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e8cb2d>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 영조 현효대왕 | 도정궁 사손 | ||||||||||||||||||||||||||||||
| | |||||||||||||||||||||||||||||||
진종 소황제 | 장조 의황제 | |||||||||||||||||||||||||||||||
| | | | |||||||||||||||||||||||||||||
정조 선황제 | 은언군 | 은신군 | 은전군 | |||||||||||||||||||||||||||||
| | | | | | |||||||||||||||||||||||||||
순조 숙황제 | 상계군 | 전계대원군 | 남연군 | 풍계군 | 진안군 | |||||||||||||||||||||||||||
| | | | | | | | | | | ||||||||||||||||||||||
문조 익황제 | 철종 장황제 | 익평군 | 회평군 | 영평군 | 흥녕군 | 흥완군 | 흥인군 | 흥선헌의대원왕† | 완평군 | 완성군 | ||||||||||||||||||||||
| | | | | | | | | | | | |||||||||||||||||||||
| | |||||||||||||||||||||||||||||||
헌종 성황제 | 고종 태황제 | 덕안군† | 경은군 | 청안군 | 완림군† | 완순군 | 완영군† | 흥친왕 | 완은군† | 인양군† | 의양군 | 예양정 | 완창군 | |||||||||||||||||||
| | | | |||||||||||||||||||||||||||||
| | | ||||||||||||||||||||||||||||||
완효헌친왕† | 순종 효황제 | 의친왕 | 영친왕 | 풍선군† | 영선군 | 경원군 | ||||||||||||||||||||||||||
| | |||||||||||||||||||||||||||||||
청풍군 | 창산군 | |||||||||||||||||||||||||||||||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경술국치 이전에 정식 봉호를 받은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영친왕은 이은의 황태자 책봉과 더불어 폐기된 작호로, 황태자 자격으로 받은 '의민황태자'라는 시호가 있으나,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서 지은 사시(私諡)이므로 표기하지 않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13F03, #8a4d04 20%, #8a4d04 80%, #713F03);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400> 초대 | 제2대 | 제3대 | - | |
전계대원군 | 영평군 | 청안군 | (풍선군) | ||
제4대 | - | 제5대 | |||
청풍군 | (이완주) | (이우영) | |||
}}}}}}}}} |
누동궁 추증 궁주 | ||
대한제국 장조의 5대손 풍선군 | 豐善君 | ||
<colbgcolor=#29176e><colcolor=#ffd400> 조선 장종의 5대손 풍선군 | 豐善君 | ||
봉호 | 풍선군(豐善君) | |
이름 | 이한용(李漢鎔) | |
출생 | 1875년 2월 19일 | |
사망 | 1890년 8월 1일 (향년 15세) |
1. 개요
조선의 왕족. 조선 25대 임금 철종의 형인 영평군 이경응의 양손자이고 청안군 이재순의 양자이다.2. 생애 및 사후
1875년(고종 12년) 2월 19일, 소현세자의 8대손 이재철(李載徹)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왕실 직계와는 250년 전인 인조 때 갈라져서 당시 풍선군과 그의 일가는 왕족이 아니었다. 그러나 청안군 이재순의 아들로 입양가면서 왕실과 가까운 친척이 되었다.[1] 그의 본래 가계는 다음과 같다.1890년(고종 27년) 8월 1일에 1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시신은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홍제원 답동리에 안장되었다가 1964년 경기도 포천군 주내면 선단4리[4] 전계대원군 묘소 근처로 이장했다. 이장된 후의 묘소는 전계대원군과 완양부대부인 내외의 묘소, 소실 용성부대부인 묘소의 동쪽 150m 지점에 있었는데, 최소 2023년 이전에 화장되어 영평군의 묘가 있던 자리에 납골묘 형태로 재조성되었다.[5]순종 때인 1907년(융희 원년) 10월 14일에 종2품 가선대부 종정원경(嘉善大夫 宗正院卿)에 추증되었고, 풍선군(豐善君)으로 추봉되었다.[6] 즉, 풍선군의 작호는 죽은 뒤 받은 것이다. 1909년(융희 3년) 7월 20일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正二品資憲大夫奎章閣提學)에 추증되었고, 1910년(융희 4년) 8월 21일 순정효황후가 풍선군의 아내인 정부인 홍씨에게 훈 2등에 서훈하고 서봉장(瑞鳳章)을 하사했다. 이후 풍선군과 관련된 기록은 없다.
3. 가족과 후손
부인 홍씨는 풍선군과 동갑이며, 1951년 4월에 사망했다. 홍씨 부인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애초에 16세의 나이에 요절했으니. 그래서 선대처럼 또 다시 입양으로 대를 이어야 했다.1897년(광무 원년) 영평군이 고종에게 건의하여, 풍선군의 양자로 덕흥대원군의 후손인 이해승을 데려다 입적시켰다.[7] 청풍군 이해승의 자녀들부터는 진짜 친자식들이다. 슬하에 아들 3명을 두었지만, 큰아들과 둘째아들은 일제 치하 1943년에 자신보다 먼저 죽었고, 그 자신도 1950년 6.25 전쟁 때 행방불명되었다. 그의 장손이 바로 그랜드힐튼 서울의 이우영 명예회장이다. 즉, 풍선군의 후손이 현재 그랜드힐튼 서울 오너 일가이다.
[1] 언제 입양이 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이한용의 입적 후 정작 본인의 후사가 끊긴 생부 이재철은 조카 이복용을 양자로 들였다. 사족으로, 이복용의 친부이자 이한용의 친숙부(이재철의 친동생) 이재민은 소현세자의 7대 종손 이호응의 양자로 입적하여 소현세자의 8대 종손이 되었다.[2] 생부는 밀원정 이용의 형 밀풍군 이탄.[3] 초명은 이경섭. 1868년(고종 5년)에 이교응으로 개명.[4] 현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산11-14번지.[5] (이하 법적기준) 큰할아버지 회평군, 할아버지 영평군, 아버지 청안군, 아들 청풍군 등 역대 누동궁 사손들과 그 부인들의 묘도 화장 후 봉안묘 형태로 묘소가 재정비되어 하나의 가족 묘역을 이루고 있다.[6] 봉호는 양어머니의 본관 풍산 홍씨의 관향지인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豊山邑)에서 유래했다. 풍선군과 같은 항렬의 왕족인 영선군 이준용의 어머니도 본관이 풍산 홍씨였는데, 그의 봉호는 안동의 별호인 '영가(永嘉)'에서 유래한 것이다.[7] 1908년(융희 2년) 청풍군(淸豊君)으로 책봉. 그런데 눈여겨 볼 건 이미 이 전에 이해승의 직계가 덕흥대원군의 후손으로 입양이 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는 월산대군의 후손이며, 그래서 풍선군과는 실제 혈통상으로 33촌이다.