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트위터 또는 기타 여초 커뮤니티의 TERF 성향 네티즌 사이에서 유행했던 트랜스포비아 용어로, 자신들의 사상에 따라 트랜스젠더의 존재를 인정할 수 없으니 다른 정체성이나 지향성에도 모조리 'trans-'를 붙여 "트랜스젠더를 인정해야 한다면 이 용어도 인정해라", "자신을 고양이나 강아지라고 생각하면 그것도 정체성으로 인정해야 하냐"는 식으로 조롱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조어다.트랜스라는 단어를 앞에 붙이고 뒤에는 고양이나 강아지 같은 동물부터 선풍기, 철근, 전투 헬기 같은 무생물까지 여러 단어를 붙이며 그걸로 자신을 지칭하는 듯 야유를 드러내는 식으로 쓰인다. SNS에서 이런 식의 닉네임을 쓰는 유저는 대부분 TERF 성향의 페미니스트이다. 이와 비슷하게 자신의 정체성이 무생물인 전투 헬기라는 뜻의 "I identify myself as an attack helicopter." 라는 문구가 있다.
2. 등장 배경
TERF 및 일부 여성들이 다른 트랜스젠더보다 수술 트랜스레즈비언에게 가지는 반감이 표현된 표현이기도 하다. 성소수자를 빌미로 이성애자 여성들 혹은 레즈비언과 쉽게 만나보려는 수작이 아니냐는 의견이 여초 커뮤니티에서 상당히 자주 보인다. 거슬러 올라가면 '남자처럼 행동하려는 여성'에에 대한 가부장적 남성들의 비하와 공포, 그리고 '여성답지 않은 여성이다, 저건 여자도 아니다'라는 낙인 역시 트랜스XX 드립과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정신질환을 비하나 부정적 가치판단의 도구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정신장애인 혐오까지 포함된 수사법이기도 하다.
3. 사용 예시
- 트랜스XX년생
법적 출생 연도가 1949년생인 네덜란드 남성 에밀 라텔반트는 자신의 나이 정체성이 1969년생이라며 법원에 소송을 했다.
이 경우는 멸칭이나 조롱의 용도가 아니라 진짜로 자신을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며 기사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허황된 망상에 불과하다.[2] # # - 트랜스강아지
실제로 강아지가 되기 위해 10년 동안 강아지 옷을 입고 개 철창 안에서 자며 개처럼 행동하는 남성이 미국의 뉴스에 등장했다. 이 경우는 멸칭이나 조롱의 용도가 아니라 진짜로 자신을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 - 트랜스고양이
트랜스고양이를 예시로 들었을 때의 논리는 보통 이렇다.자기가 고양이라고 생각하는 트랜스고양이는 자신에게 꼬리가 없는 걸 볼 때마다, 팔다리가 긴 것을 볼 때마다, 자신이 고양이의 특징과 다른 점을 발견할 때마다 종족 불쾌감을 느낀다.이들은 정신적으로 고양이이기 때문에 종족전환 수술을 하고 싶어한다. 인권운동이 일어나며 트랜스고양이들의 말을 들어주는 사람이 생겨났고, 트랜스고양이들이 종족 불쾌감을 느끼는 점을 없애는 수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수술의 내용은 팔다리를 짧게 자르고 자른 팔다리를 사용해 꼬리를 만들어 붙인다.[3][4]
신체통합정체성장애를 예시로 들기도 하는데 본인의 신체 일부분에 거부감이나 위화감을 가지는 정신병이며 본인의 신체를 훼손하는 경우가 많다. 트랜스젠더도 자신의 생식기를 볼 때마다 혐오감과 거부감을 느끼고, 더 나아가서 자신의 생식기를 훼손하고 싶어하므로 신체통합정체성 장애의 한 케이스인데 생식기라는 이유로 의미부여하고 정신병이 아니라고 하는 게 말도 안 된다고 말한다. - 트랜스흑인
성별이 선천적이고 차별과 엮이는 점을 고려하여 트랜스레이셜의 사례를 언급하기도 한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자신의 영혼이 흑인이라고 주장하는 백인이 흑인인권활동을 하거나 역으로 백인이 흑인이라 주장하며 복지를 요구하는 등 인종 차별과도 엮여서 훨씬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다. 애초에 흑인과 백인이 피부색(과 사회적인 취급) 말고 뭐가 다르냐는 점에서 젠더 이슈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비래디컬 페미니즘에서는 성차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트랜스젠더를 인정할 수 있냐는 것이다.
4. 비판
한국 커뮤니티에서의 사용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align=center> | }}}}}}}}} |
이런 용어를 쓰는 TERF들이 펼치는 트랜스젠더를 인정해 주면 자신을 다른 동물로 자칭하는 사람들도 인정해 줘야 하는 식의 주장은 성별의 다름을 생물 종의 다름과 같은 것이라고 인식하는 오류에서 나온 논리다. 종과 생물학적 성(sex)는 확실히 유전자 수준에서 결정되지만 젠더에 대해서는 근원이 명확하지 않다. MRI 뇌 분석이나[5] 호르몬[6] 이유를 찾고 있으나 100% 밝혀진 것은 없다.
존 머니의 연구가 받는 취급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성 정체성은 양육이나 환경을 통해 결정되지 않는다는 게 정설이 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머니의 이론으로 인한 피해자들의 사례가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므로 이러한 사용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많다. 존 머니의 연구의 대상이자 피해자였던 데이비드 라이머는 여성처럼 길러졌고 여성으로 정체화되기를 계속 시도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성 정체성은 남성으로 남았는데 이는 육체와 정신의 성이 다른 트랜스젠더라고 해서 다를 바가 없다. 정신적인 성별 교정/변경 훈련이 트랜스젠더들에게 잘 안 먹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같은 인간 안에서라도 정체성은 성 정체성만 있는 것이 아닌데 트랜스미국인, 트랜스백인과 같은 용어가 흔히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젠더론과 같이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가 되므로 논리적인 오류가 아니게 되는 것이다. 아직까지도 트랜스에 관한 논쟁은 그들 사이에서 계속되고 있다. 어찌되었든 국제 인권 기구나 학계, 정치인들은 젠더 정체성을 인정하는 분위기로 나아가고 있다.
애초에 젠더 자체가 성과 관련한 정신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을 표현하기 위해 과학자가 도입한 개념이고 인간뿐 아니라 여러 다른 종의 사회가 단순한 생식 시스템을 넘어 성에 따른 사회구조와 문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젠더의 존재는 이데올로기적 토론의 대상이 아닌 과학적 사실이며 이를 거부하고 비판하는 것은 비과학적인 주장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상징 색상 등 일부 전적인 문화적 성차를 제외하면 성차의 여러 부분은 인류 문명 전반을 넘어 유인원에게서까지 상당한 일관성을 가지고 나타나며 트랜스젠더의 호르몬 투여에 따른 성격 변화 등의 사례를 통해서도 성차의 실재성이 드러난다.
생물학자 프란스 드 발은 개체가 사회화 과정에서 자아상의 원천적 모델로 삼으며 모방하는 대상은 동성의 성인 개체인데 이 때 ‘동성’은 염색체와 생식 구조상의 동성이 아닌 젠더 정체성 상의 동성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처럼 젠더 자체는 실존하는 현상이며 그 근간은 정신적 요소와 이에 조응하는 사회적[7] 측면들이지 결코 생식 기관과 성염색체가 아니다.
더불어 정신질환은 본인에게 힘든 것이지 윤리적으로 비난받거나 비하의 수단으로 쓰여야 할 용어가 아닌데 트랜스포비아들이 정신질환을 비하의 의미로 사용하는 건 정신장애인 혐오이기도 하다. 이는 비만을 질병이라는 이유로 비하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과 마찬가지인 비논리적인 태도다.
5. 관련 문서
[1] 트랜스젠더와 달리 젠더퀴어는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밝혀진 바가 많이 없다.[2] 나이를 줄여서 여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싶다고 했다.[3] 음경으로 인공 질을 만드는 행위의 비유[4] 그러나 수술을 하지 않은 비수술 트랜스젠더도 있기 때문에 이 가정부터 잘못되었다.(트랜스젠더는 정신적 성별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므로 수술 여부에 상관없이 반대 성별로 인정해주어야만 한다.)[5] 분계선 조층핵의 크기가 성별 정체성에 따라 나뉘는 것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있다.[6] 태아기나 출생 직후의 동물에게 특정 성 호르몬을 투여하면 해당 성의 전형적인 행동을 보인다고 하지만 인간에게는 윤리적 문제로 인해 실험 사례가 없다.[7] 후천적이고 문화적인 의미에서의 사회가 아니라 종족 내 다른 개체들과의 관계의 총체로서의 사회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