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19:52:00

팬텀(마인크래프트)

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
몹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비공격적
파일:PigFace.webp 돼지 · 파일:SheepFace.webp · 파일:CowFace.webp · 파일:MooshroomFace.webp 무시룸 · 파일:ChickenFace.webp · 파일:OcelotFace.webp 오실롯 · 파일:CatFace.webp 고양이 · 파일:VillagerFace.webp 주민 · 파일:HorseFace.webp · 파일:DonkeyFace.webp 당나귀 · 파일:MuleFace.webp 노새 · 파일:SkeletonHorseFace.webp 스켈레톤 말 · 파일:ZombieHorseFace.webp 좀비 말 · 파일:RabbitFace.webp 토끼 · 파일:TurtleFace.webp 거북 · 파일:FoxFace.webp 여우 · 파일:StriderFace.webp 스트라이더 · 파일:AxolotlFace.webp 아홀로틀 · 파일:FrogFace.webp 개구리 · 파일:TadpoleFace.webp 올챙이 · 파일:AllayFace.webp 알레이 · 파일:ParrotFace.webp 앵무새 · 파일:SquidFace.webp 오징어 · 파일:GlowSquidFace.webp 발광 오징어 · 파일:SnowGolemFace.webp 눈 골렘 · 파일:BatFace.webp 박쥐 · 파일:CodBody.webp 대구 · 파일:SalmonBody.webp 연어 · 파일:TropicalFishBody.webp 열대어 · 파일:WanderingTraderFace.webp 떠돌이 상인 · 파일:CamelFace.webp 낙타 · 파일:SnifferFace.webp 스니퍼 · 파일:ArmadilloFace.webp 아르마딜로 · 파일:HappyGhastFace.webp 행복한 가스트 · 파일:ghastling.png 가스틀링 · 파일:EntitySprite_copper-golem.webp 구리 골렘
중립적
파일:SpiderFace.webp 거미 · 파일:CaveSpiderFace.webp 동굴 거미 · 파일:WolfFace.webp 늑대 · 파일:EndermanFace.webp 엔더맨 · 파일:IronGolemFace.webp 철 골렘 · 파일:LlamaFace.webp 라마 · 파일:TraderLlama_Face.webp 상인 라마 · 파일:PandaFace.webp 판다 · 파일:BeeFace.webp 꿀벌 · 파일:GoatFace.webp 염소 · 파일:PolarBearFace.webp 북극곰 · 파일:DolphinFace.webp 돌고래 · 파일:ZombifiedPiglinFace.webp 좀비화 피글린
조합 몹 치킨 조키(아기 좀비화 피글린) · 스트라이더 조키
공격적
파일:ZombieFace.webp 좀비 · 파일:SkeletonFace.webp 스켈레톤 · 파일:CreeperFace.webp 크리퍼 · 파일:SlimeFace.webp 슬라임 · 파일:ghastface.png 가스트 · 파일:SilverfishFace.webp 좀벌레 · 파일:BlazeFace.webp 블레이즈 · 파일:MagmaCubeFace.webp 마그마 큐브 · 파일:WitchFace.webp 마녀 · 파일:PufferfishFace.webp 복어 · 파일:GuardianFace.webp 가디언 · 파일:ElderGuardianFace.webp 엘더 가디언 · 파일:EndermiteFace.webp 엔더마이트 · 파일:ShulkerFace.webp 셜커 · 파일:WitherSkeletonFace.webp 위더 스켈레톤 · 파일:StrayFace.webp 스트레이 · 파일:ZombieVillagerFace.webp 좀비 주민 · 파일:HuskFace.webp 허스크 · 파일:DrownedFace.webp 드라운드 · 파일:VindicatorFace.webp 변명자 · 파일:EvokerFace.webp 소환사 · 파일:VexFace.webp 벡스 · 파일:PillagerFace.webp 약탈자 · 파일:RavagerFace.webp 파괴수 · 파일:PhantomFace.webp 팬텀 · 파일:PiglinFace.webp 피글린 · 파일:PiglinBruteFace.webp 난폭한 피글린 · 파일:HoglinFace.webp 호글린 · 파일:ZoglinFace.webp 조글린 · 파일:WardenFace.webp 워든 · 파일:BreezeFace.webp 브리즈 · 파일:BoggedFace.webp 보그드 · 파일:CreakingFace.webp 크리킹
조합 몹 스파이더 조키 · 치킨 조키 · 스켈레톤 기병 · 파괴수 조키
보스
파일:EnderdragonFace.webp 엔더 드래곤 · 파일:WitherFace.webp 위더
플레이어
파일:EntitySprite_steve.webp 스티브 · 파일:EntitySprite_alex.webp 알렉스 · 파일:EntitySprite_sunny.webp 써니 · 파일:EntitySprite_kai.webp 카이 · 파일:EntitySprite_makena.webp 마케나 · 파일:EntitySprite_zuri.webp 주리 · 파일:EntitySprite_efe.webp 에페 · 파일:EntitySprite_ari.webp 아리 · 파일:EntitySprite_noor.webp 노어
<keepall> 사용되지 않는 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명령어로만 생성되는 몹 파일:ZombieFace.webp 거인(JE) · 살인 토끼(JE) · 환술사(JE) · 파일:EntitySprite_steve.webp 마네킹(JE) · NPC(BE&EE) · 파일:VillagerFace.webp 주민 (오래됨)(BE) · 엘더 가디언 유령(BE)
삭제된 몹 파일:EntitySprite_steve.webp 인간 · 비스트 보이 · 블랙 스티브 · 스티브 · 라나
취소된 몹 파일:PigFace.webp 피그맨 · 반딧불이
만우절 한정 몹 Nerd Creeper
Moon Cow · Ray Tracing
Batato · Mega Spud · Plaguewhale Slab · Poisonous Potato Zombie · Toxifin Slab
Angry Ghast
}}}}}}}}}}}}
}}}}}}}}} ||
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
몹 투표로 추가된 마인크래프트 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16년 2017년 2018년
- 파일:PhantomFace.webp 팬텀 파일:FoxFace.webp 여우
}}}}}} ||
<colbgcolor=#BE1214>
팬텀
(Phantom)
파일:Phantom.gif
생성 알 파일:마인크래프트/팬텀 생성 알.png
공격력 JE: 2(쉬움, 보통), 3(어려움)
생명력 20
드롭 아이템 파일:마인크래프트/팬텀 막.png 팬텀 막(플레이어 및 길들인 늑대가 피해를 입혀야 드롭)
경험치 5
히트박스 높이 0.5m, 너비 0.9m
기피적 대상 고양이, 오실롯(BE)
공격적 대상 선제공격한 몹, 플레이어

1. 개요2. 행동3. 평가
3.1. 투표 당시 다른 몹과 비교3.2. 투표 전개
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MINECON EARTH에서 몹 B를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밤하늘의 괴물(The Monster of the Night Skies)이죠.
쥐가오리를 닮은 이 괴물은 높은 고도에서 생성되는 비행 생명체입니다. 이 녀석은 불면증이 있는 플레이어에게 이끌리며, 며칠동안 잠을 자지 못한 플레이어를 찾아 떼로 덤벼들어서 강하한 다음 살을 물어뜯을 것입니다.
jeb_의 몹 B 소개 영상.

오버월드에서 볼 수 있는 언데드 유형의 비행몹으로, 가오리독수리를 연상시키는 생김새이다. 2017 마인콘 몹 투표에서 B안으로 나왔던 '밤하늘의 괴물(The Monster of the Night Skies)'이 채택되어 추가되었으며, 몹 투표로 선정된 최초의 몹이기도 하다.

밤이거나 폭풍우가 칠 때 하늘에서 생성된다. 팬텀이 생성되려면 플레이어가 침대에 눕지 않고 3일, 그러니까 현실 시간으로 1시간 이상이 지나야 한다. 플레이어가 침대에 눕거나(밤을 넘기는 건 아니다.) 죽으면 이 주기는 초기화된다. 또, 팬텀이 생성되려면 플레이어의 머리 위에 빛을 막는 블록이 없어야 한다.

/gamerule doInsomnia (true/false, 기본값은 true) 명령어로 팬텀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2. 행동

하늘을 빙빙 돌다가 플레이어를 감지하면 높고 날카로운 울음소리와 함께 대각선으로 강하해 물어뜯어 공격하며, 공격을 한 번 시도하면(성공하건 실패하건) 다시 하늘 높이 올라갔다가 위 행동을 반복한다. 물 속으로 피해도 추격해오는데, 북극곰처럼 물 속에서도 느려지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인다. 팬텀은 어떠한 이유로든 피해를 입을 경우 하던 행동을 멈추고 하늘로 올라간다.

싸우자니 하늘 높이 날아다니며 끊임없이 움직여서 원거리 공격을 맞히기도 힘들다. 가스트보다 몸집이 작을 뿐더러 더욱 빠르게 날아다니는데다 다른 몹들과는 달리 플레이어에게 계속 붙어 공격하는 게 아니라서, 연속적인 타격을 주며 빨리 처치하기도 힘들다. 그나마 JE는 공격력이 매우 낮아 철 갑옷 풀셋 정도만 입어도 팬텀에게 맞아죽을 일은 없지만 BE는 고난이도로 갈 수록 피해량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팬텀을 공격하기 가장 좋은 때는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할 때이다.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고 거리도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돌진해올 때는 수직으로 떨어지는 게 아니라 대각선으로 고도를 낮추며 천천히 접근해오며, 울음소리로 위치도 알 수 있기 때문에 대처할 시간은 있다.

짙은 참나무가 많은 어두운 숲이나 처마가 넓은 구조물 아래로 팬텀을 유인하면 퇴로를 못 찾고 위에 있는 블록에 막혀 버벅인다. 이때는 근접 무기로 손쉽게 처치할 수 있다.

서 있을 공간 한 칸만 남기고 블록으로 사방에 바리케이드를 쌓은 뒤 한쪽 면만 터놓고 상대할 수도 있다. 틈이 좁아 팬텀들이 공격하기 어려우며 트인 방향으로만 공격이 들어오기 때문에 상대하기 한결 편하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전투 시간이 길어지며 크리퍼, 스켈레톤 등 다른 몹들을 더 조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언데드 몹이라서 강타 마법이 부여된 무기에 추가 피해를 받는다. 또, 즉시 회복의 물약에 피해를 입고 고통의 물약에 치유를 받으며, 낮이 되어 햇빛을 받으면 불에 타서 자연스레 죽는다.[1]

팬텀은 고양이오실롯(BE)을 두려워해 16m 이상 떨어져 있으려 한다. 고양이를 피하는 크리퍼보다 더 멀리 피하는데다 경우에 따라 고양이를 무시하고 접근하기도 하는 크리퍼와 달리 자신의 공격 실행보다 고양이 회피가 무조건 우선되기 때문에 팬텀에 의한 불편을 한결 덜어낼 수 있다. 고양이와 함께 있으면 플레이어를 감지하고 덮치려 내려오다가 고양이의 하악질에 겁을 먹고 다시 올라가는 행동을 반복한다.

고양이가 없다면 눈 골렘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눈 골렘이 던지는 눈덩이에 맞아도 도망가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공중에서만 활동하기 때문에 지하나 실내에 있다면 만날 일이 없다. 3일 이상 밤을 새지 말고 꾸준히 침대에 누워서 생성을 쉽게 막을 수도 있다.

매커니즘상 플레이어의 머리 위에 블록이 있으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캐릭터를 방치할 때 머리 위 한칸짜리 블록을 올려도 실내 판정을 받는지 나타나지 않는다. 때문에 방치 팜에 안전지대로 쓰이기도 한다.

3. 평가

팬 투표로 추가가 결정된 몹이지만 침대를 사용하지 않으면 꾸준히 방해하는 습성 때문에 유저들이 싫어하는 몹으로 손에 꼽힌다. 특히 침대 사용이 자유롭지 않은 멀티플레이에서는 기피 대상 1순위. 그래서 팬텀 생성 여부를 결정하는 게임 규칙(doinsomnia)이 추가되었으며, 마인크래프트 개발자 Kingbdogz(The Aether 모드 제작자이기도 하다.)는 워든을 설계하는데 팬텀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신경썼다고 언급할 정도이다.#[2]

겉날개를 수리한다거나 느린 낙하의 물약을 만드는 데 팬텀 막이 필요하다고는 하지만, 정작 이 두 소모처에도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는 것도 저평가 요소이다. 겉날개에는 수선 마법을 부여하여 수리하면 되고, 느린 낙하의 물약은 겉날개를 쓰고 컨트롤을 하면 낙하 피해를 줄일 수 있는데다 겉날개와 상충하는 특성 때문에 겉날개를 얻은 후 부터는 쓸 일이 없다.

3.1. 투표 당시 다른 몹과 비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inecraft Liv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inecraft Liv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inecraft Live#2017년|2017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간이 흘러 당시 투표의 다른 후보와 비교해서 재평가를 받기도 했는데, 다시 보니 팬텀이 그나마 낫다와 그래도 팬텀은 욕먹을만 하다 라는 의견으로 나뉜다. 당시 몹 B였던 팬텀은 단순히 잠을 안 자면 나타나서 때리는 짜증나는 몹이지만, 다른 몹들도 비슷한데 특히 몹 C의 컨셉은 팬텀은 비교할 수도 없는 짜증나는 설계가 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몹 A(따개비)는 공격적인 오징어, 혹은 크라켄같이 생긴 몹인데 보트를 타고 돌아다니는 플레이어의 보트를 부숴 바다 밑으로 끌어당기고, 이 몹이 죽을 때 까지 계속해서 내려가는 것으로 소개되었다. 따개비가 죽거나, 플레이어가 죽을 때 까지 계속되며, 물린 도중에는 호흡 수치가 빠르게 감소하여 금방 익사 대미지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대충 설명만 봐도 알겠지만 '바다 크리퍼'라는 별도의 이름까지 생겼을 정도로 게임 플레이에 심하게 방해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그에 따라 투표 지지율도 가장 낮았다. 1차 투표에서도 탈락했고 이 몹의 능력은 수중에 설치된 마그마 블록으로 대체되었다.

몹 C(그레이트 헝거)는 머리가 3분의 2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크고, 마치 티라노사우루스처럼 생긴 머리를 가졌다. 또한 포켓몬스터톱치를 닮았다는 평을 많이 받았다. 흙이나 모래 안에 보이지 않게 입을 벌리고 숨어 있다가[3] 다른 플레이어나 몹이 다가가는 순간 공격해 큰 대미지를 주며 죽을때까지 때려 죽인후 다시 숨는다. 그런데도 동시에 한 번 물리는 순간 착용한 장비와 도구의 마법 부여를 지워버리는 것으로 소개된 무시무시한 몹이다. 그리고 바닥 위에 떨어져 있는 아이템을 먹어서 없애버린다. 플레이어가 죽는 순간 자신의 아이템을 모두 떨어뜨리는 마인크래프트의 매커니즘 상, 이 몹에게 죽게 되면 태초마을 확정. 지금까지 공개된 정보를 총합해 이런 상태로 실제로 출시되었다면 크리퍼보다, 어쩌면 지금의 팬텀보다 훨씬 욕을 먹을 만한 역대급으로 독보적인 비호감 몹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법 부여를 지우는 기능은 숫돌로 대체되어 출시되었다.

몹 D(호버링 인페르노)는 블레이즈의 강화판으로, 네더 요새에서 등장한다. 안그래도 360도로 화염구를 탄막처럼 난사하고 블레이즈를 소환하는데, 방패[4]로 묘사되는 게 4개씩이나 있어 도끼로 찍어야 하고, 네더 요새에서 밀치기[5]를 맞아 용암 바다에 떨어질 수도 있는 등 아주 까다로운 몹이 될 것이었다고 예상되고 있다. 단, 위더를 잇는 새로운 네더 출신 보스몹으로 나올 것을 기대하는 사람도 있었다. 죽이면 갖가지 기능이 있는 아이템을 떨어뜨리니, 보스몹으로서의 가치도 높았다. 해당 몹은 '와일드파이어' 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어 마인크래프트 던전스에 등장한다. 당시 영상에서 등장한 대로 블레이즈를 소환하거나, 화염구를 발사하고, 밀치기까지 한다.

3.2. 투표 전개

당시 팬텀 지지자들은 "다른 몹들과는 달리 평소에는 안 보이고 3일 안 자서 나타나는 거니, 적당히 잠을 자면 볼 일 없어서 차라리 낫다" 라는 것을 밀었으며, 그레이트 헝거는 마법 부여를 잘못 한 경우 그 마법 부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기에 밀었다. 호버링 인페르노를 지지했던 사람들은 네더의 새로운 보스, 새로운 장비 및 블레이즈 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에 뽑았다.[6]

그리고 "뽑히지 않은 몹은 사라질 것"이라는 발표 이후 당시 커뮤니티는 사분오열 되었는데, 따개비에게는 "바다를 갈 때 마다 보트를 부숴버리는 바다 크리퍼를 보고 싶은거냐"라는 말이, 헝거에겐 "최대 마법 부여 다이아세트로 돌아다니는데 갑자기 모든 마법 부여를 제거해버리고 죽어버려서 아이템까지 잃는 꼴을 보고 싶냐", "광산에서 광물을 캐는데 헝거가 눈 앞에서 다이아몬드 먹는 꼴을 보고 싶냐" 라는 말이, 인페르노에게는 "PvP에서 다른 플레이어의 방패도 짜증나는데 원거리 공격을 난사하는 방패 몬스터라니 밸붕이다" 같은 말이 돌아다녔다. 팬텀에게는 당연하게도 현재를 보면 알 수 있듯, "침대에 묶이는 생활을 하고 싶은거냐" 내지는 "건축 중에 팬텀한테 밀려 떨어져 죽는 짜증나는 상황을 생각해보라" 같은 말이 돌아다녔다.

당연하겠지만 몹의 외형도 영향이 있었다.[7] 팬텀은 박쥐 형태의 언데드 몹이라는 특성 상 '외형은 멋있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몹 D는 네더 왕관을 쓴 채로 등장한 블레이즈 형태의 몹이라 외형상 비호감은 없다시피 했고, 진짜로 잘생겨서 뽑았다고 말하는 투표자도 있었다. 따개비는 말할것도 없이 비호감이라 선택되지 못했다. 이들 중에서 호불호가 가장 심하게 갈리는 건 그레이트 헝거인데, 몸보다 머리가 더 커서 불쾌한 디자인이라고 평하는 사람이나 콧구멍이 압도적이라 싫어했다는 사람도 있었고 작은 공룡같아서 귀엽다는 사람도 있었다. 따라서 당시 디자인 여론은 따개비 < 헝거 < 팬텀 < 인페르노.

결국 투표 결과는 따개비 < 호버링 인페르노 < 그레이트 헝거 < 팬텀 이었고, 특히 팬텀과 그레이트 헝거는 각각 37.3%와 35.5%로 호각을 이루었다. #

다만 지금까지의 설명을 들으면 알겠지만 결론적으로 해당 몹 투표의 모든 후보들은 무엇이 뽑혔든 욕을 먹을만한, 최소한 호불호가 아주 크게 갈릴 끔찍한 설계의 몹들이다. 그래서 그들 중에서 팬텀이 뽑혀 대표적으로 욕을 먹는 거라는 평을 받고 있다.

2024년부터 몹 투표는 사라졌고, 생물 군계 투표가 사라진 후 추가된 다른 생물 군계들처럼 지난 투표에서 탈락한 몹들도 다시 추가한다고 했으니, 2017년 탈락했던 몹들이 실제로 나오면 어떨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다. 실제로 과거 탈락했던 구리 골렘은 원래 '버튼을 보이는 순간 누른다' 라는 컨셉이었으나 변경되어 상자 안의 아이템을 분류해주는 몹으로 재설계되었다. 실제로 출시된다면, 구리 골렘처럼 초안과는 다른 대규모 변경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위에서 소개된 살인적인 스펙이나 짜증나는 컨셉을 적당히 다듬어서 낼 것으로 보인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여담으로 팬텀은 좀비 및 스켈레톤 계열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등장한 낮에 불타 죽는 몹이다. 다른 신예 언데드 몹들은 화염 저항이 있거나 애초에 낮에 불에 타지 않도록 설계되었거나 하는 등으로 낮에 불타 죽지 않았다.[2] 그러나 이 사람의 말과 다르게 워든도 크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거기다 플레이어가 원치 않는 조우를 하지 않아도 될 뿐, 특정 행동을 강요한다는 점은 팬텀과 똑같다. 더욱이 워든은 스펙상으로 엔더 드래곤이나 위더는 명함도 못 내밀 정도로 잡기 힘든 히든 보스 취급인데 보상도 구려터졌다는 것도 문제. 다만 워든은 피해야 하는 몹이라는 컨셉을 잡고 무지막지한 스펙을 넣어 만든 만큼, 잡으라고 만든 몹이 아니다.[3] 숨을 때 자신이 숨는 땅의 색깔에 따라 자신의 몸 색깔도 비슷하게 변한다고 한다. 실제로 찾아가보면 동굴에서 나올 것 같다는 의견이 많은데 좀벌레처럼 돌 안에도 숨었을 가능성도 있다고.[4] 진짜 방패처럼, 막고 있는 동안에는 모든 공격을 막는다고 묘사되었다.[5] 몸통박치기 뿐만 아니라 사방으로 날린 화염구에 맞았을 때도 넉백이 크게 일어난다고 하는데, 브리즈의 돌풍구처럼 구현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브리즈 역시 블레이즈를 본따 만든 몹이다.[6] 물론 블레이즈 스포너가 있어 그 요구사항도 어느정도 해소되었다.[7] 대표적으로 2021년 몹 투표에서처럼, 구리 골렘의 기능성을 보고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생긴게 미니 징징이 로봇이었기에, 요정같이 귀엽게 생긴 알레이가 뽑혔던 일이 있었다든가. 그리고 이게 투표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였다.[8] 위 영상에서 32분 이후로 인게임 시간으로 3일이 지나기 전까지 기다리는 것 외엔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27분 동안 잠수를 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