본부터 매우 호평을 받은 조형이니 조금 아쉬운 색상을 제외하곤 호평일색이지만 미라지는 시즈와 다르게 어깨의 미사일을 끼울 수 있는 조인트가 삭제된 점, 흰색 부분이 전부 도색이 된 점에서 매우 아쉽다는 평이 많다. 다만 멋스럽게 뽑힌 비클은 호평받는다.
여담으로, 원작 미라지의 비클에는 elf스폰서 마크가 있는데 재미있게도 이제품에는 orc로 쓰인점을 볼 수 있다.
사이드스와이프 | 맥시멀 스카이워프 |
- WFC-K42: 사이드스와이프, 맥시멀 스카이워프
사이드스와이프는 시즈의 리툴, 스카이워프는 에어레이저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첫 공개 이후, 사이드스와이프가 메인이고 스카이워프는 덤 이라는 의견이 주류였으나 스카이워프 또한 잘 뽑힌 색상과 비율등 꽤나 괜찮게 잘 뽑혔다는 의견이 다수.
사이드스와이프역시 잘나왔다는 평이 많으나 발목 연결을 잘 못해 부품이 뒤틀려 있는 사례가 여러번 발견되었다.
여담으로, 이 두 제품들의 박스아트를 서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3.7.5. 골든 디스크 컬렉션 시리즈(아마존), (해즈브로 펄스)
새로운 아마존 및 해즈브로 펄스 한정판 라인업이다.
위의 배틀 어크로스 타임 콜렉션처럼 4제품들의 박스들을 이어지게 할 수 있다.
3.7.5.1. 챕터 1: "Through the Vortex"
오토봇 퍼퍼 | 오토봇 로드레인저 |
- 오토봇 퍼퍼
- 오토봇 로드레인저
퍼퍼는 파이프스의 리툴 및 리데코, 로드레인저는 허퍼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이다. 원본인 파이프스보다 먼저 공개되었다.
이 제품 설정상 로드레인저는 고보츠 출신의 캐릭터[4]이며 퍼퍼는 허퍼와 파이프스가 융합된 모습이라고 한다.
박스는 오른쪽 아래를 담당한다.
3.7.5.2. 챕터 2: …AND OUT THE OTHER SIDE
* 오토봇 잭팟
* 오토봇 사이츠
잭팟은 스튜디오 86 재즈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 사이츠는 시즈 프테락사돈의 리데코 제품.
이 제품 설정상으로는 액션 마스터인 잭팟과 사이츠가 시간 소용돌이에 휘말린 탓에 잭팟은 변신할 수 있게 되었고 사이츠의 알트 모드는 광자 캐논에서 도끼로 바뀌었다고 한다.
박스는 왼쪽 아래부분을 담당한다.
3.7.5.3. 챕터 3: Enter the Mutant Warrior
* 뮤턴트 타이거트론
비스트 워즈 시절 프로토타입 완구를 오마주한 제품. 과거 일러스트에 영향을 받아 머리가 뮤턴트 헤드로 바뀌었다.
이 제품의 설정으로는 양자 급류에 휘말리게 되어 기억을 잃고 전투광이 된 타이거트론이라고 한다.
박스는 오른쪽 위를 담당한다.
3.7.5.4. 챕터 4: The Terrorfying Conclusion
* 테러소어
무려 1996년 이후 처음으로 리메이크 되는 익룡 테러소어제품이다. 킹덤 에어레이저의 리툴이며 권총과 보크의 골든 디스크 또한 동봉된다. 원본인 에어레이저의 부품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신경을 써주긴 했으나 시즌 1에 등장한 멤버를 자체조형은 커녕 일반판이 아닌 한정판매로 결정된 점은 매우 아쉽다고 하는 의견이 많다.
여담으로, 이 제품 설정상으로는 테러소어가 시즌 2 1화부터 용암에 떨어졌지만 죽지않고 용암의 에너지 덕분에 업그레이드된 것이라고 한다. 불까지 뿜을 수 있다고.. 이후 뮤턴트 타이거트론과 손잡아 과거로 돌아가 메가트론을 쓰러뜨리려 했으나 테러소어가 떨어뜨린 골든디스크로 인해 타이거트론의 기억이 돌아오게 되고 퍼퍼, 로드레인저, 잭팟, 사이츠, 타이거트론의 공격을 받게 되고 역사가 다시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되어 테러소어는 기존의 역사대로 용암속에서 죽게된다.
박스는 왼쪽 위를 담당한다.
3.7.6. 티켓 한정
- KD-EX 버닝 옵티머스 프라이멀
WFC-K8 보이저 클래스 옵티머스 프라이멀의 리데코 제품. 일본 타카라토미에서 출시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티켓 묶음 한정판 제품이다.
4. 외부링크
[1] 돌기와 치타 머리 사이의 여유 공간이 아예 없기 때문에 무조건 파손된다.[2] 해당 리뷰어는 어지간히 평이 나쁜 완구도 어떻게든 좋은 부분을 찾아서 좋게 말하는 리뷰어로 유명한데, 몇 안되게 악평을 받았던 MPM 옵티머스 프라임 이상으로 강한 악평을 받았다. 심지어 한번 문제가 있어서 교환받은 제품인데 똑같았다고...[3] 다만 당시 완구는 변신하지 않았다.[4] 실제로 로드레인저는 고보츠의 판권을 해즈브로가 사들인 이후 편입된 고보츠의 캐릭터중 하나이다.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